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HIRING!] 2025 Graduate Students & Undergraduate Interns (석박사 대학원생 및 학부인턴 모집)
Publications
[J] [Submitted] Y. Kim, J. Shin, J. Lee, and H. Ko*, Dataset for IQA
[J] [Submitted] Y. Kim, J. Shin, and H. Ko*, IQA metric
[J] [Submitted] H. Kwon, J. Seo, and H. Ko*, NNVC
[J] [Submitted] J. Lee*, H. Ko*, et. al.,NN-based cardiomyocyte nuclei segmentation
[J] [Submitted] S. Bae, and H. Ko*, DEMON/LOFAR image generation
[J] [Submitted] S. Jang and H. Ko*, RL-based TMA
[C] [Submitted] J. Lee and H. Ko*, Second order optimization
Y. Kim, J. Shin, J. Lee, and H. Ko, "Subjective and Objective Quality Evaluation of Super-Resolution Enhanced Broadcast Images on a Novel SR-IQA Dataset," IEEE Access, 2025. (IF: 3.6, JCR 35%)
S. Jang, J. Shin, D. Kim, J. Lee, and H. Ko, "Reinforcement Learning-based Automated Target Motion Analysis in Underwater Environments," Ocean Engineering, 2025. (IF: 5.5, JCR 2%)
S. Bae, S. Jang, J. Lee, and H. Ko, "Progressive Multi-View Instance Matching: Occlusion-Robust Approach with Initial Segmentation Enhancement ," IEEE Sensors Journal, vol. 25, no. 3, pp. 5073-5086, Feb., 2025. (IF: 4.3, JCR 19%)
Y. Kim, H. Kwon, and H. Ko*, "Facial image Deblurring Network for Robust Illuminance Adaptation and Key Structure Restoration,"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vol. 133, pp. 107959, Feb., 2024. (Early Access) (IF: 8.000, JCR 5%)
Y. Kim, W. Shin, J. Lee, K. Oh and H. Ko*, "A Performance Analysis of Versatile Video Coding for Encoding Phase-only Hologram Videos," Optics Express, vol. 31(23), vol. 31, no. 23, pp. 38854-38877, Nov., 2023. (IF: 3.833, JCR 27%)
W. Shin, D.-S. Kim, and H. Ko*, "Target Tracking from Weak Acoustic Signals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using a Deep Segmentation Network,"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no. 8, p. 1584, Aug., 2023. (IF:2.900, JCR 21%)
J. Seo, J. Lee, J. Lee, and H. Ko*, "Deep Compression Network for Enhancing Numerical Reconstruction Quality of Full-complex Holograms," Optics Express, vol. 31(15), pp. 24573-24597, Jul., 2023. (IF: 3.833, JCR 27%)
K. Oh, H. Ban, S. Choi, H. Ko, and H. Kim, "HEVC extension for phase hologram compression," Optics Express, vol. 31, no. 6, pp. 9146-9164, Feb., 2023. (IF: 3.833, JCR 27%)
D. Lee, J. Kim, H. Ko*, and A. C. bovik, “Video Quality Model of Compression, Resolution, and Frame Rate Adaptation Based on Space-Time Regularities,”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vol 31, pp. 3644-3656, May, 2022. (IF: 10.856, JCR 3%)
D. Lee, S. Paul, C. G. Bampis, H. Ko, J. Kim, S. Jeong, B. Homan and A. C. bovik, “A Subjective and Objective Study of Space-Time Subsampled Video Quality,”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vol. 31, pp. 934-948, Dec., 2021. (IF: 10.856, JCR 3%)
D. Lee, H. Ko, J. Kim, and A. C. bovik, “On the Space-Time Statistics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vol. 38, pp. 908-923, Jun., 2021. (IF: 2.129, JCR 56%)
H. Ko* and H. Kim, “Deep Learning-based Compression for Phase-only Hologram,” IEEE Access, Vol. 9, pp. 79735-79751, May, 2021. (IF: 3.745, JCR 22%)
H. Ko*, D. Lee, S. Cho, and A. C. bovik, “Quality Prediction on Deep Generative Images,”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vol. 29, pp 5964-5979, Apr., 2020. (IF: 9.340, JCR 4%)
