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윤(1987~)
현지윤(1987~)
현지윤은 회화라는, 지난 그리움을 복귀하는 기나긴 회고록 한편에, 애절하지만 슬프지 않은 흔적을 남긴다. 오랫동안 여름볕 아래 남은 자와 떠난 자는 서로를 기다리는 어느 교차로에서 공룡의 시원한 그늘을 찾는다. 가족을 그리워하는 바람곁에서 공원 조형물과 유품 속 인형을 그리는 회화는 이별을 연습하는 움직임이다. 화면 속 여럿이자 하나인 현지윤 자신을 표현하는 회화는 단편적 유년시절 장면과 장면을 결합하거나 분절하며 다층적인 복합체로서의 기억을 드러낸다. 그것은 어느 시점부터 모습을 감춘 또 다른 '공룡'이다. 앞선 기다림 이후 울음이 들리는 저마다의 우물(공동기억)을 살피는 표정은 기뻐하지만 넘치지 않는다.
꿈의 대화
2024
캔버스에 유채
162.2x336.3cm
KRW 22,000,000
전시 및 작품구매 문의는 소현문(070-81281-4927 / shm_official@naver.co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현지윤
[작가의 글]
마음 한 켠에 그리움의 방이 있다
1996년 6월 3일 화요일, 날씨 맑음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나뭇잎이 아직 물들지 않은 은행나무에 앉아 ‘지지배배 지지배배’하고 우는 참새 한 마리를 보았다. 아빠를 잃어버린 것 같았다. 신호로 아빠를 찾는 것 같았다. 그런데 만약, 내가 목소리 고운 참새의 친구가 되었을 때 아빠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을 것 같았다. 우울하게 앉아 아빠를 찾는 그 참새가 불쌍했다. 내가 도와주고 싶어도 참새는 낯선 사람을 보면 도망칠 것 같아 천천히 집으로 갔다. ‘아기 참새가 아빠를 만나야 할텐데’ 하고 생각했다.
1997년 토요일 날씨 맑음, 할머니 방에서
할머니 방에서 자려고 했다. 오랜만에 할머니와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기 때문이다.
할머니의 비밀 한 가지를 찾아냈다. 그것은 바로 전기를 아끼시는 것과 물건을 함부로 다루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 점에서 많은 것을 느꼈다. 할머니와 함께 지내는데 텐트에서 자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따뜻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은 할머니의 사랑과 손길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할머니 방에서는 참 재미있었다.
11살 생일이었다. 아빠는 연보라색 트리케라톱스 인형을 생일 선물로 주셨다. 생일에 늦게 퇴근한 아빠에게 서운했고, 아빠가 건넨 선물이 마음에 들지 않아 툴툴댔었다. 인형을 좋아해서 특별한 날마다 다양한 인형을 선물로 주셨는데 유독 내 취향에 맞지 않는 공룡 인형이었다. 둔한 갈퀴와 뿔, 촌스러운 색상, 짧은 털, 모든 생김새가 맘에 들지 않았다. 인형에 억지로 정을 붙이려고 안았을 때도 몽글몽글한 포근함이 없어 손이 가지 않던 인형이었다. 그렇게 인형은 내 기억 속에서 잊혀갔다.
아빠의 부재에 오랜 시간 상실감 속에서 헤맸다. 무기력한 시간을 보내다 오랫동안 미뤄둔 짐정리를 하기로 결심했다. 창고에서 먼지가 쌓여 뿌옇고 희미해진 이 인형을 발견했다. 아빠의 유품을 모두 정리하고도 남은 인형 하나. 이 인형을 보자마자 생일날의 기억이 떠올랐다. 영화 토이스토리에 나오는 장난감 우디의 주인처럼 나 또한 자라면서 낡은 인형들을 정리했는데 신기하게도 시간이 흘러 유일하게 남은 인형이다. 현재는 ‘코뿔소’라는 이름으로 함께 하는 친구가 되었다.
내 마음 한켠에는 그리움의 방이 하나 있다. 그리운 사람들을 떠올릴 때마다 열어보는 방이다. 그 방에는 아빠도 있고, 할머니도 있고, 또 그리운 사람들이 있다. 아직 다 전하지 못한 말이 많아서 마음 한켠의 문을 열고 대화를 청한다. 돌아오는 목소리는 없지만 언제든 열어볼 수 있는 그리움의 방이 있다.
