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2차 3차 '소비 쿠폰'은 없어야 한다[2025]
[문화일보] 국민연금, 궁극의 대안은 캐나다 모델[2025]
[중앙일보] 연금개혁 두 해법의 '추가 타협안' 모색하길[2024]
[CEO Report] 인구고령화와 연금개혁의 세계적 동향[2024]
[IBK 아름다운 은퇴]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적립형 퇴직연금의 필요성[2024]
[월간 나라재정] 새로운 복지국가의 출현과 복지지출의 합리적 배분[2023]
[서울시 복지잰단 공유플랫폼 WISH] 공무원 연금을 민간처럼 다층체계로 만들어야[2023]
[서울시 복지재단 공유플랫폼 WISH] 공무원 연금의 재정불안정과 형평성 문제[2023]
[EAI 스페셜리포트] 윤석열정부 1년 평가 및 4년 과제[2023]
[EAF Policy Debates] How to Reform South Korea's Pension System [2023]
[서울시 복지재단 공유플랫폼 WISH] '보험료 폭탄'을 피하려면 퇴직연금 같은 적립형 연금을 키워야 [2023]
[서울시 복지재단 공유플랫폼 WISH] 세대간 소득이전 방식 연금제도의 종언? [2023]
[서울시 복지재단 공유플랫폼 WISH] 스웨덴의 놀라운 변신 [2023]
[한국일보] 추가 부담없이도 노후소득보장강화 할수있다[2023]
[육아정책포럼] 부모급여에 대한 기대 [2022]
[한국일보]반가운 전국민부모급여 [2022]
[조선일보] 70%에 무조건 주는 기초연금, 바꿔야한다.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플랫폼 WISH]월 100만원 부모급여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2 [2022]
[서울시 복지재단 공유플랫폼WISH]월100만원 부모급여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1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플랫폼WISH] 공적연금도 공적부조도 아닌 이상한 기초연금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플래폼WISH]복지와 경제3:선순환 만들기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플랫폼WISH] 복지와 경제2:상극의 경우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플랫폼WISH] 복지와 경제1:상생의 경우 [2022]
[서울시복지재단공유플랫폼WISH] 안심소득과 공적부조의 차이는? [2022]
[서울시복지재단공유플랫폼WISH] 안심소득과 기본소득: 같은 듯 다른 듯 이란성 쌍생아[2022]
[서울시복지재단공유플랫폼WISH] 사회서비스의 품질은 전달체계가 좌우 [2022]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를 위한 특별 대담 [2022]
[한겨레] '홀쭉이 세대' 위해 연기금 확충을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저출산극복의 모범, 스웨덴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왜 민간 의료보험은 있는데, 민간 실업보험은없나? [2022]
[ 예산춘추] 인구고령화의 도전과 사회정책적 대응[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보편주의로 가는 두 갈래 길에서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선별주의 다시보기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기본소득의 보편주의'와 '기존 복지의 보편주의'는 어떻게 왜 다른가? [2022]
[서울시복지재단 복지이슈 Today] 위드코로나 시대, 재난지원금의 할당 원칙을 바로 세워야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장수의 위험과 공적연금 2 [2022]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장수의 위험과 공적연금 1 [2022]
[연세춘추]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기대와 실망 [2021]
[국회미래연구원] 사라진 미래 과제 0순위, 공적연금 재정안정화 개혁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사회보험과 도덕적 해이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복지국가는 보험의 원리로 작동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개인 단위 현금급여로 소득재분배를?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왜 누구나 좋아하는 현금으로 주지 않을까 [2021]