H. Ko*, J. Lee, J. Kang, and H. Kim, “Edge-preserving Reference Sample Filtering and Mode-dependent Interpolation for Intra Prediction,”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 30, pp. 205-216, Jan., 2020. (IF: 4.133, JCR 16%)
S. Ki, S. Bae, M. Kim, and H. Ko, “Learning-Based Just-Noticeable-Quantization-Distortion Modeling for Perceptual Video Coding,”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vol. 27, pp. 3178-3193, Jul., 2018. (IF: 6.790, JCR 7%)
H. Ko*, H. Shim, O. Choi, and C.-C Jay Kuo, “A Robust Rectification of Uncalibrated Stereo Images using Constrained Adaptive Optimization (USR-CGD),” Image and Vision Computing, vol. 60, pp. 98-114, Apr., 2017. (IF: 2.159, JCR 19%)
H. Ko*, R. Song, D. Nam, and C.-C Jay Kuo, “A ParaBoost Stereoscopic Image Quality Assessment (PBSIQA) System,” Journal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mage Representation, vol. 45, pp. 156-169, May, 2017. (IF: 2.164, JCR 25%)
J. Lee, D. Jun, J. Kang, H. Ko, H. Kim, and J. Choi, “Color Noise Reduction Method in Non-Constant Luminance Signal for High Dynamic Range Video Service,” ETRI Journal, vol. 38(5), pp. 858-867, Oct., 2016.
R. Song, H. Ko*, and C.-C Jay Kuo, MCL-3D: A database for stereoscopic image quality assessment using 2D-image-plus-depth sourc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pp. 1593-1611, Sep., 2015.
D Kang, P. Slomka , A Reza , R N akazato, H. Ko, et al, Structured Learning Algorithm for Detection of Non-obstructive and Obstructive Coronary Plaque Lesions from Coronary CT Angiography,” Journal of Medical Imaging, vol. 21, pp. 014003, Mar., 2015.
H. Ko , K Yoo and K Sohn, "Fast mode decision for H.264/AVC based on inter frame correlations," Signal Processing: Image Communication, vol. 24, pp, 803 813, Nov., 2009.
H. Seung, J. Lee, and H. Ko,"MAC: An Efficient Gradient Preconditioning using Mean Activation Approximated Curvatur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Nov., 2025. (BK 우수국제학술대회)
H. Ko, et. al., "Phase Distribution Matters: On the Importance of Phase Distribution Alignment (PDA) in Holographic Applications",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Oct., 2025. (BK 우수국제학술대회)
J. seo, H. Jang, Y. Kim, S. Y. Jeong, and H. Ko, "KaFeS: Kurtosis-adjusted Feature Scaling for Object Tracking Task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trieval (MIPR), 2025.
H. Seung, J. Lee, and H. Ko, "NysAct: A Scalable Preconditioned Gradient Descent using Nystrom Approxima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Dec., 2024. (BK 우수국제학술대회)
H. Seung, J. Lee, and H. Ko, "An Adaptive Method Stabilizing Activations for Enhanced Generaliza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Workshop, Dec., 2024. (BK 우수국제학술대회)
S. Choi, J. Char, H. Ban, K. Oh, H. Ko, and H. Kim, "Distribution-Shifting: Improved Phase Hologram Processing with Novel Phase Distortion Metric," The 31st IEEE Conference on Virtual Reality and 3D User Interfaces (IEEE VR), Mar., 2024. (BK 우수국제학술대회)
Y. Kim, H. Kwon, H. Lee, S. Cho, and H. Ko, "Deblurring Network for Accurate Facial Landmark Detection," 7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Asia, Oct., 2022
D. Lee, H. Ko, J. Kim, and A. Bovik , "Video Quality Model for Space-Time Resolution Adaptation," 4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and Systems, Dec., 2020.
