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현 : 랍국을 찾아서
김동현 : 랍국을 찾아서
때
전시 : 2024. 11. 19.(화) ― 11. 29.(토)
초대 : 2024. 11. 19.(화) 18:00~19:00
곳
소현문
전시 서문
"랍국은 큰 나라에요. 인구가 16억이고요. 엄청 크고 사람도 많다는 뜻이에요. 1997년 IMF 때문에 동랍과 서랍으로 나누어졌어요."(김동현 작가)
'랍국(Rapkuk)'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지난 10여 년간 자폐스펙트럼 장애 예술가 김동현이 수천 장의 그림으로 만들어 낸 가상의 세계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 어딘가에 있는 별에 위치한 큰 나라인 '랍국'은 1997년 IMF로 동서로 분단이 되었고 DMZ가존재한다. 영화나 소설에 나올 법한 이 랍국이라는 평행우주 세계에서는 한국과 유사한 지명과 사건이 나오지만 그 결과는 사뭇 다르다. 고양이를 어깨에 올리고 다니며 수능을 봐야 하고 세월호와 삼풍과 같은 비극들이 존재했지만 한국과는 다르게 책임자가 처벌받고 피해자는 보상받는 안전의 욕구가 충족된 유토피아와도 같은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이 세계관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자폐스펙트럼 예술가들은 사회적 문제에 관심이 없다”라는 편견과는 매우 다른 지점들을 보여준다. 사회 정치적인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는 정신 장애 예술은 우리 사회가 장애예술가에 대해 잘 모르는 영역이 아직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랍국과 한국은 지명이나 사회적 사건들이 일어나는 구조나 시기가 매우 유사하면서도 그 결과가 매우 다르다. ‘랍국을 찾아서’는 지난 2년간 다양한 매체로 발전하고 확장하면서 랍국 이면의 세계가 가진 세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관객은 랍국 세계관을 게임의 형태로 체험하면서 평행우주 판타지를 경험하는 동시에 스스로의 세계와 타인의 세계가 만나는 현실과 가상세계에 중간지점을 경험하게 된다. 이 게임에 등장하는 배경과 자동차, 기차는 김동현 작가가 직접 만들고 그린 모형을 3D 스캐닝 해서 작가의 세계를 관찰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그림과 작품을 모험하는 세계의 경험으로 전환시킨다.
전시장 전면에 걸린 그림과 드로잉은 랍국 세계를 묘사하고 있는데 한국 어딘가를 묘사한 듯한 풍경과 낯익은 역 이름들은 어딘가는 이상한 전혀 다른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창밖을 향해 배치된 4대의 컴퓨터는 귀엽고 아름다운 그림체의 판타지와는 다르게 사회적 문제를 다룬 시리어스 게임의 풍경이 진행된다. 전시장 가운데 미니어처는 김동현 작가의 세계관을 디오라마로 꾸몄는데 텅 빈 타공 오르골의 소음과 모터의 마찰음이 기차 소리를 대체하면서 보이는 아름다움과는 다른 허무한 소음들을 보여준다. 이렇듯 전혀 다른 것들로 대비된 두 개의 요소가 공존하는 김동현 작가의 세계는 이 두 개의 차이를 통해 당연히 다른 것들을 차별하거나 구분 짓기 위해 하는 불필요한 그리고 약간은 불순한 의도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 본다. 김동현 창작가의 상상에 의한 복잡한 지하철의 노선도를 뉴런 신경망과 같이 탐험하면서 작은 그림에서 보다 입체적이고 확장된 세계를 보게 될 것이다. (글 신제현)
운영시간
12:00―19:00, 매주 수요일 쉼
*24일(일요일)은 소현문 내부 행사로 관람이 일부 제한됩니다.
주최
소현문
주관
김동현, 백림기획, 마음랩
협력 기획
신제현
사진 기록
정희수
도움
홍성용, 서동희
후원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주)3D MOA
*경기문화재단 「민간기업 협력 장애예술 프로젝트 지원 공모」 선정(김동현)
KIM Donghyun_Finding Rapkuk
Date
Exhibition : 19 ― 29 November 2024
Opening : 6~7PM, 19 November 2024
Venue
Sohyunmun
Exhibition Introduction
"Rapkuk is a big country. It has a population of 1.6 billion. That means it’s huge and full of people. In 1997, due to the IMF crisis, it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Kim Donghyun
‘Rapkuk’ is a fictional world created by artist Kim Donghyun, who is on the autism spectrum, through thousands of drawings over the past decade since 2011. Located on a distant planet somewhere far from Earth, Rapkuk is a vast nation that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following the IMF crisis in 1997, and the DMZ exists. In this parallel universe—evocative of cinematic or literary worlds—familiar names and events from Korean history reappear, yet their outcomes unfold differently. Here, students sit for college entrance exams with cats perched on their shoulders. Tragedies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still occur, but unlike in reality, those responsible are held accountable, and victims receive proper compensation. The result is a utopia where the longing for safety is not only acknowledged, but fulfilled. This world challenges the common stereotype that “artists with autism are not interested in social issues.” Kim Donghyun’s politically and socially engaged practice demonstrates that there is still much our society does not yet understand about Disabled artists.
The fictional world of Rapkuk mirrors Korea in many ways—its place names, the structure of society, even the timing of major events—but the outcomes are strikingly different. Finding Rapkuk, an ongoing project that has evolved and expanded over the past two years across various media, reveals the rich diversity embedded within this parallel universe. Visitors are invited to explore Rapkuk’s universe through an interactive game that blends fantasy with speculative reality. As they navigate the world, they encounter a liminal space between their own reality and that of others—a meeting point of worlds both real and imagined. All game elements, from backgrounds to cars and trains, are based on hand-crafted models and illustrations by artist Kim Donghyun. These have been 3D scanned and integrated into the game, transforming the experience from one of observing the artist’s world to actively journeying through it.
Large paintings and drawings on the wall of the exhibition space show the world of Rapkuk—an imagined place that looks similar to Korea at first, but soon feels strangely different. Familiar landscapes and station names might seem recognizable, but there’s something slightly off. It’s not quite here, but a world somewhere else entirely. Four computer monitors face the windows, showing a game where Kim Donghyun’s playful visual style gives way to a more serious narrative addressing complex social issues. Despite its charming visuals, the game presents scenarios that reflect harsh realities. At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is a miniature diorama of Rapkuk. The hollow ticking of a punched music box and the hum of a small motor replace the sound of trains, creating not harmony, but a strange and empty noise beneath the beauty on display. This contrast between seemingly opposite elements is what defines Kim’s world. Through these tensions, the work asks us to rethink how we separate, exclude, or label what we see as “other.” Visitors are invited to follow a complex subway map imagined by the artist, one that resembles a neural network. By following this map, visitors move beyond individual images into a broader, more immersive world.
Written by SHIN Jaehyun
Open hours
12:00~19:00, Every Wednesday, Nov. 24th closed.
Hosted by
Sohyunmun
Organized by
KIM Donghyun, Maum Lab, White Forest Agency
Co-produced by
SHIN Jaehyun
Photo record
JUNG Heesu
Supported by
Gyeonggi Provinc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Co. 3D M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