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Research Mission
개인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건강이 악화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개입(intervention)에 중점을 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ollaboration Approach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진행] - [프로그램 평가] 단계까지 다양한 과정에서 원하는 니즈에 맞춰 협업할 수 있습니다.
Needs assessment ㅣ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 평가
Logic model 로직 모델 ㅣ 연구의 투입물(inputs), 활동(activities), 산출물(outputs), 그리고 성과물(outcomes)들을 식별하고, 도식화하는 작업
Formative evaluation l 현재 개발 중인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문제 해결하기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제대로 진행하고 있는지, 참가자들에게 프로그램이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개입에 대한 (질적인) 평가
Program description
Program monitoring
Quality assurance
연구 설계에 적절한 통계분석
다양한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일반화가능도 조사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Ongoing & Past Projects (2011~ )
대상 : 아동청소년
개입 : 한국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예방 및 진흥시키는 근거 기반 마음챙김 프로그램
연구 목표 : 근거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대상 : 라틴계 취학전 아동
개입 : 언어 발달을 위해 선생님과 함께 책 읽기 프로젝트
PI : Jorge E. Gonzalez (전 University of Houston, 현 Trinitiy Universtiy)
개입 : 올바른 부모 교육을 통해 자녀들이 부모 이혼 이후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
PI : Sharlene Wolchik (REA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대상 : 중학생
연구 : 정신건강을 위한 가정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의 효율성(effectiveness) 검증 프로젝트. 또한, 사춘기에서 성인초기로 가는 발달과정을 친구들과 연인과의 관계를 통해 탐구
개입 : 경제적 곤란에 있는 가정들에게 강점을 중심으로 하는 부모 교육과 가족 운영을 도와 가정의 건강을 진흥/ 예방.
PI : Thomas J. Dishion (REA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개입 : 탄력적 부모 교육을 통해 가족 구성원을 잃은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
PI : Irwin N. Sandler (REACH Institute, Arizona State University)
연구 : 초등교육 때 학년 유급이 고등학교 졸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PI : Jan Hughes (Texas A&M University)
연구 : 라틴계 사람들 고유의 건강행동 연구. 특히, 2019년 부터 온라인 금연 프로그램을 시행
PI : Virmarie Correa-Fernandez (University of Houston)
연구 : 중, 고등학생들의 사회정서행동 진흥을 위해 여름방학 동안 캠프 실시
PI :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of Houston
대상 : 중, 고등학생
개입 : 교내 사회정서학습 수업과 외부활동(예: 주말 특별활동, 여름 캠프)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정서행동을 진흥시키고, 학교생활을 무사히 끝마칠 수 있도록 돕는 개입
Co-PIs: Bradley H. Smith, Jorge E. Gonzalez, & Hanjoe Kim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of Hou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