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다층연금체계의 구축과 노동시장 보완과제. 한국정책론집.2023
People’s Contrasting Attitudes Towards Universal Basic Income in Sweden and South Korea . Social Policy and Society . 2024
복지급여와 기본소득은 어떻게 다른가?: 보편주의, 선별주의 vs. 무차별주의. 학술원논문집. 2023
사회안전망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서연구. 2023
사학연금의 지속가능성과 국민연금과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방안 연구. 사학연금연구.2023
한국의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조합 연구. 한국정책학회보.2023
코로나19 시기 제주 노인의 거주형태와 우울감: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23
Labor market reforms and youth unemployment in Korea and Japan. 한국정치학회보. 2022
스웨덴 국민의 기본소득과 관련 증세에 대한 태도. 스칸디나비아 연구. 2022
퇴직연금의 준공적연금화 필요성과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022
초저출산시대, 전국민 부모급여 제도의 설계. 육아정책연구. 2021
한국인의 복지 및 기본소득 관련 증세 태도 연구. 예산정책연구. 2021
Union structure, bounded solidarity and support for redistribution: Implications for building a welfare state.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2021
지자체 당파성은 복지지출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행정학보. 2020
기본소득이 복지국가의 발전 요인으로 되기 어려운 이유. 경제와 사회. 2020
전 국민 기본소득의 정책효과와 한계분석. 동향과 전망. 2020
기본소득은 한국복지국가 발전의 보완재인가, 계간 노사공포럼, 2020
What makes hybrid insourcing successful: A new public-private partnership model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sian Social Work Policy Review. 2020
한국의 지방정부는 사회복지에 자체예산을 어디에 얼마나 쓰는가?: 2017년 지방 사회복지 사업에 관한 기초연구, 사회과학논집. 2019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 2018
퍼지셋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불안정 노동자. 한국정책학회보. 2017.
작은 복지국가 연구: 성과, 한계 그리고 연구방향의 제시. 정부학연구. 2016. .
한국 노년층의 삶의 만족과 행복 기회 불평등. 사회과학논집. 2016.
Beyond familialism: Recalibrating family, state and market in Southern Europe and East Asia.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2016.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2016.
Why Ar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Underdeveloped 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2015.
'비전 2030'의 입안과정 분석과 재조명: 민주국가의 장기경제사회발전계획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14.
한국 복지국가의 진단과 개혁과제. 동향과 전망. 2014.
OECD 국가의 여성 일-가정양립에 대한 성과: 자유주의 경로의 검증. 한국정책학회보. 2014.
제도주의적 권력자원론과 한국의 노동, 자본, 정치가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치학회보. 2014.
우리나라 고령화 대응정책 평가를 위한 고령화 대응지수 개발: OECD 21개 국가 간 비교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013.
Parochial Welfare Politics and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Comparative Politics. 2013.
박근혜 정부의 정책과 한국사회의 전망; 박근혜 정부 복지정책의 평가와 과제 보육, 기초연금,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13
한국 복지국가의 저부담 조세체제의 기원과 복지 증세에 관한 연구. 동향과 전망. 2013.
복지국가와 국가경쟁력 -사회투자지출을 통한 복지-경제의 선순환 구조 가능성 검증-. 한국정책학회보. 2013.
복지국가의 저발전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2012.
한국복지국가의 발전전략: 복지제도 개혁과 정치사회적 기반 형성 과제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2012.
저소득 노인의 소득보장 강화를 위한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재구조화와 재정동원 전략. 정책연구. 2012.
복지와 재정건전성의 관계분석: OECD 국가들의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012.
서구와 한국 복지국가의 변화와 지속: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12.
A Deductive Reasoning about the Diversity of Welfare State Building: An Institutional Power Resources Model. 한국사회정책. 2011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역사, 문제점 그리고 대안의 모색. 아세아연구. 2011.
스웨덴 연금제도의 이해와 쟁점 분석. 사회과학논집. 2011.
최근 금융위기에 대한 서구 복지국가들의 사회정책적 대응: 독일, 영국, 미국의 비교연구. 정부학연구. 2010.
사회투자정책의 정책거버넌스와 전달체계 연구: 영국의 아동복지 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2009.
우리나라 사회투자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정책조합 연구. 국가전략. 2009.
공적연금의 구조적개혁 필요성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2008
한국 복지정책 60년. 한국행정학보. 2008.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이다. 경제와사회. 2007.
사회투자국가론과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시민과세계. 2007.
사회투자국가의 사회정책 패러다임과 사회투자정책 : 영국과 덴마크의 사례. 국제노동브리프. 2007.
유신체제하 복지연금제도의 형성과 시행유보에 관한 재고찰.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07.
한국 연금개혁의 3대 쟁점. 경제와사회. 2007.
한국연금제도의 대안적 개혁모형: NDC소득비례연금과 보충급여형 기초보장연금. 사회보장연구. 2006.
Corporate Unionism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2006.
빈곤과 소득격차의 고착화 방지를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연세행정논총. 2005.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복지정치 전망. 사회과학논집. 2005.
한국의 대기업 중심 기업별 노동운동과 한국복지국가의 성격. 한국정치학회보. 2005.
한국의 산업화시기 숙련형성과 복지제도의 기원: 생산레짐 시각에서 본 1962-1986년의 재해석, 한국정치학회보. 2004.
한국 연금개혁의 주요 이슈와 제도개혁대안: 명목확정기여방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2003.
노동시장유연화와 한국복지국가의 선택: 노동시장과 복지제도의 비정합성 극복을 위하여. 한국정치학회보. 2003.
세계화, 신보수주의, 그리고 미국 사회복지개혁. 한국정책논집. 2002.
멕시코의 구조조정과 사회복지 개혁: 신사회정책(NSP)의 실험. 국제지역연구. 2002.
연금 개혁의 " 제 3 의 길 " - 스웨덴의 명목확정기여방식 연금개혁과 한국에의 도입 필요성 - 행정논총. 2002.
A Critical Appraisal of the Us Workfare Program: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ublic Assistance Program.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02.
세계은행과 국제노동기구의 연금개혁전략 비교연구 : 한국에의 적용과 대응. 한국정책학회보. 2001.
경제위기, 정책망 그리고 연금개혁패러다임: 멕시코와 한국의 연금개혁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2001.
구조조정과 사회복지. 한국정치학회보. 2001.
멕시코의 1997년 연금 민영화개혁: 연금 민영화 개혁의 경제적 설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대사회와 행정. 2000.
The Rise of the Korean Welfare State amid Economic Crisis, 1997‐99: Implications for the Globalisation Debate. Development Policy Review.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