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내용들이라 생각하지만, 나와 논문을 쓰는 학생들은 특히나! 반드시! 숙지하고 실천해야 할 내용들입니다. 


데이터의 정확성

내가 생각하기에 논문을 쓸 때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첫째도 정확성이요, 둘째도 정확성이요, 셋째도 정확성입니다. 

첫째, 데이터의 정확성입니다.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도, 데이터를 코딩하는 과정에서도 정확성은 필수적입니다. 잘못 입력되거나 잘못 계산된 데이터를 아무리 분석한다 한들 다 부질없는 일이지요. 일단 데이터 처리가 완벽하게 끝났다고 하면 그 파일을 잘 간직해야 합니다. 그래서 다른 누군가가 그 자료를 보자고 했을 때 그 자리에서 척~ 꺼내어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경험적인 학문을 하는 연구자의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분석된 결과를 논문으로 옮겨 싣는 과정에서도 정확성은 간절히 요구됩니다. 통계 프로그램에서 나온 결과와 논문에 적힌 결과를 하나하나씩 비교하는 일은 적어도 3번은 필요합니다. 제일 먼저는 처음으로 통계치를 적거나 표를 만들었을 때입니다. 일반적으로 논문을 쓸 때 표를 만들고 결과를 쓰는 것이 제일 먼저 이뤄집니다.이 작업을 끝내고 나서 제대로 적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

표가 만들어지고 결과를 작성하고 나면 서론과 논의 등 다른 부분들을 쓰게 되고 엄청나게 많은 수정이 이뤄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실수를 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논문의 모든 부분을 완성하고 학술지에 투고하기 직전에 다시 한 번 통계 프로그램의 결과와 논문의 내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투고, 심사, 수정 작업을 끝낸 후 출판사 측에서 출판 직전 상태의 논문을 보내주는데 이 때 다시 한 번 결과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간혹 편집자들이 편집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경우, 국내에서 쓴 첫 논문에서 편집자가 실수를 범해서 수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볼까요? 누군가가 쓴 나르시시즘에 관한 연구 논문의 일부입니다. <방법>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나르시시즘 척도를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