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 모두 통과해야 논문 심사 신청할 자격이 됩니다. (교육대학원의 경우 논문대체학점 이수제 신청 자격)
외국어시험은 외국어 능력을, 종합시험은 전공 지식을 평가합니다.
외국어시험은 여러 종류의 외국어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습니다.
둘 다 합격해야 본논문 발표 및 논문 심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계획서 발표와는 무관)
합격하지 못해도 수료는 할 수 있습니다.
일반영어(독해력/어휘력 따위) 능력을 평가합니다.
객관식이나 단답형 20문항이며, 문항당 5점입니다.
100점 만점에 석사는 60점 이상, 박사는 70점 이상 합격입니다.
참고 서적이나 시험 범위는 따로 없고, 기출문제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 공인어학성적으로 면제받을 수 있음
공인어학성적으로 외국어시험 면제받을 수 있음
신청 자격: 외국어시험 응시 자격과 동일
(석사) 시험 당해학기에 2개 학기 이상 등록한 사람
(박사) 시험 당해학기에 3개 학기 이상 동록한 사람
공인어학성적의 인정 기준
인정 기준일: 외국어시험 신청 마감일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인증서는 인정 기준일 3년 이내 취득한 성적이어야 함
면제 기준
영어
TOEFL (PBT 600점, CBT 250점, IBT 100점)
TOEIC 850점
신TEPS 338점
IELTS 7.0
독어
Goethe-Zertifkat A2
telc A2
SNULT A2
FLEX 3A
불어
DEFL A2
FLEX 3A
중국어
신HSK 5급
일어
JPT 600점
JLPT 2급
한국어
TOPIK 4급 (외국인만)
한국교원대학교 글로벌언어교육센터 산국어강좌 150시간 이수 (글로벌교육리더십전공)
종합시험 치는 학기의 직전학기까지 이수한 교과목 중 4과목을 선택하게 됩니다.
본교 대학원 과정에서 이수한 전공 과목만 해당됩니다.
지도교수님의 과목을 꼭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물지만 다른 대학원에서 이수한 과목을 본교 대학원 과목으로 학점인정받은 과목도 시험을 볼 수는 있습니다만, 전혀 배우지 않은 내용이 문제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교원자격무시험검정을 위해 입학할 때 학부 과목으로 인정받은 과목은 종합시험과 무관합니다.
전공과목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교육학공통, 다른 전공 수업은 선택할 수 없음)
전공과목 중 교과교육학 2과목 + 교과내용학 2과목을 선택합니다. (교과교육학 1과목 + 교과내용학 3과목도 무방)
영역별로 평균 60점 이상 합격입니다.
한 영역이라도 평균 60점 미만이면 해당 영역 과락으로 인한 불합격입니다.
과락으로 불합격하면 따로 안내드리며, 다음 학기 시험에서 해당 영역만 응시하시면 됩니다(조교에게 물어보세요)
e.g. 교과 A과목 100점, 교과 B과목 50점, 교내 C과목 70점, 교내 D과목 30점이면, 교과영역은 합격이나 교내 평균 50점으로 과락으로 인한 불합격 처리됨. 다음 학기에 교과A과목, 교과B과목은 똑같이 신청하고(합격처리됨), 교내영역 두 과목은 다른 과목을 선택해도 되며, 시험은 교내 두 과목만 치게 됨.
