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스톤 설계 1
Capston Design 1 | 학부강의 4학년 2006 ~ Current
캡스톤 설계 2
Capston Design 2 | 학부강의 4학년 2006 ~ Current
반도체 소자공학 1
Semiconductor Device Engineering 1 | 학부강의 3학년 2010 ~ 2012, 2013(Dr. Kang), 2014 ~ 2016, 2017(Dr.Kim), 2018 ~ Current
반도체 소자공학 2
Semiconductor Device Engineering 2 | 학부강의 3학년 2010 ~ 2012, 2013(Dr. Kang), 2014 ~ Current
기초회로실험 및 설계 1
Basic Circuit Experiments and Design 2 | 학부강의 2학년 2014 ~ Currnet
기초회로실험 및 설계 2
Basic Circuit Experiments and Design 2 | 학부강의 2학년 2014 ~ Currnet
전자재료물성실험 및 설계 1
Electronic Materials Properties - Experiments and Design 1 | 학부강의 3학년 2009 ~ 2010
전자재료물성실험 및 설계 2
Electronic Materials Properties - Experiments and Design 2 | 학부강의 3학년 2009 ~ 2010
공학설계입문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 학부강의 1학년 2006-2 ~ 2012-2
경력개발과 취업전략
Carrier Development and Strategy | 학부강의 2학년 2014 ~ 2015
현대재료물리
Modern Materials Physics | 학부강의 2학년 2006 ~ 2012
광학물성 1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s 1 | 학부강의 3학년 2006 ~ 2009
광학물성 2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s 2 | 학부강의 3학년 2006 ~ 2009
화합물 반도체
Compound Semiconductors | 학부강의 4학년 2006 ~ 2007
파워디바이스 설계 - 전력반도체소자 /반도체소자 시뮬레이션 특수과제 /파워반도체 소자설계
Design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s | 2009-1, 012-1, 2016-1, 2017-1, 2018-1, 2019-2, 2020-1, 2021-2
논문특별연구세미나 1/2
Special Research Seminar 1/2 | 2008 ~ Current
화합물반도체특론 /차세대 화합물반도체 제어소자 특론
Special Course on Compound Semiconductors | 2007-1, 2012-2, 2015-2, 2017-2, 2018-2, 2019-2, 2022-2
전력반도체소자특론 - 고에너지갭 반도체 /고에너지갭 소자기술 /에너지절감반도체 소자기술
Power Semiconductor Devices - WBG | 2008-1, 2011-1, 2014-1, 2015-1, 2020-1, 2020-2, 2022-1, 2023-1
전자재료공학 프리센테이션 기술 및 전략 /나노소자특론 및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
Technical Communication in Electronic Materials Eng. | 2006-2, 2007-2, 2010-2, 011-2, 2014-2, 2015-2, 2017-2, 2020-1, 2023-1
반도체나노분석기술
Analysis Technology Semiconductor and Nano-Electronics | 2008-2, 2010-2
공학자로서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은, 스스로의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대학원 공부를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 연구소, 정출연 또는 학계에서 엔지니어로서의 경력을 쌓고 싶다면 대학원 학위가 필수적이거나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학원 졸업이후에도 궁극적으로 취업을 하게 됩니다. 산업계, 학계, 정출연 등의 진로가 있겠지만, '대학원 vs 취업'은 결국 '대학원 학위후 취업 vs 학부 졸업직후 취업'의 갈림길에 대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 여부를 결정할 때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것들이 있겠습니다. 개인의 커리어 목표 / 재정 / 소요시간 / 학업능력 등이 포함되며, 선배, 졸업생 및 이미 커리어의 중후반에 계신분들, 교수님들 등의 의견을 들어보거나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학부졸업 직후 취업 대비) 대학원 진학(이후의 취업)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 Reading 관련 읽을 거리:
Advantages of an Engineering Graduate Scheme
5 Reasons to Earn a Master's Degree in Engineering
[Pros 장점 ]
높은 연봉 a higher salary upon hire
미국의 경우, 2022년 기준 석사학위 엔지니어들은 10만 달러의 연봉을 받고 있으며 (2021년 기준 9만4천) 취업 시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4년제 학사 학위만을 가진 엔지니어들의 평균 연봉은 8만7천 달러 (2021년 기준 8천6만)선 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 차이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무엇보다 석박사 및 경력직만을 채용하는 공고도 늘고 있습니다.
국내 예: 대학·대학원 연봉差, 1년만에 학비 뽑는다..'우골탑'도 옛말(?)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71
더 많은 진급 기회 more career advancement opportunities
취업 시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것 외에도, 석사 학위는 상위 수준의 리더십 역할과 관리자 수준의 직책에 대한 경쟁력을 높여주며, 이로써 다양한 엔지니어링 경력을 갖게 됩니다.
