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와 관련된 전공의 학사 학위가 있고
영어와 관련된 학사학위 여부를 판단받기 위해 원서접수 전 전공 과목을 30학점 이상 인정받고
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대학원 졸업에 필요한 학점과는 별개로) 교직과목(평균 80점 이상)과 전공과목(평균 75점 이상)을 이수하고
재학 중에 예비교사 성인지교육 2회,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교직 적성 인성 검사를 통과하고
2~4학기에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을 통과하고
마지막 학기에 마약류 중독여부 진단서와 함께 '교직과목 및 전공과목 이수(예정) 내역'을 작성하여 제출하고
성범죄 경력 조회했을 때 문제가 없고
석사학위청구논문 심사에 통과하여 석사학위논문을 받을 수 있을 경우
학위수여식 당일에 학위기와 함께 교원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학점인정 신청 안내, 수강신청 안내, 교직과목 및 전공과목 이수(예정)내역 제출 안내, 논문심사신청안내, 외국어종합시험 신청안내 등는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에 게시됩니다.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본교 대학원에 진학을 준비하는 사람은 입학하기 전에 학부나 대학원에서 영어와 관련된 학과를 졸업해야 합니다.
관련학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전공 과목을 30학점 이상 인정받아야 합니다. 이때 학점 인정을 신청하는 시기는 모집 요강에 명시됩니다.
교직과목을 이수했을 경우, 교직과 전공과목을 합쳐서 30학점 이상(그 중 전공과목은 20학점 이상) 인정받아야 합니다.
아래 절차에 따라 필요한 서류를 올바르게 준비한 후, 모집 요강에 명시된 기간 안에 제출하셔야 학점 인정서를 발급해 드립니다.
모집 요강에 명시된 기간 내에 제출하지 않으면 학점 인정서 발급이 불가합니다.
학과에서 발급한 학점인정서를 원서 제출시 첨부해야 합니다.
원서 제출 전에 학점 인정서를 발급받지 못하면 합격하여 입학한다 하더라도 교원자격 취득이 불가합니다.
학부 성적증명서 pdf 파일로 준비
아래 링크를 열어 학점인정교과목.xlsx 파일 다운로드
[파일]-[다운로드]-[Microsoft Excel(.xlsx)]
엑셀 작성
(1)엑셀파일 오른쪽 부분의 한국교원대 영어교육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살펴본 다음,
(2)자신이 이수한 전공 교과목과 교과목명이 같거나 비슷한 교과목을 찾은 후,
(3)그 칸의 왼쪽 하늘색 부분에 자신이 이수한 전공과목의 '이수구분'과 '교과목명', '이수 시기', '취득학점', '성적'을 기입
마땅히 같거나 비슷한 교과목을 찾지 못한 교과목은 표 하단에 추가로 기입
강의계획서 준비
(1) 이수한 모든 전공과목의 강의계획서(실라버스/강좌소개/강좌해설 등)를 준비한 다음
(2) 각각 '교과목명.pdf'파일로 만든 후,
(3) '강의계획서.zip'파일로 압축
e.g. 영어회화.pdf, 영미희곡.pdf, 영어교육론.pdf, ... 등의 파일을 '강의계획서.zip'로 압축
강의계획서를 구할 수 없는 경우 누락하셔도 됩니다만, 학점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점인정서 작성
(1)아래 링크에서 '전공 및 교직과목 학점 인정서.hwp' 한글파일을 내려받은 후,
(2) 하늘색 신청인 부분만 작성
성명 옆 (인) 부분에 서명 또는 도장 이미지 파일을 반드시 삽입
https://drive.google.com/file/d/1CEPLKxwdXm9Q_ijAnyYj49DE-kPSKiNv/view?usp=sharing
이메일 제출
준비된 파일을 이메일로 모집 요강에 명시된 기간 안에 이메일로 제출
보낼 파일
1. 성적증명서 pdf파일
2. 학점인정교과목 엑셀파일
3. 강의계획서 압축파일
4. 전공 및 교직과목 학점 인정서 한글파일
보낼 주소: parkjh@knue.ac.kr
이메일 제목: 학점인정 신청 서류 제출
기간 내에 제출된 서류에 한하여 학과에서 학점인정 검토 후, 학점 인정서를 발급하여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받은 학점인정서를 출력하여 입학원서 제출 시 함께 제출하시면 됩니다.
* 전공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교과목은 성적증명서에 '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전공기초', '전공필수' 등으로 표기된 과목만 됩니다. '교양'이나 '자유선택', '교직'으로 표기된 과목은 전공과목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www.knue.ac.kr/www/contents.do?key=564
학년도마다 전기 입학생(3월 입학)은 3학기 마친 후 여름방학에, 후기 입학생(9월 입학)은 2학기 마친 후 여름방학에 실습을 나갑니다.
교육실습은 학부 계절학기로 개설되므로, 학년도마다 여름학기 - 학부 계절학기 교과목을 '선수'로 수강신청해야 합니다.
