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영양학: 본 강좌는 보건영양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는 기본적인 교과목이다. 보건영양학은 지역사회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양학적인 지식과 연구를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의 건강 유지와 질병예방을 위한 영양학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좌 내용은 지역사회의 영양상태, 영양요구도, 영양문제와 이와 관련된 요인의 분석, 지역사회의 영양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영양프로그램과 영양정책의 개발 및 효과 평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동향 등을 다룬다.
보건영양역학: 보건영양역학은 지역사회의 질병발생에 영향을 주는 영양 및 식생활 요인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고, 영양위험집단을 판별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 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지역사회의 영양상태 분석, 영양요인 또는 식생활 요인과 질병과의 관련성 연구, 질병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사업의 개발 및 실시에 대한 구체적 방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지역사회영양평가: 지역사회영양평가는 개인 혹은 지역사회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영양상태 평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체계측, 식이섭취 조사, 생화학적 검사, 그리고 임상 검사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각종 연구와 영양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사례를 통하여 이들 평가 방법의활용방안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지역사회의 영양문제 및 이와 관련된 연구 또는 사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과목이다.
보건사업평가방법론: 보건 분야에서 평가를 위한 접근방법은 아직 계통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많은 경우 투입된 보건사업의 평가는 여러 계층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더욱이 보건사업의 목표는 국민의 건강증진에 있으며 건강증진여부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지표는 역학에서 개발한 것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보건사업의 투입설계도 역학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한다. 때문에 본 강좌는 보건사업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역학적 접근방법과 평가사례논문들을 비판ㆍ평가하는 학습을 통하여 실제를 익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