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료(또는 예정)한 교육대학원생이 신청하여 한 학기 등록금을 내고, 전공 두 과목을 듣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현장연구보고서를 제출하면 석사학위를 주는 제도입니다.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교육대학원 수료 (또는 해당학기 수료 예정)
외국어시험 합격 (또는 해당학기 응시자)
종합시험 합격 (또는 해당학기 응시자)
연구윤리 교육 이수(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만 해당)
지도교수가 재직중(휴직이나 연구년 중이라도 현장연구보고서를 지도할 수 있으면 됨)
만약 수료한지 오래되어 지도교수님이 퇴직하셨다면, 지도를 받고 싶은 교수님께 별도로 연락드려서 지도교수를 맡아주시겠다고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지도교수 추천을 받음
신청하는 학기 출석수업 시작일부터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사람 (재직중인 학교 방학이 늦어 3일 이상 수업을 못 들으면 F처리되어 이수 불가)
교육대학원 학기는 3월과 9월에 시작합니다. 학기 시작 약 2개월 전에 신청 안내가 게시됩니다.
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교육대학원) 게시판에 올라오는 내용은 모든 전공에 해당되는 기본 내용이기 때문에, 자세한 제출 방식은 전공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에 올라오는 신청 안내에 따라 신청하셔야 합니다. (키워드 '논문대체'로 검색)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에 올라온 신청 안내에 따르지 않을 경우, 논문대체학점 이수제 대상자로 추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모두 학기 시작은 3월과 9월입니다.
비록 출석 수업은 여름과 겨울에 있지만, 학기는 3, 9월에 시작됩니다. 따라서 수강신청 후 학기가 시작되는 3, 9월부터 교과목에 따라 과제가 나갈 수도 있습니다.
과제를 제때 제출하지 않으면 B0 미만 성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한 과목이라도 B0 미만의 성적을 받으면 논문대체학점을 이수하지 못했으므로, 학위도 취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강 신청하기 전부터 학기가 시작된 후에도 틈틈이 강의계획서를 잘 살펴보고, 교과목에 따라 수업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과제는 없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교과목에 따라 청람사이버에 알림이 올라올 수 있으니, 청람사이버(et.knue.ac.kr)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학적에 등록된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로 담당교수님이 직접 공지할 수도 있습니다. 통합학사에 저장된 본인 학적을 확인해서 현재 연락처와 다른 게 있으면 미리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직접 수정이 안 되면 대학원 학적 담당자(043-230-3801)에게 요청하세요.
감염병 때문에 출석수업 기간 이전에 수업을 당겨서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교과목 담당 교수님이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된 휴대폰 번호나 이메일 주소로 알릴 수 있습니다.
두 과목(총 6학점)을 들어야 합니다.
전공 과목이어야 합니다. 전공 과목은 본인 전공(영어교육 or 초등영어교육)에서 개설된 과목이나 '영어교육학과' 카테고리에서 개설된 과목입니다.
전공과목이기만 하면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 구분은 상관없습니다. (교과교육학 2개나 교과내용학 2개를 들어도 상관없음)
오전 수업 하나, 오후 수업 하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전 수업 두 개나 오후 수업 두 개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이미 이수한 과목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교과목명이 한 글자라도 다르면 다른 과목입니다. 교과목명이 모두 같아야 같은 과목입니다.
대학원 다닐 때 F 학점을 받은 교과목은 다시 이수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는 학기에 들을 수 있는 과목이 있는지를 본인이 직접 확인한 후 신청하라는 취지입니다.
실제 수강신청을 할 때, (마음이 바뀌거나 수강신청 제한 인원이 이미 꽉 차서) 신청서에 적은 수강신청 예정 교과목과 다른 교과목을 신청해도 무방하지만, 위 조건은 만족해야 합니다.
해당 학기 재학생과 동일한 기간/동일한 시스템에서 수강신청합니다.
수강신청 안내는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교과목별 수강신청 인원 제한이 있고 재학생과 함께 듣게 되므로, 수강신청이 열리자마자 신청하지 않으면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수강 신청에 실패하여 한 학기를 유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성적이 B0 이상일 경우에만 논문대체학점을 이수하였다고 인정받기 때문에, 한 과목이라도 B0 미만 성적을 받으면 학위 수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학위를 취득할 수 없습니다(등록금과 시간 날림).
그렇게 되면 논문대체학점 이수제를 처음부터 새로 신청하거나(한 학기 등록금을 또 납부하고 수업 두 개 또 들음), 학위청구논문 심사를 받아서 통과해야 졸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업의 1/4 이상 결석하는 등) 두 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B0 이상 성적을 받기 어렵겠다고 예상할 경우, '등록 유예'를 신청하여 해당학기 수강 내역을 모두 포기하고 다음 학기나 그 이후에 새로 수강신청하는 게 낫습니다.
등록 유예는 수업일수 개시 4분의 1선까지 신청할 수 있으므로, 출석수업 둘째날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통합학사에서 신청)
현장연구보고서는 학생 지도와 관련된 교육, 연구 보고서로, '학생 지도 사례 보고'나 '프로젝트 과제 따위 통한 보고서'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현장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표지는 아래 링크를 눌러 한글 파일을 다운받아 수정하여 쓰세요.
보고서 주제, 분량, 형식, 내용은 따로 정해진 게 없습니다. 보고서와 관련된 모든 일은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분량과 형식 정도는 아래 링크 게시판 샘플을 참고하세요. (표지와 목차까지만 공개되어 있습니다. 전체 보고서는 관련 규정이 없어 공개하지 않습니다.)
논문대체학점이수제 이수대상자 승인 연락을 받으면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여 보고서 주제를 정하고, 바로 쓰기 시작해야 합니다. 교육대학원 출석 수업 기간은 완성본을 제출하는 때입니다.
수강 신청만 해 놓고 지도교수님께 연락 한 번 안 드리다가, 제출할 때가 돼서야 지도교수님께 연락드려서 '어떻게 써야 할까요?' 물어보면 실례입니다.
제출일이 거의 다 돼서야 지도교수님께 연락하면, 해당 학기에 보고서가 통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당 학기 졸업할 수 없음)
현장연구보고서는 교육대학원 출석수업 기간에 제출합니다.
출석수업기간이 임박하면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에 "0000-0 교육대학원 논문대체학점 이수자 현장연구보고서 제출 안내"와 비슷한 제목으로 공지가 게시됩니다.
해당 알림에 안내된 절차에 따라 기한 안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6학점은 잘 이수했는데 현장연구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하면 '논문대체수료' 처리가 되어 해당학기 졸업은 안 됩니다.
다만 그 이후에 현장연구보고서를 제출하면 제출한 학기를 기준으로 졸업 처리됩니다.
e.g. 2021년 2학기에 6학점을 들었지만 현장연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고 2022년 1학기에 제출하면 2022년 8월 졸업
논문대체수료 후 몇 학기 이내에 졸업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으나 제출을 미룰수록 졸업하기 어려우니까 되도록 제때 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