만약 수강신청을 놓치면 다음해 여름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제때 졸업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학교 홈페이지 교육봉사 안내: https://www.knue.ac.kr/www/contents.do?key=565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교육봉사 안내: https://www.knue.ac.kr/english/selectBbsNttList.do?bbsNo=116&key=1122
학사관리과 안내자료: https://drive.google.com/file/d/1hyPVaL2AP7zGBHuEiEUSMtyzVVU0NwCk/view?usp=sharing
본인 1학기를 마친 후에 봉사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1학기 중에 한 봉사활동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통합학사시스템에 교육봉사 확인서 올리는 곳은 쓰지 않는 기능이라 무효입니다. 원본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60시간을 다 채울 수 있는 학기(2, 3, 4 학기 중 어느 학기든 무관함)에 수강신청을 하시고 종강 전까지 교육봉사 실시확인서를 과사무실(인101호)로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e.g. 2022년 10월까지 봉사활동을 하면 60시간을 다 채울 수 있을 것 같으면 2022년 2학기에 교육봉사 수강 신청)
봉사활동 확인서 서식은 학사관리과 안내자료를 참고하세요.
봉사활동 지도교사 서명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하단에 (교육봉사활동을 한 기관)장 자리를 실제 학교명으로 고친 후, 학교장 직인을 받아오시기 바랍니다. e.g. 교원초등학교장, 교원고등학교장
자세한 사항은 학사관리과(043-230-3026)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졸업하는 학기에 교직과목 및 전공과목 이수(예정)내역서를 제출하셔야 교원자격무시험검정에 통과할 수 있습니다.
학점 인정받은 과목: 학부에서 이수한 과목 중 본교 학부 과목으로 '학점인정'받은 과목
선수 과목: 대학원 다니면서 학부에서 개설된 과목을 '선수'로 이수한 과목
대학원 과목: 대학원에서 개설된 과목(교육학공통,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
이수(예정)과목명
띄어쓰기, 맞춤범 틀림 없이 통합학사 교과목명과 동일하게
학점인정 받은 과목은 본교 교과목명으로 적기(학점인정 받기 전 이전 학교 교과목명은 의미 없음)
이수 구분
학점 인정받은 전공과목: '전공'
학점 인정받은 교직과목: '교직'
선수로 수강한 과목: '선수'
대학원 전공과목: '교과', '교내'
대학원 교육학 공통과목: '교육'
취득학점: '2', '3'
성적
알파벳으로 (e.g. A+, B0, C-)
수강중인 과목은 비워두기
이수(예정)시기
학점 인정 받은 과목: '인정'으로 기입
그 외: 실제로 이수한 시기 (e.g. 2017-1, 2017-여름)
교직과목 지정과목은 학년도마다 과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영어교육과 홈페이지 대학원 알림판에서 본인이 입학한 학년도 학점인정신청안내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교직이론(12학점(6과목) 이상)
교직이론과목은 6과목 이상 들어야 합니다. 서식에 이미 적혀있는 '영역'에 맞춰, 본인이 이수한(학점 인정 받은) 교과목을 이수(예정)과목명 칸에 적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 영역은, 학부에서 개설된 교육과정(113-001)을 선수로 이수하여 적어도 되고, 대학원에서 개설된 교육과정론(001-506)을 교육학공통으로 이수하여 적어도 됩니다. '교육행정및경영'영역은 대학원에서 개설된 과목이 없으니, 학부에서 개설된 교육행정및경영(110-011)만 적을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교직이론에서 여섯 영역 이상을 채우면 됩니다.
교직소양(6학점(3과목) 이상) (2024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8학점(4과목) 이상)
교직소양은 대학원에서 개설되지 않기 때문에, 학부에서 개설된 세 과목을 모두 선수로 이수하여 적으면 됩니다.
교육실습(4학점 이상)
마찬가지로 학부에서 개설되는 '제2교육실습'과 '교육봉사II'를 이수하여 적으면 됩니다. 각 과목별 안내 링크는 다음과 같고, 학기마다 신청 안내가 알림판에 올라옵니다.
제2교육실습은 (전기 입학생 기준) 3학기 마치고 여름 계절학기에 수강신청해야 합니다. 후기 입학생이나 역복학생은 2학기 마치고 여름 계절학기에 수강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2교육실습 안내 링크:https://www.knue.ac.kr/www/contents.do?key=564
교육봉사II 안내 링크: https://www.knue.ac.kr/www/contents.do?key=565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 교직 적성 인성 검사 / 성인지교육 이수
서식에 작성하는 곳은 없으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은 2회 이상 이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는 적격 판정, 성인지교육은 2회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해당 안내는 학기마다 알리니, 아래 게시판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nue.ac.kr/grad/selectBbsNttList.do?bbsNo=67&key=645
성인지교육 이수
영어 지정과목 확인: https://drive.google.com/file/d/1bKL4adAEVoME-ziMa5aFBLcP1ZkwNt85/view?usp=sharing
전공과목은 50학점 이상 필요합니다. 보통 입학할 때 30학점 이상 인정받게 되고, 대학원에서 교과교육학 / 교과내용학 과목을 수강하면 50학점은 쉽게 넘습니다. 다만, 교과교육영역과 기본이수영역은 잘 챙겨야 합니다.
