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대화 클럽 :
한국식 능력주의에서 살아남기
한국식 능력주의에서 살아남기
일정 8월 13일 ~ 8월 27일 화요일 (3회차)
시간 오후 7시~10시 (3h)
장소 아지트-청년공간뒷북
(경기도 의왕시 오리나무로 22)
정원 8명
이끔이 구구
독서모임 플랫폼 기획자.
기업 사회공헌 파트에서 발달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진행해오다 2017년 사이드 프로젝트로 독서 공동체 ‘들불'을 만들었고, 이를 본업으로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들불은 독서모임 플랫폼으로, 책을 통한 대중의 사회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활동가와 연구자를 대중과 연결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도서 큐레이션레터 ‘들불레터'를 발행 중이며, 작업자의 노동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은 책 <작업자의 사전>을 썼습니다.
클럽 소개
‘능력주의’의 정의를 살피고 한국과 우리의 상황을 분석한 뒤. ‘능력'을 다시 정의하고 나의 능력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끝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필요한 해결책에는 무엇이 있을 지 탐구 및 제안하며 마무리합니다
함께 읽을 책 <한국의 능력주의>는 한국의 학력주의와 능력주의, 엘리트 세습 과정에서의 '공정'에 대한 담론을 다루고, 한국식 능력주의에 대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서술한 작품입니다.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며 능력주의가 불평등을 만들어내는 방식과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가 나아가야할 길을 함께 탐구해봅니다.
회차별 내용
1회차(8.13) 능력주의란 무엇일까? 한국의 상황, 우리의 상황
- 오리엔테이션
- 이끔이의 책 발제 : <현대 한국>, <가치관과 민주주의>를 읽고 '능력주의'의 정의, 한국의 '능력주의' 사례 살피기
- 감상 나누기
⁙ '능력'이라는 단어를 보면 떠오르는 이미지/단어/인물/물건 작성해보기
2회차(8.20) 능력주의 비판
- 이끔이의 책 발제 : <능력주의 비판>을 읽고 '능력주의'가 야기한 개인적 문제, '능력주의'가 야기한 사회적 문제
- 감상 나누기
⁙ '용용죽겠지'활동
⁙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능력주의 관련 밈과 짤을 바라볼 때 우리가 느끼는 감정 적어보기
3회차(8.27) '능력', 새롭게 정의하기
- 이끔이의 책 발제 : <대안>을 읽고 '능력'의 새로운 정의, 우리의 인식전환을 위한 제안 살피기
- 감상 나누기
⁙ 평범함은 능력이 될 수 없을까?
⁙ 능력의 종착지를 바꾸기
⁙ '능력'을 새롭게 정의하고, 새로운 정의에 걸맞는 나의 능력 발견하기
참여안내
매 회차는 책 발제와 활동으로 이루어집니다.
클럽에서 함께 읽는 도서 지원
참고 자료
<불안>, 알랭 드 보통
<외로움의 습격>, 김만권
<능력주의는 허구다>, 스티븐 J. 맥나미
<엘리트 세습>, 대니얼 마코비츠
<능력주의>, 마이클 영
<이상한 성공>, 윤홍식
<다이버시티 파워>, 매슈 사이드
<평범하여 찬란한 삶을 향한 찬사>, 마리나 반 주일렌
‣위 자료 중 일부 내용을 책 발제 시간에 만나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