J. Lee, S. Cho, S. Jeong, H. Kwon, H. Ko , H. Kim, and J. Choi, "Extended End to End optimized Image Compression Method based on a Context Adaptive Entropy Model,"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 cognition (CVPR) Workshops, 2019. (BK 우수국제학술대회)
S. Ki, M. Kim, and H. Ko, “Just-Noticeable-Quantization-Distortion Based Preprocessing for Perceptual Video Coding,” IEEE Visual Communications and Image Processing (VCIP), Dec., 2017.
D. Gwon, A. Baek, H. Ko, J. Kang, and H. Choi, “Fast Intra Mode Decision based on Relative SATD in HEVC,” Electronics, Electrical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EEECS), Feb., 2017.
A. Baek, D. Gwon, H. Ko, J. Kang, and H. Choi, “QTBT Performance Analysis According to Binary Tree Depth in Joint Exploration Model,” Electronics, Electrical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EEECS), Feb., 2017.
N. Kim, S. Jeon, H. Shim, B. Jeon, S. Lim, and H. Ko, “Adaptive keypoint-based CU depth decision for HEVC intra coding,”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roadband Multimedia Systems and Broadcasting (BMSB), pp. 1-4, 2017.
H. Ko , C. Kim, S. Choi, and C.-C. Jay Kuo, "3D Image Quality Index using SDP based Binocular Perception Model,” IEEE 11th IVMSP Workshop , pp. 14, Jun., 2013.
H. Ko and C.-C. Jay. Kuo, “A New In-Loop Filter for Depth Map Coding in HEVC,” APSIPA ASC, pp. 1-7, Dec., 2012.
H Ko , K. Yoo , J. Seo, and K. Sohn, "Fast intra mode decision us ing inter frame correlation for H.264/AVC," Proc.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ISCE), pp 33, Apr., 2008.
K Yoo, S. Park , H. Ko and K. Sohn, "A High Performance Motion Vector Processor IP Design for H.264/AVC," Proc.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ISCE), pp 17, Apr., 2008.
H. Ko, K. Yoo, and K. Sohn, "Fast intra mode decision for H.264/AVC using inverse tree structure," Proc.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Image Technology (IWAIT), pp. 14, Jan., 2008.
K. Sohn, Y. Kim, H. Ko, and J. Seo , "Image stitch based MVC," Proc. SPIE Optic East , pp 677818-1 ~ 677818-9, Sep., 2007.
장호원, 서주연, 김연희, 이주영, 정세윤, 고현석, "FCM 을 위한 비선형 피처 변환 기술 적용 성능 분석",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하계학술대회, 2025.
서주연, 장호원, 김연희, 이주영, 정세윤, 고현석, "FCM을 위한 QP 적응형 범위 기반 비활성 채널 제거 기술에 관한 성능 분석,"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하계학술대회, 2025.
이상현, 김동환, 조용진, 고현석, "Multi-Scale Wafer Defect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한국정보처리학회, May.,2025.
정보성, 김지훈, 최현, 고현석, "LLM 기반 대화형 음식 추천 서비스 개발 ", 한국정보처리학회, May.,2025.
유지승, 배성현, 한동균, 최지웅, 신성원, 고현석, "주파수 도메인 학습을 통한 수중 음향 환경 내 선박 방사 소음 분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May.,2025.
서주연, 권혁민, 김연희, 이주영, 정세윤, 고현석, "기계 대상의 피쳐 부호화를 위한 작업 성능 영향 요인 분석", 한국통신학회, Feb.,2025
배성현, 장승환, 유지승, 김다솔, 최지웅, 고현석, "조건부 확산 모델을 이용한 Bearing-Time Recoder Gram 데이터 생성",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Jun.,2024
신원식, 권혁종, 설호석, 신원, 고현석, 송택렬, 김다솔, 최강훈, 최지웅, "딥러닝을 이용한 DEMON 그램 주파수선 추출 기법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Jan., 2024.
