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Exist

세번째

0

They're down on their knees / Begging us please / Praying that we don't exist / But We Exist


1

We Exist, Arcade Fire의 음반 Reflektor에 수록된 곡입니다. 이쪽1에 관한 직설적인 곡인데요, MV에서는 여성의 옷을 입은 남성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그는 여성의 옷을 입은 남성인가요? 무엇이 패션을 성에 귀속시키나요? 성2은 무엇인가요?


2

연구실 사람 2/3 가량에게 커밍아웃을 했습니다. 덕분에 그들의 인생에 공식적으로 삽입3된 첫 번째 성소수자가 되었습니다. 스무 살 이후로 서른 명 정도에게 커밍아웃했지만, 이번에도 드라마는 없었습니다. 카톡 중계를 듣고 있던 한 친구는 ‘그런걸’ 왜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당위성을 생각해본 적은 없습니다. 다만, 그가 커밍아웃하지 않는 이유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침묵으로의, 저는 정치화된 몸으로의 망명을 선언한 것이죠.


3

본질을 외면한 논의는 다양한 형태의 대립 쌍과 그 변종과 끊임없는 주석을 만들 뿐입니다. 긍정과 부정, 선천과 후천, 자연스러움과 문명의 타락, 찬성과 반대, 정상과 비정상, 옳고 그름, 인정과 무시, 투쟁과 특권, 좋고 나쁨, 순리와 패역, 포비아와 필리아, 보편과 특수. 이러한 관점은 단순히 퀴어라는 이름 아래 모여있는 이들을 일반화하고 타자화하며 담론을 주어진 틀에 맞게 재단합니다. 그 이름의 바다 너머를 보세요. 당신이 거기에 실재하듯, 그곳과 여기서 나도 실재합니다.


4

끝을 말하기는 이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모든 젠더가 고정된 정체성의 탈을 벗고 통계적 많고 적음, 가변하는 숫자에 지나지 않을 날이 올 것입니다. 그 영광스러운 거세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1 성소수자끼리 ‘저쪽’에 있는 ‘일반인’과 구별하여 성소수자 집단을 지칭하는 은어.

2 Indeed, perhaps it (sex) was always already gender.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3 전희만으로도 충분했다고 생각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