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going Projects
[HIRING!] 2025 Graduate Students & Undergraduate Interns (석박사 대학원생 및 학부인턴 모집)
Ongoing Projects
홀로그램 품질 향상 및 화질 측정 기술
그림. 홀로그램 압축에 의한 수치 복원 객체의 압축 열화 예시
복호화된 홀로그램은 열화로 인해 노이즈와 왜곡이 발생.
원본과 비교했을 때 화질 저하가 불가피함.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입체감과 몰입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품질 향상이 필수적.
디지털 홀로그램은 진폭·위상 정보를 포함한 간섭무늬로 표현되며, 수치 복원 객체의 화질은 해상도·비트 심도 등에 크게 좌우됨.
홀로그램은 일반 자연 영상과 비교하여 초고용량 데이터 특성을 가짐.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화는 자연 영상과 다른 특수한 형태(예: 전경 객체의 어두워짐, 배경의 스펙클 노이즈 증가 등)를 유발하며, 이는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수치 복원 영상의 품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
기존 영상 압축 열화 감소 기법이나 딥러닝 연구는 대부분 자연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홀로그램 특성에 최적화되지 않은 상황.
홀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한 딥러닝 기반 열화 감소 네트워크 개발이 필요하며, IVML에서는 홀로그램의 전파 특성을 고려한 열화 감소 기술을 연구.
홀로그램의 열화 양상은 자연 영상과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PSNR이나 SSIM과 같은 기존의 화질 지표로는 사용자가 체감하는 인지 화질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움이 있음.
압축 과정에서 직접 다루는 것은 홀로그램이지만,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수치 복원 도메인에서의 객체이므로 이 도메인의 화질을 고려한 측정 기술이 필수적임.
기존 연구들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새로운 평가 지표의 개발이 요구되며, IVML에서는 이를 연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