이태호, 김다솔, 김영대, 최지웅, 고현석,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변환 알고리즘을 활용한 저탐지 수중 표적 모의 데이터 생성",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Jun., 2023.
신원, 배성현, 장승환, 고현석, "다중 시점 이미지의 분할 객체 간 ID 매칭 기술 분석",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하계학술대회, Jun., 2023.
권혁민, 김용록, 고현석, "조도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이미지 디블러링 네트워크",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Feb., 2023.
서주연, 고현석, "디지털 홀로그램 압축으로 인한 수치 복원 영상의 화질 열화 분석",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Feb., 2023.
서주연, 고현석, "완전 복소 홀로그램 압축 성능 분석", 전자공학회논문지, Feb., 2023.
신원, 설호석, 최지웅, 송택렬, 김다솔, 고현석, "저탐지 수중 표적 추적을 위한 딥러닝 기반 분할 네트워크", 전자공학회논문지, Jan., 2023.
김용록, 권혁민, 이형극, 조숙희, 고현석, "얼굴 랜드마크 검출 성능 향상을 위한 디블러링 네트워크", 제32회 신호처리합동학술대회, Sep., 2022.
김남욱, 임성창, 고현석, 전병우, "HEVC 인트라 부호화를 위한 특징점 기반의 고속 CU Depth 결정", 전자공학회논문지, Feb., 2016.
강정원, 이진호, 전동산, 고현석, 김휘용, "HDR 신호를 위한 광전/전광변환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방송과미디어, Jan., 2016.
고현석, 유기원, 서정동, 손광훈, "H.264/AVC 표준에서 역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화면내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방송공학회논문지, Jun., 2008.
WG4
J.Seo, H. Kwon, and H. Ko (HYU), "[FCM] Crosscheck of CE4.2.3a," ISO/IEC JTC 1/SC 29/WG 4 m71199, Jan. 2025, Geneva, CH.
J.Seo, H. Kwon, and H. Ko (HYU), "[FCM] Crosscheck of FCM CE2.2," ISO/IEC JTC 1/SC 29/WG 4 m68630, Jul. 2024, Sapporo, JP.
WG5 (JVET)
H. Kwon, H. Ko (Hanyang Univ.), "E1-1.1: Sample-based adaptive blending weight selection for NN-based in-loop filter," JVET-AM0123, Jun. 2025, Daejeon.
H. Kwon, H. Ko (HYU), "AHG11: Sample-based adaptive blending weight selection for LOP," JVET-AL0121, Apr. 2025, Teleconference.
H. Kwon, J. Seo, H. Ko (HYU), D. Kim, S.-C. Lim (ETRI), "EE1-1.5: Adaptive skip of LOP filtering based on boundary strength partitions," JVET-AK0093, Jan. 2025, Geneva.
H. Kwon, J. Seo, H. Ko (HYU), D. Kim, S.-C. Lim (ETRI), "AHG11: Adaptive skip of LOP filtering based on boundary strength partitions," JVET-AJ0141, Oct. 2024, Kemer.