[K-Policy 브리프]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재구조화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복지의 할당원리별 기대효과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기본소득의 보편주의'와 '복지의 보편주의'는 어떻게 왜 다른가?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선별주의 다시보기 [2021]
[서울시복지재단 공유복지플랫폼WISH] 보편주의로 가는 두 갈래 길에서 [2021]
[K-Policy 브리프] 초저출산 시대, 전국민 부모급여 도입 필요. [2021]
[월간 공공정책] 판도라의 상자, 전 국민 기본소득 [2021]
[국회미래연구원] 확정적 미래, 초고령 사회의 도전에 대한 응전이 시급하다 [2020]
[프레시안] 국민연금공단이 퇴직연금도 관리한다면? [2020]
[한국사회정책] Risk Inequality and Welfare States: Social Policy Preferences, Development, and Dynamics[2020]
[동향과 전망] 기본소득을 논쟁하다[2020]
[East Asia Forum] COVID-19 exposes gaps in South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2020]
[한국노총] 기본소득, 노동자를 위한 제도가 아니다 [2020]
[한국법제연구원] 기본소득은 사회권 약화 동반[2020]
[한겨레] 금빛까진 아니어도, 모두가 은빛 노후 누리려면 [2020]
[한국행정포럼] 기본소득, 열등한 정책수단[2020]
[예산춘추] 기본소득, 막대한 재산 소요만이 문제가 아니다[2020]
[신동아] 15조원 이재명式 기본소득, 송파 세 모녀에 月7만2000원 [2020]
[참여연대] 긴급재난지원금 이후 : 기본소득, 정책적 효용성 따져봐야 [2020]
[동아일보] 기본소득은 복지국가 틀 흔드는 위험한 발상 [2020]
[한국일보] 기본소득 도입해야 할까 [2020]
[중앙일보] 요란한 기본소득 논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 어렵다 [2020]
[프레시안] 기본소득, 막연한 기대감 뒤에 감춰진 것들[2020]
[프레시안] 기본소득과 복지국가 원리는 상충한다[2020]
[여성소비자신문] 양재진 연세대 교수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아이 없는 집에 아동수당 주는 꼴" [2020]
[한겨레] [왜냐면] 재난기본소득과 스웨덴의 대응 [2020]
[이코노미스트] 선택의 자유 확대하는 저출산 대책을[2018]
[한겨레]“경제대국 올라선 한국의 복지 수준은 왜 낮을까요”[2018]
[Global Asia] President Moon Faces the Reality of Welfare State Costs [2017]
[중앙시사매거진] [비전 2030 주요 내용과 의미] 1년짜리 예산의 한계에서 벗어나려 했다[2017]
[한겨레] 기본소득보다 사회보장이 우선 / 양재진[2017]
[HERI Review 제39호] 상향 이동 통로 열려 있어야[2016]
[한국정책학회]사회적 이동성 현황과 정책과제(사회적 표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학의 역할)[2016]
[문화일보] 치매 관리 대책 실효성 더 높여야 [2015]
[여성소비자신문]“누리과정 예산 항목별로 조정해 보육대란 막자”[2015]
[한국행정연구원] 한국 복지행정의 변화와 발전[2015]
[건강복지포럼]국민통합의 현안과 과제: 노동시장과 사각지대 문제를 중심으로[2014]
[월간 공공정책]행복한 제2의 '세 모녀'를 위해 [2014]
[한겨레]노후불안 키우는 ‘사적연금 밀어주기’ / 양재진[2014]
[문화일보] 공무원·군인연금 개혁 失機 말아야[2014]
[문화일보] 기초연금制 정착 위한 과제들[2014]
[정책학회]박근혜 정부의 복지정책 평가: 2014년 예산안을 중심으로[2013]
[한겨레]도전 받는 스웨덴모델…개혁과 변화로 응전[2013]
[문화일보] 중산층 복원 위한 3가지 처방[2013]
[문화일보] <포럼>기초연금 아니라 국민연금 강화해야 [2013]
[이코노미인사이트]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지도 그리자 [2011]
[미래에셋연금뉴스]퇴직연금제도의 의의와 개선 과제 [2011]
[코리아연구원] 절반의 성공 미완의 완성 오바마 건보개혁과 시사점 [2010]
[한국노동연구원]사회투자국가의 사회정책 패러다임과 사회투자정책 : 영국과 덴마크의 사례 [2007]
[서평문화]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2007]
[한국일보] 유시민 내정자의 연금 개혁[2006]
[주간동아] 연금특위여! 첫술이라도 제대로 떠라![2005]
[한국일보] 연금개혁 재촉하는 장수 한국 [2005]
[한국일보] 복지, 잘 쓰면 藥이다 [2005]
[한국일보] 국민연금개혁의 첫단추 [2005]
[교육개발 고교평준화 정책의 사회적 영향 분석 [2005]
[한국일보] 빈부격차 이대론 안된다 [2005]
[비평]Bonoli 서평: 정치와 연금 그 상관관계에 대하여 [2004]
[업코리아] 고령화시대, 저소득 노인의 소득보장이 급선무[2004]
[복지동향]복지국가의 전형 스웨덴 연금개혁의 시사점 [2003]
[복지동향]새로운 사회정책패러다임을 향하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