학력
2010 건국대학교 현대미술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3 ⟪산책.zip⟫, 인가희 갤러리, 서울
2022 ⟪고립을 벗어난 몸짓⟫, 경기상상캠퍼스 멀티벙커, 수원
2021 ⟪상실일기 Diary of Loss⟫, 아트스페이스 영, 서울
2020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머니⟫, 해움미술관, 수원
2017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2⟫, 굿모닝 하우스, 수원
2017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1⟫, 행궁길 갤러리, 수원
2017 ⟪사부인 : Two grandmothers⟫ , 대안공간 눈, 수원
2015 ⟪사부인⟫ ,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주요 참여전시
2024 ⟪세상의 모든 드로잉⟫, 아터테인, 서울
2023 푸른지대창작샘터 결과보고전 ⟪ONEPIECES⟫, 복합문화센터 111CM, 수원
2023 ⟪수원문화재 야행⟫, 화성행궁, 수원
2023 ⟪뉴 본 아티스트⟫, 동탄아트스페이스, 화성
2022 ⟪수원문화재 야행⟫, 화성행궁 광장, 수원
2022 ⟪행궁유람 행행행⟫,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21 ⟪감각의 미술관⟫, 경기상상캠퍼스 공간 1986, 수원
2021 수원공공예술 ⟪도시충;동 예술충;동⟫, 청려원 갤러리, 수원
2020 생생화화 生生化化 ⟪이연연상 Bisociation⟫,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2018 ⟪안녕하신가영⟫,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영화제
2023 서울영등포국제초단편영화제, CGV영등포, 서울
2022 김포국제청소년영화제, 김포아트홀, 김포
2022 충무로독립단편영화제 ,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블루, 서울
2022 대청호가 그린 영화제, 대청호 대청공원, 대전
2021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온라인 상영, 서울
2021 서울무용영화제 회고전,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블루, 서울
2020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회고전, 온라인 상영, 서울
2020 전북가족영화제 폐막작, 전주 시네마타운, 전주
2020 울산단편영화제, 일산해수욕장, 울산
2019 서울무용영화제, 아트나인(메가박스 이수), 서울
2019 충무로단편영화제, 서울 중구 청소년회관, 서울
2019 미사리음악영화제, 하남문화예술회관 아랑홀, 하남
2019 도시재생 29초 영화제, 한국경제신문, 서울
2019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CGV영등포, 서울
2016 대전독립영화제, CGV 대전 아트하우스, 대전
2015 인디포럼, 롯데시네마 피카디리, 서울
2015 가톨릭영화제,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 서울,
2014 서울노인영화제, 서울극장, 서울
퍼포먼스
2021 ⟪Jiyun's painting show in the forest⟫,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3-2014 ⟪오리지널 드로잉쇼⟫, 경향아트힐, 서울/ 그랜드 하얏트 심양, 중국/ 현대자동차 연수원, 용인/ 거제 삼성호텔, 거제도/ 김포공항, 김포/ 서울랜드, 과천
수상
2022 김포국제청소년영화제 환경부문 람사르의 쇠부엉이상
2022 충무로독립단편영화제 특별부문 미술상
2020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 회고전 인기상
2019 서울무용영화제 Sedaff BEST 10
2019 충무로단편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
2019 미사리음악영화제 최우수상
2019 도시재생 29초영화제 특별상
2014 서울노인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언급
프로젝트 상영 / 방영 Project Screenings / Broadcasting
2022 KTV 국민방송 독립예술극장 (Jiyun's painting show)
2020 KTV 국민방송 독립예술극장 (어서와 어르신은 처음이지?)
2019 행궁동 도시재생 축제, 수원, 한국 (어서와 어르신은 처음이지?)
2019 곽민규 배우전, Nothingbutfilm, 에무시네마, 서울, 한국 (뿡빵삥뽕 인형극장)
2019 곽민규 배우전, Nothingbutfilm, 자체휴강시네마, 서울, 한국 (뿡빵삥뽕 인형극장)
2016 OBS 꿈꾸는U, (사부인)
독립출판 / 북페어
2023 ⟪Pieces of Loss⟫, 화성시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23 ⟪30마리 개들의 꼬리잡기 대회⟫, 화성시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22 ⟪퍼블리셔스테이블⟫, 무신사 테라스, 서울, 한국
2022 ⟪그루그루팜⟫, 경기상상캠퍼스 디자인1978, 수원, 한국
2021 ⟪Jiyun’s painting show⟫, 경기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20 ⟪신중년도감⟫, 경기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20 ⟪요양원을 넘어 도망친 90세 노인⟫,수원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19 ⟪퍼블리셔스테이블⟫, 디뮤지엄, 서울, 한국
2018 ⟪어서와 어르신은 처음이지?⟫, 수원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17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수원문화재단 지원 독립출판
2016 Drawing book ⟪TURKEY⟫, 독립출판
2014 Drawing book ⟪INDIA⟫,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한국
레지던시
2023 푸른지대 창작샘터, 수원문화재단
2020-2022 경기상상캠퍼스, 경기문화재단
작품 소장
2021-2024 개인 컬렉터 소장
2020 KTV 국민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