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복지국가 연구: 한국 사례를 토대로 한 ‘작은복지국가론’의 일반화." 한국행정학회 생애연구성과공유.확산 위원회 (엮음) 「학문의 길: 행정학자들의 이야기」서울: 윤성사.
“4차산업혁명과 소득기반 고용보험: 덴마크의 사례.”양재진 외. 2022. 「대전환기 정부혁신과 공공정책 사례집 I」서울: 도서출판 디자인 21.
“THe Developmental Stat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South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in Karen J. Baehler (ed.)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for Social Poli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한국 복지국가의 현재, 도전, 그리고 개혁 과제." 이근 외. 「2022 한국경제 대전망」서울: 21세기북스.2021
"Democratization, institutions, and welfare politics in South Korea" in Chae-Han Kim(eds.) The New Dynamics of Democracy in South Korea. New York: Routledge.2021
“복지행정.”대한민국학술원.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 행정학」서울:대한민국학술원.2020
“복지정책.”「한국정치와 정부」서울: 명인문화사.2020
“문재인 정부의 연금정책: 현황, 비판 그리고 대안”. 은민수 외. 「촛불 이후, 한국 복지국가의 길을 묻다」파주: 한울.2020
“Korean social welfare policies.”in Chung-in Moon and M. Jae Moon. Routledge Handbook of Korean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Routledge.2020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의 대안인가?.”「복지국가 쟁점 I: 전환기의 이슈와 대안」파주: 한울.2020
“초고령 사회, 지속가능한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하연섭 외. 「한국 사회와 한국 행정: 새로운 도전과 정부의 역할」서울: 다산출판사.2019
“한국 노동시장의 질과 노동자의 삶의 질” . 문명재 외 「정부의 질과 삶의 질」, 고양: 문우사.2018.
“사회보험의 이론적 논의: 원리, 역사 그리고 한국”. 경기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보험: 쟁점과 전망」, 파주: 한울.2017.
“노인장기요양보험과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사례.”. 문명재 외 「행정사례: 공공관리와 공공정책 사례」, 서울: 대영문화사.2017
“복지정책” in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60년 1956-2016」,서울: 법문사.2017
“김대중의 사회복지 패러다임 전환과 복지개혁.”.박명림(편) 「1987년 민주헌정체제의 등장과 운영II: 김대중」파주: 카오스북.2017
“한국 사회보험제도와 사각지대: 역사적 진단과 미래” in 김병섭 외 「우리 복지국가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서울: 서울대출판문화원. 2016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2017
“노동시장의 이중화와 사회적 위험” in 하연섭 (편) 「위험사회와 국가정책」, 서울: 박영사2015
"한국 발전국가의 관치금융과 금융산업의 저발전." in 문명재(편)「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위기관리:경제위기」국가관리연구총서 제 29권, 서울: 법현. 2015
"경제 위기와 사회정책- 1979~1981년과 1997년~1998년을 중심으로 살펴본 변화와 연속성"in 「시너지: 효과적 개발협력과 한국적 개발 모델의 조건, 제도, 정책」, 서울: 이매진.2014
“덴마크 복지국가와 노동시장의 유연안정화 정책”. in 한국유럽학회(편) 「복지국가시대를 위한 유럽 복지정책의 변화와 아시아의 경험」파주: 한국학술정보.2012
“대중경제론과 생산적 복지”in 류상영.김동노(편) 「김대중과 대중경제론」, 서울: 연세대학교 김대중 도서관.2013
“청년.여성.고령층의 고용 부진과 양극화.”in 이상대 외 「수도권 메가트렌드 2030」, 파주: 한울 아카데미.2013
“고창군의 아이디어맨, 경청의 리더십과 공정한 인사제도 위에서 꽃피다.”in 임도빈 외, 「공직사회의 낭중지추를 찾아서」서울: 법문사.2013
“박정희의 신중상주의 세계화: 3대 구조적 제약과 극복 노력을 중심으로.” 박명림(편)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세계화전략」, 서울: 법현.2013
"The Welfare State and Income Security for the Elderly in Korea“ in Thomas Klassen and Yungjeong Yang (eds.) Korea’s Retirement Predicament: The Ageing Tiger. London: Routledge.2014
“How Effective are Labour Market Policies for the Working Poor?: The Case of South Korea” in Raymond K. H. Chan, Lih-Rong Wang and Jens O. Zinn (eds.) Social Issues and Policies in Asia. Newcast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2014
"Change and Continuity in Social Policy Response to Economic Crises in South Korea: 1971-81 versus 1997-98" in Ilcheong Yi and Thandika Mkandawire (eds.) Learning from the South Korean Developmental Sucess: Effective Developmental Cooperation and Synergistic Investment and Policies." New York: Palgrave.2014
“복지국가는 쇠퇴하고 있는 것일까”. in 김연명 외「대한민국 복지: 7가지 거짓과 진실」, 서울:두리미디어2011
“박정희와 한일협정: 한일 경제협력체제 구축과 발전국가의 물적 토대 형성” in 박명림(편)「한국의 대통령리더십과 국가관리: 국제전략」, 서울: 범우사.2011
“사회투자형 복지국가 건설론” in 김형기(편)「새로운 진보의 길: 대한민국을 위한 대안」,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9
“적극적 복지정책, 그러나 실패한 지지동원” ).in 한반도 사회경제 연구회(편)「노무현시대의 좌절」,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9.(2009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도서)
“발전국가론 다시보기”in 박종민․정무권(편)「한국 행정연구」, 서울: 박영사. 2009.(문화관광부 선정 우수도서)
“'유능한’ 민주정부의 창출을 위한 제도개혁과제" in 한반도사회경제연구회(편) 「한반도경제론」, 서울: 창비.2007
"The Dilemmas Of Inequality" in Tulchin, Joseph S. and Gary Bland(ed) Getting Globalization Right, Colorado: Lynne Rienner Publishers. 2005
"신자유주의 경제개혁과 남미복지국가의 변화" in 이숙종(편) 「경제위기와 복지의 정치」, 서울:세종연구소.2003
"The Kim Dae-jung Government and the Productive Welfare Initiative" in Moon, Chung-in(ed)Korea in Transition,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2002
"Globalization, Social Inequality, and Democratic Governance in South Korea" in Tulchin, Joseph S. and Amelia Brown(ed) Democratic Governance and social inequality, Colorado: Lynne Rienner Publishers.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