"비디오 인지화질 자동측정 기술", 고현석 외 13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2020.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참조픽처 내 유사 영역 화소를 사용하는 예측 방법과 장치, 11343490 (2022.05.24), 미국
채널간 정보공유를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310517 (2022.04.19), 미국
화면내 예측 정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350107 (2022.05.31), 미국
대표 샘플 기반 화면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375185 (2022.06.28), 미국
블록 모양 기반 화면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284076 (2022.03.22), 미국
움직임 벡터 보정을 이용한 화면간 예측 방법 및 장치, 7044778 (2022.03.22), 일본
움직임 벡터 보정을 이용한 화면간 예측 방법 및 장치, 11343530 (2022.05.24), 미국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128862 (2021.09.21), 미국
화면간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336899 (2022.05.17), 미국
머지 모드를 이용한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6938612 (2021.09.03), 일본
영상 재배열 및 변환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ZL201780040348.5 (2022.04.01), 중국
움직임 벡터 예측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6921870 (2021.07.30), 일본
화면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368681 (2022.06.21), 미국
움직임 벡터 예측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10834404 (2020.11.10), 미국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128861 (2021.09.21), 미국
움직임 벡터 예측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11206407 (2021.12.21), 미국
루프내 필터링 방법 및 장치, 11290715 (2022.03.29), 미국
양방향 화면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212553 (2021.12.28), 미국
화면내 예측 가중합 기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218704 (2022.01.04), 미국
화면간 예측 향상을 위한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039128 (2021.06.15), 미국
화면간 예측 정보 부/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082716 (2021.08.03), 미국
인지 민감 영역 변화 검출 기반 비디오 화질 자동측정 방법 및 장치, 11205257 (2021.12.21), 미국
화면내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102509 (2021.08.24), 미국
다중 리스트 기반 화면내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184609 (2021.11.23), 미국
화면내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1039130 (2021.06.15), 미국
Chroma 블록 분할 방법 및 장치, 10911756 (2021.02.02), 미국
딥 러닝 기반 참조 프레임 생성을 이용한 비디오 화면 간 예측 방법 및 장치, 11019355 (2021.05.25), 미국
화면내 예측 방법 및 장치, 11202063 (2021.12.14), 미국
화면내 잔차신호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ZL201680074812.8 (2021.11.19), 중국
영상 변환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에서 변환 여부에 따른 참조 프레임 선택여부를 예측하여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 10944962 (2021.03.09), 미국
인루프 필터의 오프셋에 스케일링을 이용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ZL201680067207.8 (2021.06.04), 중국
화면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0958903 (2021.03.23), 미국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참조픽처 내 유사 영역 화소를 사용하는 예측 방법과 장치, 10848758 (2020.11.24), 미국
화면간 예측 향상을 위한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10687053 (2020.06.16)
인루프 필터의 오프셋에 스케일링을 이용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10477247 (2019.11.12), 미국
스테레오 영상 정류를 위한 방법과 장치, 10063831 (2018.08.28), 미국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410482-0000 (2022.06.1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409443-0000 (2022.06.10)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403152-0000 (2022.05.2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400160-0000 (2022.05.16)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10-2400315-0000 (2022.05.1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91524-0000 (2022.04.2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90452-0000 (2022.04.18)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379693-0000 (2022.03.2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379174-0000 (2022.03.22)
기계 학습 기반 특징과 지식 기반 특징을 이용한 비디오 화질 자동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10-2395038-0000 (2022.05.02)
인지 민감 영역의 변화의 검출에 기반하는 비디오 화질 측정 방법 및 장치, 10-2401340-0000 (2022.05.19)
양방향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10-2402539-0000 (2022.05.23)
블록 형태에 기반한 예측 방법 및 장치, 10-2310730-0000 (2021.10.0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410424-0000 (2022.06.1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87909-0000 (2022.04.1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53778-0000 (2022.01.1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28179-0000 (2021.11.1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283517-0000 (2021.07.2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51922-0000 (2022.01.1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0-2353778-0000 (2022.01.1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10-2321394-0000 (2021.10.28)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270228-0000 (2021.06.2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275420-0000 (2021.07.05)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10-2338356-0000 (2021.12.07)
잔차 신호에 대한 예측 방법 및 장치, 10-2345475-0000 (2021.12.27)
H.264 인코딩 시 고속 인트라 모드 결정 방법, 10-1021538 (2011.03.04)
H.264 인코딩 시 고속 인터 모드 결정 방법, 10-0986992 (2010.10.05)
[1] WO, 2019.01.25, PCT/KR2019/001096,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AND IMAGE DECODING USING TEMPORAL MOTION INFORMATION (일시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화상 부호화와 화상 복호를 위한 방법과 장치)