교과교육영역(6학점(2과목) 이상)
영어교육론과 영어논술은 교원자격 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입니다. 따라서 입학할 때 학점인정을 받거나, 대학원 수업을 듣거나, 학부 수업을 선수로 듣거나 하여 반드시 본인이 챙겨야 하는 과목입니다. 만약 한 과목이라도 이수하지 않고 수료, 졸업해버리면 다시는 수강신청을 할 수 없기 때문에 2년 고생해놓고 교원자격증을 못 따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교과교육론 영역 - "영어교육론"
영어교육과는 교과교육론 영역에 학부 영어교육론(221-201)과 대학원 영어교육론(220-501)을 지정했습니다. 따라서 입학시 학부 영어교육론으로 학점 인정받았으면 해당 과목을 적으면 되며, 학부 영어교육론을 선수로 이수하여 적어도 되고,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교과교육학영역 영어교육론을 이수하여 적어도 됩니다. (학점인정 받을 때 반드시 3학점이어야 합니다. 2학점이면 해당 영역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교과논리및논술에관한과목 영역 - "영어논술"
영어교육과는 교과논리및논술에관한과목에 학부 영어논술(221-461)을 지정했습니다.
입학시 학부 영어논술로 학점 인정 받았으면 해당 과목을 적으면 됩니다.(학점인정 받을 때 반드시 3학점이어야 합니다. 2학점이면 해당 영역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영어논술로 인정받은 학점이 없다면, 학부에서 매 학년도 1학기에 개설되는 영어논술을 선수로 이수하여 적으면 됩니다.
전기 입학자: 영어논술로 학점을 인정받지 못한 대학원생은 (중간에 휴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본인 1학기 또는 늦어도 3학기에 학부 영어논술을 선수로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만약 3학기에도 이수하지 않으면 4학기에는 영어논술이 개설되지 않으므로 필수과목을 못 채워서 교원자격무시험검정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한 학기를 휴학해야 하므로 졸업과 교원자격 취득도 예정보다 한 학기 늦어지며, 임용고사 응시는 1년이 늦어지게 됩니다.
후기 입학자: 영어논술로 학점을 인정받지 못한 대학원생은 (중간에 휴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본인의 2학기 또는 4학기에 학부 영어논술을 선수로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4학기에도 이수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교원자격무시험검정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한 학기를 휴학해야 하므로 졸업과 교원자격 취득이 1년 늦어지고, 임용고사 응시는 1년 반이 늦어지게 됩니다.
기본 이수과목(14학점(5과목) 이상)
기본이수과목은 총 9분야가 있고, 그 중 5 분야에 해당하는 과목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이곳에도 '학점 인정 받은 과목', '선수과목', '대학원 과목' 모두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문학개론 분야는, 입학시 학점 인정을 '221-221 영문학개론'으로 받았다면 그것을 적으면 되며, 만약 대학원에서 '220-504 영미문학교육론'을 수강했다 하더라도 중복으로 적을 수 없습니다(같은 분야이므로). 이럴 경우 영미문학교육론은 기본이수과목이 아닌 그냥 전공과목 칸에 적으면 됩니다.
맨 왼쪽 자신이 이수한 과목에 해당하는 분야를 적으면 됩니다. ('영어교육론', '영어학개론', '영문학개론', '영문법', '영어회화', '영어작문', '영어독해', '영어음성음운론', '영미문화')
전공과목
교과교육영역과 기본 이수과목에 적지 않은 나머지 과목을 이 곳에 적습니다. 이곳에도 당연히 학점인정받은 과목, 대학원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 과목, 선수로 들은 과목 모두 적을 수 있습니다.
맨 왼쪽 '영역'은 비워두셔도 됩니다.
전공과목 모두 합쳐서 50학점이 넘으면, 모든 과목을 다 적지 않으셔도 됩니다. (줄을 추가하여 페이지가 넘어가게 하지 마세요)
* 영어교육론에 대하여
영어교육론은 교과교육론 영역에도 있고, 기본이수과목에도 있습니다. 교과교육론 영역에 있으므로 인정을 받은 선수과목으로 듣던 대학원 과목을 듣던 반드시 들어야 하는 과목이죠. 근데 문제는 기본이수과목으로도 지정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기본이수과목에도 포함시켜 적을 수 있습니다. 단, 전체 학점에서 중복 인정은 되지 않습니다. 즉 교과교육론 영역에도, 기본이수과목 영역에도 '영어교육론'을 적을 수 있지만, 학점은 2과목 6학점이 아니라 1과목 3학점으로 계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