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헬스 사용자 제공 항산화 콘텐츠 2차 개발 (삼성전자; 2025.09.-2026.03.; 연구책임자)
항산화 센서의 영양 지표 개발 (삼성전자; 2023.11.-2025.10.; 연구책임자)
서초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서초구보건소; 2013.06.-2021.12.; 연구책임자)
삼성 헬스 사용자 제공 항산화 콘텐츠 개발 (삼성전자; 2024.08.-2025.01.; 연구책임자)
지능정보화시대 산업지원을 위한 식품 데이터 활용 고도화 연구(2공동) (농촌진흥청; 2022.04-2024.12; 연구책임자)
만성질환 연구를 위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도구 개발 (한국식품연구원; 2021.04.-2023.12.; 연구책임자)
항산화 센서 임상 연구 (삼성전자; 2020.05.-2021.07.; 연구책임자)
항산화 센서 임상 연구를 위한 실험식(식사) 준비 (삼성전자; 2020.05.-2021.04.; 연구책임자)
유용 수산생물의 최대이익-최소이해 섭취모형 개발 (국립수산과학원; 2018.04.-2018.12.; 공동연구원)
한국인의 식사내 성분들의 상호작용이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대사체 및 대사성질환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03.-2021.02.; 연구책임자)
한국 성인의 한식 섭취가 인체 내 항산화 및 항염증 지표와 폴리페놀 관련 대사체에 미치는 영향 평가 (농촌진흥청; 2018.01.-2019.12.; 연구책임자)
MIMS/MAP DB 기반 식품 중 유해물질 노출모형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1.-2018.11.; 공동연구원)
건강기능식품 비타민·무기질 일일섭취기준 재평가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8.-2017.11.; 연구책임자)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및 활용의 효율성 확보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7.06.-2017.11.; 공동연구원)
젠더혁신을 통한 과학기술연구의 수월성 및 실용성 증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05.-2020.12.; 공동연구원)
생활행태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진단 및 개선방안 (삼성전자; 2016.11.-2017.12.; 연구책임자)
2015년 영양소 섭취기준 제정 지원사업 (보건복지부; 2015.05.-2015.11.; 연구책임자)
쌀 중심 한국형 식생활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임상적 변화 구명 (농촌진흥청; 2015.04.-2017.12.; 연구책임자)
국민건강·질병 표준 DB 구축 사업-생활환경 건강위험요인 데이터 현황 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11.-2015.02.; 세부연구책임자)
보건의료연구 성별 영향 분석 (질병관리본부; 2014.09.2015.01.; 공동연구원)
2014년 영양소 섭취기준 제정 지원사업 (보건복지부; 2014.06.-2014.11.; 연구책임자)
한국인 상용식품의 항산화능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식사내 항산화능 추정 및 대사증후군 위험도 예측 (미래창조과학부; 2014.05.-2017.04.; 연구책임자)
식품으로 인한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를 위한 시범연구(III) (국립환경과학원; 2014.05.-2014.10.; 연구책임자)
한국형 어린이 노출계수 개발연구(II) (환경부; 2014.04.-2014.12.; 공동연구원)
임신 중 모체의 비타민D 영양상태와 비타민D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이 태아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3.06.-2016.05.; 공동연구원)
2013년 영양소 섭취기준 제정 지원사업 (보건복지부; 2013.06.-2013.11.; 연구책임자)
식품으로 인한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를 위한 시범연구(II) (국립환경과학원; 2013.04.-2014.02.; 연구책임자)
도시지역 식생활 환경 조사 및 시범사업화 전략 연구 (농촌진흥청; 2013.01.-2014.12.; 연구책임자)
식품으로 인한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를 위한 시범연구(I) (국립환경과학원; 2012.04.-2013.03.; 연구책임자)
칼슘 영양섭취기준 제정을 위한 연구방법 개발 (질병관리본부; 2012.03.-2012.09.; 공동연구원)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 제/개정 연구 및 가이드북 개발 (한국영양학회; 2012.02.-2012.10.; 연구책임자)
한국인을 위한 영양섭취기준 제/개정을 위한 로드맵 작성 및 가이드북 개발 (보건복지부; 2011.05.-2011.12.; 연구책임자)
환경역학연구에서 식품매개 유해물질 노출평가를 위한 식이조사방법 개발 (국립환경과학원; 2011.05.-2011.11.; 연구책임자)
청소년 건강증진 종합대책 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11.03.-2011.09.; 연구책임자)
취약계층 집단의 식품 등 섭취를 통한 유해물질 노출실태조사-질환집단의 식품섭취량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1.-2011.12.; 세부연구책임자)
서초구 건강식당 사업 효과평가 학술연구 (서초구 보건소; 2010.12.-2011.02.; 연구책임자)
비만 자가평가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 개발·보급(노인식생활지침 개정) (보건복지가족부; 2010.06.-2010.12.; 세부연구책임자)
비만예방 KIT 교육사업 효과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부문 (보건복지가족부; 2010.05.-2010.12.; 공동연구원)
환경역학연구에서 식품으로 인한 유해물질 노출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0.04.-2010.12.; 연구책임자)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을 활용한 안전한 식생활 방안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03.-2010.11.; 공동연구원)
