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및 채점에서는 채점은 어떻게 준비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채점 시 유의사항
가. 채점 전 교수님과 다른 TA들과 반드시 의논하여 같은 채점 기준으로 공정하게 채점을 해야합니다. 정답이 하나 이상인 문항을 꼭 체크하시고, 부분 점수 인정에 대해서도 사전에 논의하십시오.
나. 많은 양의 답안지를 채점할 때는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소량의 답안지를 채점하고 잠깐 휴식을 취하고 다시 소량의 답안지를 채점하는 방식을 취하시거나, 한 문항에 해당하는 모든 답안지를 매긴 후 잠깐 휴식을 취하십시오. 매 휴식 후에는 이전에 매겼던 답안지 2~3개를 다시 한 번 읽어봄으로써 채점의 일관성을 유지하십시오.
다. 또 다른 다량의 답안지 채점 방법으로는 채점 전에 전체 답안을 쭉 한 번 훑어보아 답안의 수준을 검토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한 문항씩 채점을 하며 점수를 부여하십시오. 만약 학생들 대부분의 시험 답안 수준이 낮다면, 배점을 수정한 후 채점하십시오.
라. 만약 여러 명의 TA가 시험 답안지를 채점한다면, 채점의 일관성을 위하여 한 문항은 반드시 한 명의 TA가 전담하여 채점하도록 합니다.
마. 학기에 걸쳐 시험 답안지를 채점해야한다면, 공정성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학기 초에는 관대하게 채점하였다가 학기 말에 까다롭게 채점하는 비일관적 채점 방식을 취하지 마십시오.
바. 페이퍼 채점 시에는 마지막에 TA의 코멘트를 달아주십시오. 학생들이 코멘트로부터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도록 충분하게 코멘트를 남기십시오. 페이퍼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모두 코멘트 해주십시오. 페이퍼를 잘 작성하지 못한 학생도 잘한 점(good point)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면 기뻐할 것입니다.
사. 서술형 시험의 답안지의 경우 부분 점수에 대한 규정을 꼭 만드십시오. 부분 점수를 어느 부분에서 받았는지 명시해주십시오.
아. TA님의 채점 결과물을 잘 보관해두십시오. 이는 학생들이 이의제기를 할 때 유용할 것입니다. 만일 재채점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학생이 떠난 후에 꼼꼼히 다시 답안지를 검토하면서 재채점을 하십시오. 만약 재채점 후에도 성적이 같다면, 그 이유를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십시오.
자. 학생 개인의 성적을 전체에게 공개하지 마십시오.
차. 모범답안과 전체 시험 결과(반 평균, 중앙값, A, B, C, D, F, 등급 기준 점수)를 공지하십시오. 학생들은 전체 시험 결과를 보면서 자신이 얼마나 잘했는지 혹은 못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범답안에는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실수들을 표시해두십시오. 이는 후에 학생들이 TA님께 자주 질문을 하러 오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채점기준표(rubric)의 정의와 채점기준표(rubric) 예시(samples)
채점기준표(rubric)란?
루브릭은 평가 도구(evaluation tool)나 지침(guidelines)을 말합니다. 루브릭은 학습 기대, 학습 목표 혹은 강의실내에서의 학습 기준점에 대한 일관성있는 적용을 촉진합니다. 또한 루브릭은 일정한 기준에 근거한 학생의 성취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루브릭은 학생들에게 학문적 기대(academic expectations)를 명확히 제시하고, 학생 답안에 대한 일관된 채점을 가능하게 합니다.
출처: Rubric Definition (edglossary.org)
채점기준표(rubric)를 사용하는 이유
루브릭을 사용하면 각 성취 단계별 기준을 세우고 학생들의 수행을 지도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이 기준을 명확하고 뚜렷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많은 대학의 교수님들께서 채점기준표(rubric)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채점기준표(rubric)의 장점
가. 교수님들께서 느끼시는 채점기준표(rubric)의 장점
1) 학생 답안지를 일관성있게 채점할 수 있다.
2) 채점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때를 맞춰 효과적인 피드백을 학생들에게 줄 수 있고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다.
4) 과제에 대해 교수님께서 기대하시는 수준과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내용을 TA와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3) 루브릭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수법을 수정할 수 있다.
나. 학생들이 느끼는 채점기준표(rubric)의 장점
1) 교수님께서 기대하시는 과제 결과물의 수준과 과제물에 들어가야할 필수 내용을 알 수 있다.
2) 본인의 학습과정과 향상 정도를 알 수 있다.
3) 제때 효과적인 피드백을 받아 본인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채점기준표(rubric)의 종류
가. 총체적 채점기준표
총체적 채점기준표는 가장 대표적인 루브릭입니다. 3~5개의 수행 능력을 리스트로 나타내며 각 단계에 대한 총체적 설명을 적어야 합니다.
나. 분석적 채점기준표
분석적 채점기준표는 과제의 특성을 몇 부분으로 나누어서 채점하는 방식입니다. 이 채점기준표는 채점자가 각 답안지의 강점과 약점을 기술하는데 편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처: CEILS Rubric Examples - Google Docs
채점기준표(rubric) 예시(samples)
참고: Holistic vs Analytic Rubrics - Understanding Rubrics (weeb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