[2] WO, 2018.11.29, PCT/KR2018/015014,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EMPLOYING IN-LOOP FILTERING (인루프 필터링을 사용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3] WO, 2018.11.22, PCT/KR2018/014458,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TSTREAM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4] WO, 2018.11.28, PCT/KR2018/014812,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BITSTREAM (비트스트림으로 저장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5] WO, 2018.11.28, PCT/KR2018/014847, BIDIRECTIONAL INTRA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두방향으로 작용한 내부 예측 방법과 장치)
[6] WO, 2018.12.07, PCT/KR2018/015573,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USING SELECTIV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HANNELS (채널 사이에 공유하는 선택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암호화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7] WO, 2018.09.20, PCT/KR2018/011139,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BITSTREAM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방법과 장치)
[8] WO, 2018.07.31, PCT/KR2018/008714,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9] WO, 2018.10.26, PCT/KR2018/012861,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DECODING ON BASIS OF ASYMMETRIC SUB-BLOCK (비대칭인 부 블록의 베이시스 위의 영상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방법과 장치)
[10] WO, 2018.08.20, PCT/KR2018/009504,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비디오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방법과 장치)
[11] WO, 2018.11.16, PCT/KR2018/01411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12] WO, 2018.10.10, PCT/KR2018/011905, METHOD AND DEVICE USING INTER PREDICTION INFORMATION (예측 정보 가운데에 이용한 방법과 장치)
[13] WO, 2018.09.28, PCT/KR2018/011487,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TSTREAM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14] WO, 2018.10.19, PCT/KR2018/012449,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15] WO, 2018.09.28, PCT/KR2018/011490,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TSTREAM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16] WO, 2018.10.18, PCT/KR2018/012310,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IN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가운데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가지는 기록 매체)
[17] WO, 2018.06.21, PCT/KR2018/007016,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스트림이 저장된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18] WO, 2018.06.05, PCT/KR2018/006401,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19] WO, 2018.04.27, PCT/KR2018/004900,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20] WO, 2018.03.22, PCT/KR2018/003392, BLOCK FORM-BASED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블록 형태 기반 예측 방법과 장치)
[21] WO, 2018.03.22, PCT/KR2018/003393,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USING REFERENCE BLOCK (참조 블록을 이용한 예측 방법과 장치)
[22] WO, 2018.01.02, PCT/KR2018/00003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TSTREAM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 장치와 기록 매체)
[23] WO, 2017.11.28, PCT/KR2017/013670,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 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 스트림이 저장된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24] WO, 2017.11.28, PCT/KR2017/013672,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 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 스트림이 저장된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25] WO, 2017.11.28, PCT/KR2017/013673,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ON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위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가지는 기록 매체)
[26] WO, 2017.11.27, PCT/KR2017/01359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방법과 장치)
[27] WO, 2017.11.27, PCT/KR2017/013606,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스트림이 저장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28] WO, 2017.11.28, PCT/KR2017/013678,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BITSTREAM THEREIN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가운데의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29] WO, 2017.09.22, PCT/KR2017/010469,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방법과 장치)
[30] WO, 2017.09.26, PCT/KR2017/010652,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TSTREAM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인코딩과 복호화 영상을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31] WO, 2017.11.22, PCT/KR2017/01333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ON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위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가지는 기록 매체)
[32] WO, 2017.09.26, PCT/KR2017/01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비트 스트림을 저장한 인코딩하거나 디코딩 이미지와 기록 매체를 위한 방법과 장치)
[33] WO, 2017.11.22, PCT/KR2017/013377, IMAGE ENCODING/DECODING IMAGE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 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화상법과 장치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34] WO, 2017.11.22, PCT/KR2017/013330,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ON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위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가지는 기록 매체)