유해물질 노출평가를 위한 조사연구-식생활 관련 중심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01.-2010.11.; 연구책임자)
청소년의 향정신성 물질사용 실태조사 (한국의학연구소; 2009.08.-2010.02.; 연구책임자)
건강하고 안전한 아파트 지역사회 건강행태 조사 학술연구 (서초구 보건소; 2009.08.-2009.11.; 연구책임자)
2009년 서초구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통계가공 및 분석 용역 (서초구 보건소; 2009.06.-2009.06.; 연구책임자)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 개선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05.-2010.02.; 공동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도구 타당도 연구 (질병관리본부; 2009.04.-2010.08.; 연구책임자)
초·중·고등학생 비만에 대한 건강정보 생산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질병관리본부; 2009.04.-2010.02.; 연구책임자)
비만관리사업-어린이식생활지침개발 (보건복지가족부; 2009.03.-2009.12.; 연구책임자)
한식의 만성질환 관련 식이요인의 섭취양상 분석 및 식사 유형별 비교 연구 (농촌진흥청; 2009.01.-2012.12.; 공동연구원)
부모의 유전적 특성 및 임신 전 비만도가 영유아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기술부; 2008.12.-2010.09.; 연구책임자)
건강증진학교 운영을 위한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및 평가체계 개발 (질병관리본부; 2008.12.-2009.10.; 공동연구원)
소아 및 청소년의 성성숙 시기, 성조숙 실태 및 관련 인자 연구-성성숙 시기 및 성조숙과 식사요인의 관련성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09.-2009.06.; 공동연구원)
서초구 지역사회 역량분석 및 건강도시 지표 개발 (서초구 보건소; 2008.06.-2008.10.; 연구책임자)
식품알레르기 및 식생활이 아토피질환에 미치는 영향조사 (서울특별시; 2008.05.-2008.10.; 연구책임자)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질병관리본부; 2008.04.-2009.02.; 공동연구원)
암과 영양 연구를 위한 음식 중심의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과 타당성 및 신뢰성 연구 (보건복지부; 2007.12.-2009.05.; 공동연구원)
유전체역학조사에서의 개방형 영양자료수집체계 개발 (질병관리본부; 2007.10.-2008.10.; 세부연구책임자)
탈북 청소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7.09.-2008.08.; 연구책임자)
건강식당 프로젝트 (서초구 보건소; 2007.09.-2008.01.; 연구책임자)
CODEX 영양소기준치 개정을 위한 국제협력사업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04.-2007.11.; 세부연구책임자)
한국인 난치성 대사증후군 진단 및 치료 신기술 개발 산학연 클러스터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12.-2007.11.; 연구책임자)
청소년의 식사요인과 비만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진흥재단; 2006.11.-2007.11.; 연구책임자)
탈북 청소년의 건강위험 실태조사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6.10.-2007.08.; 연구책임자)
어린이 먹거리 영양기준 설정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08.-2008.04.; 공동연구원)
인삼의 PD/PT 비율별 임상적 생리활성 효과 구명 (한국식품연구원; 2006.04.-2008.04.; 세부연구책임자)
건강한 직장만들기 시범사업 (도봉구 보건소; 2006.01.-2006.12.; 연구책임자)
외식산업 건강증진사업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및 역량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12.-2006.10.; 연구책임자)
유전체 역학조사의 영양, 식이자료수집, 활용 방향성 정립 (보건복지부; 2005.10.-2006.05.; 공동연구원)
강남구 고혈압 관리모형 개발 연구 (강남구 보건소; 2004.08.-2004.12.; 공동연구원)
심혈관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양파품종의 선발 및 유효성분 탐색 (농림부; 2003.07.-2006.07.; 세부연구책임자)
식사패턴 분석에 의한 한국 청소년의 학교영양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보건복지부; 2003.07.-2005.04.; 연구책임자)
보건소 중심의 영양사업 계획을 위한 지역사회 영양진단 (서울대학교; 2003.06.-2004.05.; 연구책임자)
춘천시민의 영양문제 파악 및 영양위험집단 선별을 위한 영양진단 (보건복지부; 2003.04.-2003.07.; 공동연구원)
한국 청소년의 성성숙 시기 및 관련인자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2.12.-2004.11.; 공동연구원)
염분섭취가 한국인의 고혈압 발생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보건복지부; 2002.06.-2004.05.; 공동연구원)
식사 중 피틴산 함량이 한국 젊은 여성의 칼슘과 철분의 체내 대사에 미치는 영향 (학술진흥재단; 2001.10.-2002.09.; 연구책임자)
다품묵 농산물의 보관을 위한 상온저장고의 활용기술개발 (농림부; 1999.11.-2002.11.; 공동연구원)
항산화영양소의 보충이 허혈성 심질환 환자의 지질산화정도와 항산화계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순환기학회; 1998.09.-1999.08.; 공동연구원)
영유아 보육시설의 영양관리시범사업 (보건복지부; 1998.07.-1998.12.; 공동연구원)
식이섭취조사와 혈청분석에 의한 한국인 구리와 아연의 영양상태평가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1996.08.-1998.07.; 공동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개선방안 (보건복지부; 1996.03.-1998.07.; 공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