고급 네트워킹 구축 meaningful networking connections
대학원은 전문 기회를 높여주는 것 외에도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높은 직장 안정성 increased level of job security (even during economic instability)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 따르면, 석사 학위가 필요한 직업의 고용은 2026년까지 거의 1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모든 교육 수준 중 가장 빠른 증가율입니다. 경제 안정 기간에도 석사 학위를 소지한 후보자들은 고용을 찾고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추정치에 따르면, 약 27%의 고용주들이 이미 석사 학위를 요구하며, 석사 학위가 필수 요건이 아니더라도 고급 학위를 소지한 것이 관리직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국내 예: 반도체학과 정원 늘려도…기업은 "석박사가 필요해요" https://www.mk.co.kr/news/society/10349562
전문 기술로 경쟁력 향상 competitiveness with specialized skillst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심화된 전공능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필수적인 자산이 됩니다.
명성/학술적 인정 prestige/academic recognition
연구 및 개발에 대한 더 큰 기회와 전문성에 대한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ns 단점]
Cost 비용
Time commitment 시간 투자
Difficulty 난이도
Competition 경쟁
Potential for burnout 번아웃 가능성
궁극적으로 대학원에 진학할지 여부는 개인적인 결정입니다. 공대 대학원의 경우 연구실에 따라 '비용'은 예전처럼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으며, 그리고 위의 단점은, 학부졸업후 사회에 진출했을때 겪는 일반적인 어려운 점과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난이도'나 '경쟁'의 정도나 '번아웃 가능성'도 바로 학부졸업 후 직장에 가는 경우가 대학원보다 더 크게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Ultimately, whether to attend graduate school is a personal decision. And some of the disadvantages mentioned above may overlap with the general challenges faced when entering society after completing an undergraduate degree. Furthermore, in the case of engineering graduate schools, depending on the laboratory, the cost may not be as big a problem as in the past,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competition, or potential for burnout may be less in some cases compared to going straight to work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따라서, 옳고 그른 대답은 없으며 최선의 결정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항상 그 결정 이후에 개인이 어떤 자세와 태도로 생활하는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Therefore, there is no right or wrong answer, and the best decision depends on the individual's situation and how they handle it, regardless of what decision they make, it always varies depending on how the individual leads their path after the decis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학자로서 석사이상 학위 취득은 최근 국내외에서 중요한 트렌드입니다. 반도체 소자 설계, 분석 및 공정 관련 분야에서는 높은 전문성과 경험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반도체 분야에서 대학원 학위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집니다. 국내외 기업들은 이러한 전문 인력을 선호하며, 해당 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엔지니어의 경우 대학원 진학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espite this, obtaining a master's degree is a crucial trend in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for aspiring engineers. In the semiconductor field, a master's degree or higher holds significant meaning, as semiconductor device design, analysis, and process-related fields require a high level of expertise and experience. Companies highly prefer professionals with such qualifications, making graduate school essential for those hoping to pursue a career in integrated circuit design.
국내외 유수 기업들의 최근 취업 공고는 석사, 박사 학위를 가진 인력 및 경력자 채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석/박사 학위의 취득 여부는 공학자로서 가질 수 있는 다른 어떤 자격보다도 높은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이 가치는 현업에서 더욱 명확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석사/박사 학위 취득은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Promin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primarily focus on hiring candidates with master's or doctoral degrees and relevant experience. As a result, holding an advanced degree can be considered more valuable than any other qualification an engineer can possess. This value becomes even more evident in the industry. Taking a broad and long-term perspective, pursuing an advanced degree can lead to highly rewarding outcomes.
대학원 석/박사 과정은 학사과정과는 많이 다릅니다. 수업을 듣고 문제를 푸는 것을 넘어서 연구 토픽으로서의 문제와 이슈를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배우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어떠한 분야의 지식을 보완해야 하는지, 관련된 지식을 어떻게 검색하고 습득해야 하는지, 누구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방향을 잡았다면 실제로 어떻게 계획에 따라 실험하고 검증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론하고, 어떻게 커뮤니티에 발표하여야 하는 지 등을 익히는 과정입니다. 명확한 답이 없을 수도 있고, 답을 찾지 못할 수도 있지만 실패가 아닙니다. 과정을 경험하고 익혀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며, 이러한 과정은 여러분들이 회사, 연구소에서 유사하게 겪게 됩니다.