[35] WO, 2017.11.28, PCT/KR2017/013728,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필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
[36] WO, 2017.10.24, PCT/KR2017/011768,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 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 스트림이 저장된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
[37] WO, 2017.09.29, PCT/KR2017/011092,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스트림이 저장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38] WO, 2017.10.23, PCT/KR2017/011722,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 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 스트림이 저장된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
[39] WO, 2017.07.17, PCT/KR2017/007656,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STREAM IS STORED (그것에서 비트스트림이 저장된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40] WO, 2017.07.10, PCT/KR2017/007363,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41] WO, 2017.09.11, PCT/KR2017/009945,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IN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그 가운데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가지는 기록 매체)
[42] WO, 2017.07.11, PCT/KR2017/007416,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그 기록 매체)
[43] WO, 2017.07.12, PCT/KR2017/00748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그 기록 매체)
[44] WO, 2017.08.09, PCT/KR2017/008596,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영상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방법과 장치)
[45] WO, 2017.08.01, PCT/KR2017/008286,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46] WO, 2017.07.31, PCT/KR2017/00822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47] WO, 2017.07.18, PCT/KR2017/007734,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
[48] WO, 2017.06.15, PCT/KR2017/006241, INTRA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내부 예측 방법과 장치)
[49] WO, 2017.05.23, PCT/KR2017/005351,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과 똑같은 일을 위한 기록 매체)
[50] WO, 2017.06.23, PCT/KR2017/00664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BASED IMAGE ENCODING/DECODING (변형 기반 영상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방법과 장치)
[51] WO, 2017.01.26, PCT/KR2017/000965,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BY USING PREDICTION (예측의 사용으로 비디오를 암호화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52] WO, 2017.01.26, PCT/KR2017/000967,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BY USING PREDICTION (예측의 사용으로 비디오를 암호화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53] WO, 2017.01.19, PCT/KR2017/000660, IMAGE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MAGE QUALITY DETERIORATION (화질 저하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미지 신호 A-LAW 상호 변환 장치와 장치)
[54] WO, 2016.02.01, PCT/KR2016/001094,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RESIDUAL SIGNAL (잔차 신호를 예상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55] WO, 2016.11.18, PCT/KR2016/013364,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IMAGE USING GEOMETRICALLY MODIFIED PICTURE (기하학적으로 수정된 픽처를 이용하는 암호화하거나 디코딩한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56] WO, 2016.11.18, PCT/KR2016/013366, METHOD AND DEVICE FOR ENCRYPTING/DECRYPTING IMAGE BY USING GEOMETRICALLY CHANGED IMAGE (기하학적으로 바뀐 이미지을 사용한 암호화/복호화 이미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
[57] WO, 2016.11.18, PCT/KR2016/013345,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영상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방법과 장치)
[58] WO, 2016.11.18, PCT/KR2016/013348, METHOD FOR DECODING VIDEO USING IN-LOOP FILTER, AND DEVICE THEREFOR (인루프 필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디코딩 비디오를 위한 방법)
[59] WO, 2016.11.18, PCT/KR2016/013363,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N-SCREEN PREDICTION MODE (화면 내 예측 모드를 암호화하거나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1] 2019.11.27, 1020190153898, 인지 민감 영역의 변화의 검출에 기반하는 비디오 화질 측정 방법 및 장치
[2] 2019.11.14, 1020190146160, 영역 차등적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장치
[3] 2019.11.06, 1020190140724, 양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영상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4] 2019.11.01, 1020190138467, 신경망을 사용하여 영상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5] 2019.09.25, 1020190118058, 문맥-적응적 엔트로피 모델을 사용하는 영상 처리를 위한 방법 및 방법
