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호

박준호 교수

주요 경력 | 분당차병원 약리학교실 부교수

차미래의학연구원 단백체 연구팀장

(前) 콜롬비아대학교 의과대학 Post-doc

|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연구 기술 분야 | 질량분석 기반 단백체학, 바이오마커 개발 ,생물정보학

세부 분야 | 임상 단백체학, 단백질 바이오마커

핵심어 | 퇴행성 뇌질환 단백체 네트워크, 단백체 기반 난치암 아형 분류, 단일 세포 단백체학, 혈액 바이오마커 개발

주요 연구분야


차의과학대학교 단백체 연구팀 (CHA Proteomics Research Team)에서는 질량분석기를 활용한 단백체 분석 연구질병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를 수행할 예정임.


1. 난치암, 치매 등 분자적 기전이 불명확한 질병을 대상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네트워크를 규명함.

2. 질환 상태에서 혈액 및 조직 내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실용화 방안을 수립함.

3. 보다 효율적으로, 보다 신뢰도 높은 단백체 빅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차세대 단백체 분석 신기술을 개발함.

4. 유전체 서열 데이터와 단백체 발현 및 PTM 데이터의 통합 분석 (다중 오믹스 연구)

5. 대량의 단백질 발현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주요 바이오마커 후보를 찾는 통계&생물정보학 분석 기법 연구

주요 연구 분야

주요 연구 실적

주요 발표 논문


  • 단백체학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관련 연구 논문 – 6편 (주저자 3편)

  • 단백체 분석 기술 개발 관련 연구 논문 – 2편 (주저자 2편)

  • 기초 의생명과학 관련 연구 논문 – 4편 (주저자 1편)

  • 종설 논문 – 1편 (주저자 1편)


1. In‐depth blood proteome profiling analysis revealed distinc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lasma proteins between severe and non‐severe COVID‐19 patients. Scientific Reports (IF = 4.38), 2020

2. In-Depth Investigation of Low-Abundance Proteins in Matured and Filling Stages Seeds of Glycine max Employing a Combination of Protamine Sulfate Precipitation and TMT-Based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Cells (IF = 6.6), 2020

3. Quantitative proteomics reveals distinct molecular signatures of different cerebellum-dependent learning paradigms. Journal of Proteome Research (IF = 4.47), 2020

4. Identification of TUBB2A by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as a novel biomarker for the prediction of distant metastatic breast cancer. Clinical Proteomics (IF = 3.48), 2020

5. Parallel Reaction Monitoring-Mass Spectrometry (PRM-MS)-Based Targeted Proteomic Surrogates for Intrinsic Subtypes in Breast Cancer: Comparative Analysis with Immunohistochemical Phenotypes. Journal of Proteome Research (IF = 4.47), 2019

6. Deep Proteome Profiling of Hippocampus in 5XFAD Mouse Model Uncovers Biological Process Alterations and a Novel Biomarker of Alzheimer's Disease.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IF = 8.72), 2019

7.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Identifies AHNAK (Neuroblast Differentiation-associated Protein AHNAK) as a Novel Candidate Biomarker for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Diagnosis by Liquid-based Cytology. Molecular & Cellular Proteomics (IF = 5.91), 2018

8. Molecular and functional signatures in a novel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assessed by quantitative proteomics. Molecular Neurodegeneration (IF = 14.20, JCR ranking < 4% in Neuroscienc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