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DL NEWS

 

SNDL, IEEE WiPDA-Asia 학회 논문발표 및 구교수님 TPC Co-Chair로 활동

2023년 Taiwan의 Hshinchu에서 열린 IEEE Workshop on Wide Bandgap Power Devices and Applications in Asia (WiPDA-Asia 2023)에 SNDL 연구팀이 참여하였습니다.

Power America CTP/Director인 Veliadis교수님과 RPI의 Paul Chow교수님등의 세션이 구교수님이 맡은 세션으로 진행되었고 조직위원장인 Kung-Yen Lee 교수님 그룹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한 이형진 학생, 신명철 박사, 이현우 등 SNDL랩원들이 구교수님과 참석하여 논문을 성공적으로 발표 하였습니다.



SNDL Presents at IEEE WiPDA-Asia Conference; Professor KOO Serves as TPC Co-Chair

In 2023, members of the SNDL lab participated in the IEEE Workshop on Wide Bandgap Power Devices and Applications in Asia (WiPDA-Asia 2023) held in Hshinchu, Taiwan. Professor Veliadis, the CTP/Director of Power America, and Professor Paul Chow from RPI held sessions chaired by Professor Koo.

Additionally, students and researchers like Lee Hyung-jin, who conducted joint research with Professor Kung-Yen Lee's group, Dr. Shin Myung-cheol, and Lee Hyun-woo from SNDL attended the conference and presented their papers alongside Professor Koo.


구상모 교수님 광운대학교 89주년 기념식 산학협력상 수상

5월 20일 진행된 광운대학교 89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뛰어난 산학협력 업적을 이룩하여 학교발전에 크게 기여하셨기에 구상모 교수님께서 산학협력상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On May 20, during the 89th anniversary ceremony of Kwangwoon University, Prof. Sang-Moo Koo was honored with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ward. He was recognized for his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university through exemplary achievements in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이형진 석사과정 SiC 소자 설계, 분석 연구를 위하여 국립대만대 교환 연구학생 파견

2023년 5월 1일 SNDL의 이형진 학생이, 국립대만대학교 (國立台灣大學 NTU)의 리쿵옌 교수님(Prof. Kung-Yen Lee) 연구그룹에 인턴연구자로서 공동연구를 위하여 출국하였습니다.NTU는 대만 최고의 대학으로 QS/THE세계 순위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TSMC 파운드리와 밀접한 반도체 공동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형진 학생 파견 기관 지도 교수님은 국제학술대회 WiPDA-Asia 2023의 개최위원장으로서, 해당 연구그룹은 TSMC입주 단지인 Hsinchu Science Park와 연결하여 SiC반도체로 대만과기부의 우수창업상을 수상한 바있습니다. 이형진 학생은 2023년 1월 1차파견 이후, 2023년 8월 까지 총 6개월간 인턴연구원으로서, SiC 소자 설계 및 분석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SNDL's MS student, Lee Hyung-jin, is interning at National Taiwan University (NTU) under Professor Kung-Yen Lee, a recognized figure in the WiPDA-Asia 2023 conference. NTU, a high-ranking university with ties to TSMC Foundry in semiconductor research, is located near the Hsinchu Science Park. Professor Lee's team, distinguished by an excellence award from the Taiwan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ir SiC semiconductor work, offers an enriching research environment. From January to August 2023, Hyung-jin will focus on SiC device design and analysis.


[언론보도 종합] 美 반도체 기업 온세미 등 총 19억달러 국내투자와 삼성의 SiC파운드리 신사업 개척; SNDL - 온세미 및 삼성과 협력 확대

윤 대통령 미국 방문 계기에 수소·반도체·탄소중립 분야 미국 기업 6곳이 한국에 19억 달러 투자하기로 했으며 2023년 4월 25일 워싱턴에서 이와 관련한 '한-미 투자신고식' 개최되었는데, 온세미컨덕터는 한국 사이트에서 SiC 전력반도체 산업 및 전기차 생산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미 첨단산업 및 친환경 미래 산업 분야의 핵심인 SiC반도체와 관련하여 온세미는 광운대 SNDL과 산학협력을 최근 확장하였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실리콘카바이드(SiC) 공정 장비 발주를 늘리며 신사업에 '시동'을 거는가운데, 역시  우리 SNDL과 SiC 공정 관련 산학협력을 2023년 3월 부터 시작하였습니다.