Graduat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differ from undergraduate programs. Instead of just attending classes and solving problems, you learn to independently identify problems and issues within your research topic and find solutions. This involves acquiring knowledge in various fields, learning how to search for and obtain even the smallest clues, identifying who can help, designing experiments and validating your findings, and presenting your results to the world. There may be problems without clear answers or situations where answers cannot be found. However, this does not mean failure in research; the experience of going through the process is more important. This is a similar process you will experience in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ions.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뛰어난 과학자로 영감을 주는 이야기로 유명한데, 프린스턴 대학교의 대학원생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는 명확한 답이 있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 노벨상을 수상한 교수님과 함께 작업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자신의 해결책을 같이 논의할때 교수님도 답을 모른다고한 경험을 통해 가장 뛰어난 과학자도 틀릴 수 있으며 지식을 찾는 데 있어 겸손하고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배웠다고 합니다. 그는 결국 노벨상 수상 교수조차도 정답을 모를 수 있다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뛰어난 학자로 성장하였습니다.
Physicist Richard Feynman is a renowned scientist known for his inspiring stories, including one about his time as a graduate student at Princeton University. He worked with a Nobel Prize-winning professor on a problem he thought had a clear answer. However, he learned the importance of humility and open-mindedness in seeking knowledge when the professor admitted he didn't know the answer either. Through this experience, Feynman realized that even the most brilliant scientists could be wrong and eventually grew into an outstanding scholar by striving to solve problems.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기존의 정해진 과정과 답에만 의존하지 않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그 과정과 결과를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력있고 알아듣기 쉽게 전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및 훈련 과정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지도교수라도 항상 정답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스스로 가치있는 문제를 찾고 그것을 해결하는 계획을 세우려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 과정에서 올바르고 적극적인 태도로 지도교수, 다른 동료들과 소통하고 및 전문가집단에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을 갖추려는 가운데 성공적인 학위과정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 problem and communicating, as well as finding solutions without relying on existing answers, is crucial. This learning and training process involves acquiring knowledge in various areas and presenting results persuasively and understandably to others. Also, advisors don't always know the answers. The key is to independently find unique problems and develop plans to solve them. In this process, you can achieve a meaningful experience by communicating with advisors, colleagues, and experts while maintaining a proactive and proper attitude.
Seven keys to a successful graduate career:
성공적인 대학원 경력을 위한 7가지 핵심 원칙:
(출처: Univ. of NEBRASKA–LINCOLN, Office of Graduate Studies
https://graduate.unl.edu/connections/seven-keys-graduate-school-success)
[1] Be proactive: Take responsibility for your grad school experience, identify your goals,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faculty.
적극(능동)적으로 행동하기: 대학원 경험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목표를 설정하며 교수님들과의 관계를 구축하세요.
[2] Participate in the intellectual community: Collaborate with faculty and peers, attend seminars, project workshops, lectures, and conferences.
지식 공동체(전공)활동에 참여하기: 교수님들과 동료들과 협업하고, 세미나, 프로젝트 워크샵, 강의, 학회에 참석하세요.
[3] Know your program requirements and timelines: Be aware of coursework, exams, research, thesis, and project requirements for both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프로그램 요구사항과 타임라인을 항상 확실히 인식하기: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의 과목, 시험, 연구, 논문,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숙지하세요.
[4] Create and follow an annual plan: Track program requirements, schedule meetings, publish, attend conferences, and apply for funding.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he future.
계획을 잘 수립하고 실행하기: 프로그램 요구사항을 추적, 관리하고, 회의 일정을 잡고, 논문출판, 학회 발표 및 장학금 신청을 하세요. 미래를 위한 전문성 있는 발전 계획을 세우세요.
[5]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your supervisor and committee members: Schedule regular meetings, have clear agendas, follow up on discussions, and act as a junior colleague.
지도교수님 및 위원회 구성원들과 긍정적인 관계 구축하기: 정기적인 회의를 능동적으로 스케줄링하고, 명확한 안건을 설정하며, 회의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후속 조치하세요. 주니어 동료로서 역할을 수행하세요.
[6] Bring a professional approach to your studies and interactions: Develop key skills, attend workshops, mentor others, and learn about research ethics and scholarly integrity.
학업과 상호작용에 전문적인 접근 방식 채택하기: 핵심 역량을 발전시키고, 워크샵에 참석하며, 후배들을 멘토링하고, 연구 윤리와 학술 성실성에 대해 배우세요.
[7] Seek balance and support in your life: Maintain relationships outside grad school, utilize campus resources, and prioritize self-care (sleep, exercise, and healthy eating).
인생에서 균형과 지원을 추구하기: 대학원 외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캠퍼스 내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건강한 수면, 운동,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