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소개
(Hometown Introduction)
Joseph's Website:https://sites.google.com/view/ict-joseph
(Hometown Introduction)
하늘에서 내려다 본 조지훈시인의 고향 영양 주실마을 ..
Yeongyang Jusil Village, the birthplace of the famous poet Cho Ji Hoon, seen from the sky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국문학의 대가 조동일교수(서울대 명예교수) Professor Dongil Cho,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born in the village of Jusil Village, the hometown of the Hanyang Cho clan (Seoul National University Emeritus Professor)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제1세대 역사학자 조동걸 교수의 이야기 The story of the first-generation historian, Professor Dong-Gul Cho, born in the village of Jusil, the hometown of the Hanyang-Cho clan.
오래된 약속 17편 주실마을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조석환교수(경영학박사),조석환박사는 남북공동 컴퓨터 키보드를 연구 개발에 성공하여 통일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Prof. Sok-Hwan Cho (Ph.D.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Dr. Sok-Hwan Cho, who were born in Jusil Village, the hometown of the Hanyang-Cho clan, succeeded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a joint computer keyboard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opening in an era of unification.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전 UN 조태열대사(조지훈시인의 차남), 외무부 차관시절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에 기조연설을 하는 장면 Former UN Ambassador Cho Tae-yeol (second son of famous poet Cho Ji-hoon), born in the village of Jusil Village, the hometown of the Hanyang-Cho clan, giving a keynote speech at a high-level session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주실이 낳은 조태열 외교부장관 취임식 장면
(2024년 1월 12일)
Scene from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Minister of Foreign Affairs Cho Tae-yeol on January 12, 2024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조석팔교수(전자공학박사), 한국전신역사 130년에 대해서 설명하는 장면
Professor Sok-Pal Cho (Ph.D. in Electronic Engineering), born in Jusil Village, the hometown of the Hanyang-Cho clan, explains 130 years of Korean Telecommunication history.
"디지털 혁명과 융합서비스"에 관해서 설명하는 조석팔 박사
미 Control Data Corp. 컴퓨터 시스템 엔지니어
삼성전자/삼성반도체 통신연구소 연구실장
남서울대학교 정보통신과 학과장 (겸) 산업기술연구소장
성결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부총장
IEEE 정회원/스위스 제네바 ITU국제 표준전문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KIITI학회 명예회장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부회장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조석팔 박사, 국제학술대회 폴란드 카라카우 AGH국립대학에서 "Education on Cloud Computing"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장면, 2015년 7월
Dr. Sok-Pal Cho, born in Jusil Village, the hometown of the Hanyang-Cho clan, presented the subject of “Education on Cloud Computing” at the SIEC International Conference at AGH University in Karakaw, Poland, July 2015
한양조씨 집성촌 주실마을이 낳은 조석팔 박사, 매경 정진기언론문화재단 과학기술 대상 수상(1987.7월)
Dr. Sok-Pal Cho was award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Grand Prize(July 1987)
한양조씨 집성촌에서 양력설 신년하례의 전통을 이어가는 장면 Scene of continuing the tradition of the Solar New Year's Celebration at the HanyangCho clan's hometown
2009.5.22 노르딕(Nordic: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 필란드)) SIEC대표단 (단장 모니카 교수)일행이 주실마을을 탐방하다. May 22, 2009 Nordic SIEC delegation visits Jusil Village.
앞줄 왼쪽 1번째 (1st from left in front row) SokHwan Cho(ROK), 2번째 Tuija Helena Junkkari(Finland), 3번째 Ingrid Kristina Bjorkegren(Sweden), 6번째 DongGun Cho(ROK), 7번째 SokPal Cho, (ROK), 8번째 SokKwang(ROK)
두번째줄 왼쪽 2번째( 2nd from the left in the 2nd row) C.G(Karl-Gun nar) Anders Ekstrom(Sweden), 3번째 Anssi Esko Junkkari(Finland), 4번째 Kari Wiig Sandvik(Norway), 5번째 Astrid Cristina Elisabet Hansson(Sweden), 6번째 PEG(Margaret Ellen)Saragina(USA), 7번째 Ulla Elisabeth Ostberg(Sweden), 10번째 Lars Gunnar Tengling(Sweden), 11번째 Bengt Palmlof(Sweden),12번째 Liisa Hely Sjoblom(Finland)
세번째 줄 왼쪽2번째(2nd from the left in the third row) Inger Margareta Bredenberg(Sweden), 3번째 Solveig Cecilia Boij(Sweden), 4번째 Erkki Sakari Hukari(Sweden), 5번째 ODD Helge Sandvik(Norway),6번째 지용선박사(ROK), 7번째 Agneta Linnea Kraepelien(Sweden), 8번째 Mona Engberg(Denmark), 9번째 Kikki Ann-Lis Christina Dalen(Sweden), 10번째 Siv Anita Jacobsen(Norway), 11번째 Monica Agda Tengling(Sweden), 12번째 Lena Preutz(Sweden),
2009.5. 노르딕 SIEC대표단 일행이 영양중고를 탐방,SIEC delegation visits Yeongyang Middle and High School, the alma mater of Dr. Sok-Hwan Cho,May2009.
2009.5.22 주실마을 소개하는 조동건교장선생께서 노르딕 SIEC 대표단 모니카회장에게 방문기념패전달On May 22, 2009, Principal Dong-Gun Cho, introducing the village of Jusil, delivered a commemorative plaque to the Nordic delegation's Chairman Monica.
2009.5.22 지훈문학관에서 주실마을 소개 Scene introducing Jusil Village at the famous poet Jihoon Literature Museum
2010.1.2 한양조씨 주실친목회, 기묘사화의 난을 피하여 420여년전(중종14년 11월, 1519년)에 그 후손들이 살아남기 위해 만첩산중 경북영양주실이란 곳에 정착하여 오지마을 한양조씨집성촌을 이룬 곳이 주실마을(청록파시인을 비롯한 많은 문인들과 학자들을 배출한 유서깊은 마을)이다.
이곳에서 농경지 사회에서 집성촌을 이루어 살면서 음력설이 아닌 양력설을 100여년 넘게 양력설을 명절로 지키면서 살아온 개화된 마을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 시대에 개명을 강요하였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절개를 지켜온 후손들이다.
그 후손들이 산업사회 화 되면서 뿔뿔이 헤어져서 살았는데, 지금 한양 서울에서 새해가 되면 서울 압구정동에 위치한 한양타운에 모여 매년 신년하례식을 가진다. 또한 식후 옛날 마당윷을 놀면서 그때 그시절(영원히 돌아오지 않는 시절)을 회상하며 서로의 안부를 묻고 하루를 즐긴다. 2010년 1월 2일에 행사한 장면을 사진에 담았다.
2010.1.2 신련하례식장면(조석환회장 인사말)
2010.1.2 신년하례식 장면 2
2010.1.2 마당윷놀이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