During President Yoon's US visit, major companies like ON Semiconductor committed to investing $1.9 billion in South Korea. Notably, ON Semiconductor will source SiC semiconductor materials from Korean companies, boosting the power semiconductor industry and domestic electric vehicle production. On Semiconductor has a strong partnership with Kwangwoon University's SNDL. Samsung Electronics is also preparing a new business, ordering equipment for SiC-based power semiconductors, and collaborating with Kwangwoon University's SNDL on a project related to the SiC process.


美 수소·반도체기업 19억불, 韓들어온다…외투 확대 위한 과제는 /머니투데이 2023

尹국내 투자 유치한 SiC반도체란?…전기차 필수품 /노컷뉴스 2023     * 참고: 하이닉스 뉴스룸

삼성전자, 차세대 전력반도체 파운드리 신사업 ‘시동’ /시사저널e 2023

테슬라 차세대 전력반도체 한국서 생산…'K배터리' 시너지 /서울경제 2022

'전력반도체' 韓서 만드는 테슬라…낙점한 배경은 /서울경제 2022

불붙은 SiC 8인치 웨이퍼 경쟁…SK실트론 도전장 /서울경제 2021

정부 지원결정에도 용인 클러스터 착공 '산넘어 산'…토지보상 협의 쉽지않아 /한국경제 2021

[인터뷰] 광운대 구상모 교수, “지금이 반도체 소자의 패러다임 시프트” /테크월드 2020

일본 수출 통제목록 분석해 보니…日 전략물자 증착기에 차세대 웨이퍼 등 첨단산업 전방위 포함 /전자신문 2019

SK실트론, 美 듀폰 SiC 사업부 인수…차세대 웨이퍼 개발 '박차' /전자신문 2019

김민영 석사과정 반도체 협력 연구를 위해 워싱턴으로 파견

2023.2

KWU SNDL의 석사과정 학생인 김민영 학생이 연구실과 국제협력 연구를 심화 하기 위하여 2차 파견연구 여정에 나섰습니다.

현재 구교수님과 오랜 동안 공동연구를 하여오고 있는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의 첨단 전자 그룹에서 게스트 연구원이자 동시에 조지 메이슨 대학교의 VMEC Chair Professor인 Q. Li 교수의 초청으로 인턴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구 주제는 광운대학교 SNDL과 협력하여 탐구하고 있는 중요한 주제인 갈륨 산화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김민영 학생의 연구는 광운대학교 SNDL과 NIST가 공동으로 탐구하는 중요한 갈륨 산화물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국제적인 경험은 SNDL 연구원들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김 학생의 학문적 능력과 연구 성과는 점차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녀는 여러 국제 학회에서 발표하고 SCI 등급 저널에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그녀의 연구가 SNDL, NIST, 조지 메이슨 대학교와의 협력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NDL 연구원들도 함께 이 공동 연구를 통해 갈륨 산화물 반도체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KWU SNDL master's student, Min-young Kim, is deepening her lab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with a second dispatch to Washington, D.C. She's a guest researcher at NIST's Advanced Electronics Group and an intern researcher at George Mason University, invited by VMEC Chair Professor Q. Li. Kim's research on gallium oxide, a collaboration between KWU SNDL and NIST, is gaining recognition, with her co-autho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papers and SCI-rated journal articles. This effort signifies SNDL's commitment to advancing gallium oxide semiconductor knowledge through global networks, with lab members actively contributing. We eagerly anticipate the fruits of Kim's research and wish her the best.

