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itics of government reorganizations: Evidence from 30 OECD countries, 1980-2014, Governance. 2019
아산, 현대 그리고 노사관계의 변화와 분화발전: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의 비교. 아산리더십연구원저널. 2018.
한국관료제의 기관 자율성과 기관 능력의 부처별 차이에 관한 연구: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의 비교. 정부학연구. 2015.
박정희 시해, 새로운 기회의 창, 그리고 경제정책의 대전환: 정치리더십 변동과 정책패러다임의 변화. 현대사회와 행정. 2014.
산업화 시기 박정희 정부의 수출 진흥 전략: 수출 진흥과 규율의 정치경제학. 동서연구. 2012.
The Korean Welfare State in Economic Hard Times. Taiwan Journal of Democracy. 2012.
무의사결정론의 재등장?: 2009년 한국 공무원연금개혁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012.
박정희의 신중상주의적 세계화 :3대 구조적 제약과 극복노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논집. 2011.
Korean Social Concertation at the Crossroads: Consolidation or Deterioration?. Asian Survey. 2010.
한국 사회협약 실험의 추동력과 한계: 조정시장경제로의 전환 가능성 검토. 사회과학연구. 2007.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와 교육불평등. 연세행정논총. 2009.
한국의 대안적 발전모델의 설정과 민주적 국가자율성 및 국가능력의 복원을 위하여. 국가전략. 2006.
발전이후 발전주의론: 한국 발전국가의 성장,위기, 그리고 미래. 한국행정학보. 2005.
Democratic governance and bureaucratic politics: A case of pension reform in Korea. Policy & Politics. 2004.
공공정보화사업의 사전평가 모형 구상 :예산과의 연계와 사업 실효성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003.
퇴직공무원의 퇴직관리에 관한 인식 분석. 행정논총. 2003.
정권교체와 관료제의 정치적 통제에 관한 연구: 국민의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003.
공무원의 퇴직관리: 실태와 정책적 이슈. 행정논총. 2002.
대통령제 이원적 정통성, 그리고 행정부의 입법부 통제와 지배: 한국행정국가화 현상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02.
공공조직과 시민사회의 사이버 의사소통(Cyber Communication)활성화 연구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홈페이지 구성과 내용의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