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교통 가상 통합운용 및 검증 기술개발
UAM 생태계 운용객체별 운용능력 및 절차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UAM 가상통합운용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UAM 교통관리 기술과 버티포트 운용시스템, 항공기 모의 조종 및 운용 자동화 연계 기술, 운항환경 구현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UAM 가상운용환경 시스템(통제, 데이터공유, 영상) 개발
통합 플랫폼 구축 및 가상통합운용센터 마련
UAM 교통관리 핵심기술 및 시제품 수준 시스템 구현
UAM 교통 모의 시스템 구축 및 시뮬레이션
버티포트 모의 운영시스템 및 정보연계
대표 UAM 형상별 공력 DB 구축 및 시뮬레이터용 모델 개발
Simplified Vehicle Operation(SVO) 및 자율비행·HMI 기술 적용
공간정보·기상·소음·전파 등 실시간 운항지원정보 모의시스템(SDSP) 구축
실증 사업과 연계한 운항지원 기술 고도화
건국대 업무: 버티포트 모의 운용시스템 및 핵심기술개발
버티포트 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개발, 고도화 그리고 검증을 위해 UAM 운항 정보 기반의 시스템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지상 이동경로 최적화, 과금 기능, 여객 및 UAM 혼잡도 예측, 기체 형상 별 이착륙 특성과 자원 가용성 연구 수행
1년차
UAM 운항 정보 기반 버티포트 관리 및 통합 운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본연구 및 요구도 도출(공동연구)
UAM 운항 정보 기반 버티포트 관리 및 통합운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선행연구
2년차
여객/UAM 항공기 유입량 및 혼잡도 예측/통계 관리 기능 방안 연구
이착륙장 자원 가능성 예측 연구
자원 배정에 따른 과금(Billing) 기능 방안 세부화 및 이를 고려한 과금 예측 모델 연구
정적 Map 기반의 실시간 경로 최적화/계획 기술 활용한 이착륙장 내 UAM 이동경로 배정 최적화 방안 연구
3년차
여객/UAM 기체 유입량 및 혼잡도 예측/통계 관리 기능 통합 구현
한정된 자원 내의 여객 처리를 위한 탑승수속 간소화 절차 수립 및 구현방안 도출
고정밀 시뮬레이션 기반 기상상황에 따른 이착륙에 필요한 항공기 최소 성능요구사항 연구
UAM 운항정보기반 버티포트 관리 및 통합 운영 시스템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설계
4년차
UAM 버티포트 관리 및 통합운용 시스템 검증
건국대 주요 연구 성과
UAM의 이/착륙 절차, 비행체 턴 어라운드 절차, 여객 절차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용량 분석 및 혼잡도 분석 수행
2FATO-4GATE / 6GATE 버티포트 형상 별 수용량 분석
수용량 기반의 공역, 지상, 여객 혼잡도 분석 및 해소 방안 제시(AI 활용 방안)
버티포트 운영 절차 및 비행 특성을 고려한 시뮬레이터를 개발, 이를 기반으로 버티포트의 처리 용량 분석 및 혼잡도 분석 모델 개발
형상별 최적 수용량 도출 : 형상에 따른 수용량 차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버티포트 운영 방안 도출
혼잡 해소를 위한 시차 분리 제시 : 혼잡을 피하기 위해 비행체의 시차 분리를 제시하고, 각 형상에 따라 최적 시차 분리 간격을 도출
여객 절차 최적화 : 피크 시간대를 고려한 여객 처리 시설 제안을 통해 원활한 운영이 가능함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