[6] 2019.03.29, 1020190036606, 딥 러닝에 기반하여 생성된 참조 프레임을 이용하는 인터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7] 2019.01.25, 1020190009837, 시간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영상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8] 2018.12.07, 1020180157404, 채널들 간의 선택적인 정보 공유를 사용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9] 2018.11.29, 1020180151413, 루프내 필터링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0] 2018.11.28, 102018014945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1] 2018.11.28, 1020180149433, 양방향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12] 2018.11.22, 1020180145618,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3] 2018.11.16, 102018014148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4] 2018.10.26, 1020180129182, 비대칭 서브 블록 기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15] 2018.10.19, 102018012546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6] 2018.10.18, 102018012415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7] 2018.10.10, 1020180120642,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18] 2018.09.28, 1020180115590,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19] 2018.09.21, 102018011394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0] 2018.09.20, 102018011291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1] 2018.08.20, 102018009656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2] 2018.07.31, 1020180089465,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3] 2018.07.16, 1020180082495, MSSSIM 및 KL Divergence 기반 의사 율-왜곡 평가 함수와 복수개의 영상처리 필터를 이용한 동영상 전처리 방법 및 장치
[24] 2018.06.21, 1020180071488,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5] 2018.06.05, 102018006483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6] 2018.05.03, 1020180051225, 주관적 화질 대비 영상 압축률 향상을 위한 부호화 방법 및 장치
[27] 2018.04.27, 102018004887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28] 2018.03.22, 1020180033279, 참조 블록을 사용하는 예측 방법 및 장치
[29] 2018.03.22, 1020180033424, 블록 형태에 기반한 예측 방법 및 장치
[30] 2018.01.02, 102018000020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1] 2017.11.28, 1020170160229,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2] 2017.11.28, 1020170160140,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3] 2017.11.28, 102017016014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4] 2017.11.28, 102017016075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5] 2017.11.28, 1020170160978, 필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36] 2017.11.27, 1020170159255,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7] 2017.11.27, 1020170159459,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8] 2017.11.22, 102017015655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39] 2017.11.22, 102017015630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0] 2017.11.22, 1020170156306,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1] 2017.10.24, 102017013816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2] 2017.10.23, 1020170137386,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3] 2017.09.29, 102017012728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4] 2017.09.26, 1020170124509,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5] 2017.09.26, 1020170124270,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6] 2017.09.22, 1020170122430,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7] 2017.09.11, 1020170115726,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48] 2017.08.09, 102017010092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49] 2017.08.01, 102017009760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50] 2017.08.01, 102017009760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51] 2017.07.18, 1020170091138,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52] 2017.07.17, 1020170090346,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53] 2017.07.12, 102017008851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54] 2017.07.11, 1020170087864,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55] 2017.07.10, 1020170087142,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56] 2017.06.23, 1020170079593, 변환 기반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57] 2017.06.15, 1020170075843,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58] 2017.05.23, 1020170063567,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59] 2017.01.25, 1020170012161,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60] 2017.01.25, 1020170012160,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61] 2017.01.19, 1020170009030, 화질 열화 감소를 위한 영상 신호 변환 방법 및 장치
[62] 2017.01.13, 1020170006106, 영상 신호 변환 방법
[63] 2016.11.18, 1020160154385, 화면내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64] 2016.11.18, 1020160154317, 휘도 조정 방법
[65] 2016.11.18, 1020160154387, 기하 변환 영상을 이용하는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66] 2016.11.18, 1020160154386, 기하 변환 픽처를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67] 2016.11.18, 1020160154318, 인루프 필터를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68] 2016.11.18, 1020160154319, 비선형 매핑을 통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69] 2016.11.17, 102016015346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70] 2016.11.10, 1020160149630, 픽셀의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인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71] 2016.11.10, 1020160149629, 병렬처리 부호화 환경에서 적응적 움직임 탐색영역 설정 방법 및 장치
[72] 2016.10.11, 1020160131506, 영상 복잡도에 기반한 적응적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73] 2016.07.15, 1020160089728, 화면간 예측 향상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74] 2016.07.14, 1020160089419, 화면내 예측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75] 2016.01.05, 1020160001240, 잔차 신호에 대한 예측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