- 배경
담뱃값이 인상됐지만, 그에 따른 처우 개선이나 복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인상된 담뱃값은 흡연자의 권익 뿐만 아니라 비흡연자가 담배에서 벗어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도 쓰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번화가는 물론 한적한 숲 속에도 담배꽁초가 무분별하게 버려져 있습니다. 흡연자들의 입장에서 담배꽁초를 버릴 장소를 찾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쓰레기통 주변은 금연구역입니다. 또한 흡연비율이 25%에 다다르는 다수이지만, 쓰레기 봉투를 휴대하는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담배꽁초와 일반쓰레기는 버리는 것의 접근성이 다릅니다.
정부에서 인상한 담뱃값이 이러한 복지에 쓰여야 마땅하지만 현재 환경 면에서는 그다지 쾌적해 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청년이 주최가 되어 길거리에 산재한 담배꽁초를 없애는 이 캠페인을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 목적, 필요성
청년들, 그 중에서 흡연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됩니다. 현재 인상된 담뱃값이 쾌적한 거리 조성에 투자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청년들이 주도하여 흡연자들의 자발적인 담배꽁초 수집을 유도하게 됩니다.
- 차별성
종량제 쓰레기나 재활용 등의 여타 환경 조성 프로젝트는 금전적인 인센티브가 부여되지만 미미하여 동기부여가 잘 안됩니다. 시도때도 없는 흡연의 욕구를 빌어 흡연자들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이 담배꽁초를 모으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금전적 보상이 뒤따른다면, 많은 악용이 예상됩니다. 이미 잘 분리되어 있는 쓰레기통이 돈벌이를 위해 훼손될 것입니다.
흡연자들은 자신이 벌인 사회의 문제점들을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의미를 찾을 것입니다.
문제의 유발자가 문제의 해결자가 되어야 합니다.
- 기대효과
1차적인 효과로, 담배 판매처 근처나 번화가의 담배꽁초가 사라집니다. 그 주체는 금전적으로 궁핍한 흡연 인구입니다.
2차적으로 한적한 장소의 담배꽁초가 사라질 것입니다. 그 주체는 금전적으로 궁핍한 흡연 인구로 예상됩니다.
3차 단계로 흡연자 자신이 태우고 난 후의 담배꽁초를 수거할 것입니다. 주체는 알뜰하고, 분별있는 모든 흡연인구가 될 것입니다.
또한 담배꽁초는 모든 시가지에 있습니다. 이를 수거하는 청소부들의 노동량이 감소할 것입니다.
- 세부 사항
캠페인에 앞서 공인된 담배 판매처와 담배 제조 회사와의 연계가 필요합니다.
현재 해외담뱃값은 4500원입니다. 캠페인에 참여하는 청년들은 지정된 담배 판매처에서 담배를 5000원에 구매하게 됩니다.
500원의 웃돈은 흡연자들이 환급받을 담배를 구매하는데 사용됩니다.
인상전 담배 단가는 20 개비에 2500원 이었습니다. 그러므로 500원은 4 개비를 웃도는 가격입니다. 이 500원이 캠페인의 자금을 이룹니다. 담배 담배 필터 다섯 개를 모음으로써 흡연자들은 담배 한 개비를 환급받습니다.
꽁초free 효과와 더불어, 환경을 위해 애쓰시는 청소부들의 노동량도 절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