기출문제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수한 교과목을 선택하는 석사과정과는 달리, 박사과정은 A유형으로 종합시험 신청 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미문학 중 본인의 주전공 한 분야와 부전공 한 분야를 선택하여 조교에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시험 범위
주전공: Reading List 중 해당 분야의 모든 책
부전공: Reading List 중 "*" 표시한 책
Reading List 링크: https://docs.google.com/document/d/15id0flud6KL2mhSm8h48DLTmPVqedMrAkTV-BUBU4ls/edit?usp=sharing
시험 형식
주전공에서 4문제, 부전공에서 2문제 출제 (총 6문제)
각 문제당 100점 만점, 영역별 평균 70점 이상 합격
시험시간: 2시간
과락
두 분야 중 한 분야가 불합격하면 과락으로 종합시험은 불합격 처리됩니다. 다음학기 종합시험에선 불합격한 분야의 문제만 나옵니다.(꼭 조교에게 연락해주시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과락 예시
주전공분야 4문제의 평균 75점: 합격
부전공분야 2문제의 평균 65점: 과락
과락이므로 종합시험은 불합격 처리되며, 차기 종합시험에서 부전공 분야의 2문제만 재응시하면 됨
기출문제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논문 게재 실적과 연구 발표 실적의 합이 200% 이상인 경우, 그 증빙자료를 내어 학과 평가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여야 함.
단, 논문 게재 실적으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제1저자로 게재한 논문을 포함하거나, 혹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실적이 100% 이상이어야 함.
실적 인정 기간: 박사과정 입학일부터 종합시험 응시원서 접수 마감일
논문 게재 실적 = (A) 논문 게재 실적 환산 비율 X (B) 학술지 등급별 인정 점수
연구 발표 실적 = (C) 연구 발표 실적 환산 비율 X (D) 발표대회 등급별 인정 점수 (연구 발표는 포스터 발표를 포함함)
(A) 논문 게재 실적 환산 비율
단독연구 100% (=저자 본인 1명)
2인 공동연구의 제1저자 70%, 교신저자나 공동저자 60%
3인 공동연구의 제1저자 60%, 교신저자나 공동저자 50%
4인 이상 공동연구의 제1저자 50%, 교신저자나 공동저자 40%
(B) 학술지 등급별 인정 점수
A등급(2.0): 국제전문학술지(SCOPUS나 SSCI급 이상)
B등급(1.0):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SCOPUS나 SSCI급 이외의 국제학술지
C등급(0.7): 교내 연구소 학술지
(C) 연구 발표 실적 환산 비율
단독 발표 50%
2인 공동 발표 40%
3인 이상 공동 발표 30%
(D) 발표대회 등급별 인정 점수
A등급(1.0): 국제학술대회
B등급(0.7): 국내학술대회
C등급(0.5): A등급과 B등급을 제외한 그 밖의 발표대회(예: 학과 콜로퀴엄, 세미나, 초청 강연 따위)
[예시 1]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제1저자로 게재한 2인 공동연구 1편,
한국연구재단 등재 후보 학술지에 공동저자로 게재한 2인 공동연구 1편,
교내 학술지에 공동저자로 게재한 2인 공동연구 1편,
국내학술대회 단독 발표 1회
→ (1) 70% X 1.0 = 70%, (2) 60% X 1.0 = 60%, (3) 60% X 0.7 = 42%, (4) 50% X 0.7 = 35% → 총 실적은 207%로, 종합시험 면제 조건을 만족함
[예시 2]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공동저자로 게재한 2인 공동연구 1편,
SCOPUS나 SSCI 급 이외의 국제학술지에 제1저자로 게재한 2인 공동연구 1편,
교내 연구소 학술지에 단독으로 게재한 논문 1편
→ (1) 60% X 1.0 = 60%, (2) 70% X 1.0 = 70%, (3) 100% X 0.7 = 70% → 총 실적은 200%이나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제1저자로 게재한 논문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실적이 100%에 못 미치므로, 종합시험 면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함
유형2: 학술활동평가의 경우에도, 해당 학기 정해진 기간에 종합시험에 제대로 응시하고 응시료를 납부해야 함
응시한 후 조교에게 연락하여 "유형2:학술활동평가"라고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학과 평가위원회는 영어교육전공 주임교수, 초등영어교육전공 주임교수, 전공주임교수가 추천한 교수 1인의 총 3인으로 구성됨
증빙 제출 방법은 신청자에게 따로 안내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