온세미 코리아 광운대 협약 방문 및 SNDL고용연계형 산학장학생 선발

광운대학교와 onsemi가 2022년 12월 22일 반도체 분야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협약식에는 광운대학교 김종헌 총장님, 구상모 교수님 등과 온세미코리아 김동진 전무님, 박경석 상무님 등이 참여하였습니다. 온세미는 1999년 설립된 종합반도체사로 매출 8조원, 세계 Top 20위, Fortune 500대 기업에 속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700조원이 넘는 세계 반도체 시장중 70%를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전력반도체와 센서를 주력으로, 2022년 대통령 인증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온세미코리아 측에서는 “ICT 분야 명문사학이며 SiC연구실을 보유하고 있는 광운대학교와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어 기쁘고, 광운대학교의 우수한 인재들을 발굴·양성하여 글로벌 최고기업인 온세미코리아에서 그 역량을 펼칠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하였고, 구상모 교수님 지도 SNDL연구실의 SiC연구 대학원생들 가운데 고용연계형 산학장학생 선발과 산학협력연구를 전격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Kwangwoon University and onsemi-Korea signed a collaboration agreement on October 22nd to nurture innovative talents in the semiconductor field. onsemi is a global comprehensive semiconductor company with sales of KRW 8 trillion, while onsemi-Korea is a subsidiary specializing in power semiconductors and sensors, accounting for 70% of the non-memory semiconductor market. They expressed interest in expanding cooperation with SNDL, Kwangwoon's prestigious SiC group, to discover and foster talented individuals. The agreement includes employment-linked scholarships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research on SiC among graduate students in Prof. Koo's SNDL laboratory.

노르웨이 정부 과학기술 교류 대표단 방문 및 SNDL과 협력시작

노르웨이 과학기술 대표단이 2022년 11월 14~18일의 공식 방한 일정 동안, 서울지역의 협력 대표 대학으로서 광운대를 방문하였습니다.  국가 고등교육위원회의 홀란드-크라머(Hilde Haaland-Kramer) 국제협력위원장과 비베(Vegard Furustøl Vibe) 고문, 노르웨이 교육부 플러스트롬(Tone Floodstrøm) 선임고문, 국가연구협의회 옌슨(Marianne Jensen) 실장, 하우그스타(Aleksandra Witzcak Haugsta) 특임고문, 주한 왕립 노르웨이 대사관의 리에(Christine Mee Lie)영사 등 주요 인사로 구성된 대표단과의 회의에서 노르웨이의 오슬로 대학 반도체 연구그룹과 광운대 SNDL과의 고에너지갭 반도체 협력연구 추진을 위하여, 광운대 SNDL 대학원생의 노르웨이로의 6개월 파견 연구를 2023년 부터 시작할 계획을 포함한 논의를 하였습니다.


A Norwegian delegation visited Kwangwoon Univers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and discussed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on WBG semiconductors between the University of Oslo and SNDL at Kwangwoon University. A Kwangwoon University SNDL graduate student is set to conduct research in Norway for six months in 2023 as a first step towards the project

반도체산업발전 유공자 선정, 산업부 장관표창

10월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의 날"기념식에서 구상모 교수님이 반도체산업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전력반도체 전문가로서 지난 20여년간 반도체 분야의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수립과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에 공헌을 하였으며, 특히 고에너지갭 반도체 분야에 대한 돌파구를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반도체의 날’은 한국 경제발전을 주도해 온  반도체산업의 도약의 결의를 다지고 반도체분야 종사자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제정되었고,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이바지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과 노고를 격려하는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의날'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하려는 노력 속에 올해 반도체의 날은 3년 만에 대규모 대면 행사로 열린 가운데,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겸 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 박용인 삼성전자 사장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와 반도체 유공자 및 국회의원, 회원사 CEO 및 임직원 등 산·학·연 관계자 약 450여명 내외가 참석하였습니다.


On October 27th 2022, Prof. Sang-Mo Koo was recognized by th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uring "Semiconductor Day" for hi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ower semiconductor field, particularly in proposing breakthroughs for high-energy gap semiconductors. The event was established to celebrate the semiconductor industry's role i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with this year's ceremony attended by approximately 450 representatives from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ions.

ICSCRM 2025 개최권 확보 기여

구상모 교수님이 소속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에서 교수님께서 직접 사전 커미티 활동과 기조연설 등 임무를 통해 부산광역시와 함께 '국제탄화규소학술회의'(ICSCRM) 2025년 개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2022.09.21)


Prof. Koo has secured the right to hos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licon Carbide and Related Materials' (ICSCRM) in 2025 in Busan, through his direct involvement in pre-committee activities and keynote speeches, as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Sept 21. 2022)

과총 논문상 수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제정한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매년 창의적 연구 활동으로 국내 학술지에 우수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에게 시상하며, 한국과총에 가입된 400여 개 회원 학회에 지난해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야별 전문위원회와 종합위원회가 절대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하여 '제32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의 수상자로 교수님이 선정되었습니다. (2022.06.29)


The Science and Technology Excellent Paper Award, established by the Federation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is presented annually to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who have published outstanding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ir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The award is...

<    1   2   3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