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ar Thermal System
PV 모듈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발전 효율 저하 ⇨ PV 모듈의 잉여열을 이용하는 PVT 모듈 개발
전기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해 생산된 전기는 순환펌프 작동 및 축전지 충전 및 생산 된 온수(열에너지)는 온수매트 및 급탕부하에 사용
완전독립형 제로에너지하우스를 구축해 지하수만 있으면 오지 환경에서도 생활 가능
PVT 시스템의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PV 시스템의 2배
전력수급 불균형 현상으로 전기소모가 적은 흡수식 냉동기의 사용 확대
전기가 아닌 열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하절기 잉여 태양열은 최적의 열원
태양열은 하절기 흡수식 냉동기의 열원, 동절기 난방에 활용
기계 구동 부분이 펌프와 팬 뿐이라 소요 동력, 고장 및 소음이 적음
물을 냉매로 사용해 환경 보호에 기여, 중앙 공조 방식 중 설치 면적이 작아 공간 활용도가 높고 안전
하절기의 잉여열을 해소하기 위한 열 구동 사이클로 운전하는 냉방시스템
실내 냉방과 동시에 제습 및 환기가 가능한 시스템
제습장치(제습로터)의 재생에 필요한 열원을 태양열을 통해 공급
히트펌프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우천에도 냉방 가능
경희대학교 태양열 샤워실 실증 시스템으로, 잉여 열원은 기계실 축열조에 공급
2013년 ~ 현재 정상 가동 중
동계에 집열 면적 11.32 m2 기준, 하루 평균 부하측에 약 30 MJ 열에너지 공급
⇨ 성인 8명이 샤워 가능한 양(경희대학교 태양열 샤워실 실증실험결과 기준)
HVAC/ZEB(Zero Energy Building)
제로에너지하우스 및 태양열, 신재생 에너지와 냉난방 시스템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TRNSYS18 통한 냉난방 부하 및 에너지 요구량 등의 건물 에너지 분석
ZEH의 액티브 요소 및 패시브 요소의 시스템의 에너지 소요량, CO2 저감량, 경제성 분석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교환하는 열교환기, 즉 엔탈피 교환장치
공조시스템에서 배기와 도입되는 외기와의 전열교환으로 공조기는 물론 보일러나 냉동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기기로 공기방식의 중앙공조 시스템이나 공장 등에서 환기에서의 에너지 회수방식으로 많이 사용
열회수환기장치에 사용되는 현열교환기 또는 전열교환기를 적용하여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조건과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을 제시
데시컨트 로터와 히트펌프를 융합한 제습/환기 시스템
제습모드 : 냉각식 제습(히트펌프)과 흡착식 제습(데시컨트 로터)을 모두 사용하여 실내 온도의 변화 없이 습도만을 낮출 수 있음
환기모드 : 데시컨트 로터가 회전하며 제습과 재생 사이클을 거쳐 현열교환 뿐만 아니라 잠열교환도 우수한 열회수형 환기 가능
Smart O&M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고장진단 및 제어, 유지관리(O&M) 및 안전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
온도센서, 유체센서, 유량계 및 일사량계가 태양열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실시간 데이터 수집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장의 원인에 대한 상황이나 유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시스템의 효율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