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출범한 이후 우리 연구실은 지속적으로 연구분야를 넓혀가며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1996년 03월 - 환경열공학연구실로 시작
1997년 12월 - 공학관 실험동 2-6-1호 입실
1999년 08월 - 공학관 실험동 2-7-1호로 확장, 이전
1999년 09월 - 축열실험실로 공학관 F370 확충(현재 일본어저널의 동아리방으로 사용)
2000년 02월 - 열환경제어연구실로 개명
2000년 08월 - 태양열 실험을 위한 실험실로 공학관 605호 확충
2001년 02월 - 실험동 2-7-1호 및 태양열 실험실(603호)의 복층화
2001년 03월 - 열물성전용실험실 확충
2002년 05월 - 빙축열전용실험실 확충
2002년 12월 - 태양열 샤워실 확충
2005년 07월 - 온돌 패널 및 반복 실험을 위한 태양열 실험실(공학관 605호) 확충
2011년 09월 - 애지원 6층에 태양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 시스템 구축
2012년 03월 - 제습냉방 및 온수매트 실험을 위한 태양열 실험실(공학관 605-1호) 리모델링
2014년 03월 - 공학 실험동 리모델링으로 인한 신 연구실 구축(실험동 209호)
2020년 02월 - 공과대학 옥상에 PVT 실증 시스템 구축
열환경제어연구실은 연구의 효율성 증진과 독립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 실험실을 분리·운영하고 있습니다.
열환경제어연구실(실험동 209호)
: 학부 기계공학실험, 기계공학프로젝트 및 세미나, HVAC/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태양열실험실(공학관 605-1호)
: 겨울철에는 태양열 난방시스템과 온수매트 실험, 여름철에는 태양열을 이용한 제습냉방 실증실험
태양열샤워실(실험동 208호)
: 태양열 온수·급탕시스템에 대한 실증실험, 동파방지 및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매트 실험
애지원 태양열 냉·난방 실험실(인적자원개발센터 옥상)
: 단일진공관형 집열기와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실증 실험
교수연구실(공학관 504호)
우리 연구실에서 원활한 연구수행을 위해 가능하면 이수를 하는 것이 좋거나 권장하는 과목(회색표시)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실험 공통
1학년 -
2학년 - 열역학, 응용열역학, 계측공학, 전기전자회로, 유체역학
3학년 - 열전달, 메카트로닉스, 냉동및 공기조화, 실험통계학
4학년 - 열에너지시스템
에너지 변환과 유체의 유동 및 열전달 현상에 기초를 둔 학문으로서 동력의 생산과 이송에 관한 이론과 이를 실제 구현하는 장치 및 설비의 구조와 성능, 그리고 에너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취급합니다.
우리 연구실과 관련된 진출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설·플랜트 분야
각종 설비가 현대 건물의 50 % 이상의 비중 차지 (기계설비 관련 기계공학 전공자 다수 선발)
건설 및 엔지니어링 회사에서 공조설비계통 설계, 시공, 리모델링 및 플랜트에 대한 엔지니어링
진출 회사: 대우, 삼성, 현대의 big 3 이외에 LG, 대림, 쌍용, 풍림, 두산, 동부, 현대산업개발, 울트라 건설 및 엔지니어링 회사
냉동·공조기기, 열원기기 제조 분야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가전에서 냉동기 보일러 등의 본격적인 열원기기를 제작하는 전문회사
환경친화적, 에너지효율적 냉동·공조기 및 태양열 시스템의 연구, 설계, 제조, 기술영업 등을 수행
진출 회사: 삼성전자, LG전자, LG산전, EnE 시스템, 신성이엔지, 센츄리, 린나이, 쏠라맥스, 한국 하니웰, 한국스파이렉스 등
설비·설계 분야
환경친화적, 에너지효율적 기계설비시스템의 설계 및 연구
진출 회사: 한일MEC, 우원M&E, 삼신설계, 목원 엔지니어링, 한미설비 등의 전문설계회사
환경·에너지설비 분야
국가 기간산업에 해당하는 중요한 분야
석유 및 천연가스 등 에너지 고갈에 대비하여 차세대 에너지 개발과 함께 에너지 회수기술 개발
진출 회사: 전력회사, 한국지역난방공사, 가스공사 및 가스회사,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기타
정부출연연구소 및 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등)
학계 진출
우리 연구실과 관련된 기사 자격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건설 분야에서 공조설비의 설계, 시공, 감독, 관리하며 냉동기 제조분야에서 안전관리 및 설계
시험과목: 기계열역학, 냉동공학, 공기조화, 전기제어공학, 배관일반
건축설비기사
공기조화설비, 위생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등 건축설비의 전반에 걸쳐 설계 및 시공을 담당하며 사후 관리 및 유지
시험과목: 건축일반, 위생설비, 공기조화, 전기일반, 건축설비관계법규
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화재예방 및 효과적인 진압을 위한 설계, 점검, 보수
시험과목: 소방원론, 소방관계법규(공통) 소방유체역학 및 약제화학, 소방기계시설의구조 및 원리(기계분야), 소방전기이론,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전기분야)
가스기사
가스배관, 용기 등의 가스설비 및 충전기술, 가스용품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폭발, 누설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
시험과목: 가스유체역학, 연소공학, 가스설비, 가스안전관리, 가스계측기기
열관리기사
동력이나 난방을 위한 보일러 및 관련장비를 운전하며 기기 및 배관 등을 점검 보수하며 에너 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열정산 및 진단
시험과목: 연소공학(에너지), 열역학, 계측방법, 열설비재료및관계법규, 열설비설계
소개된 자격증의 취득은 관련분야 취업 시 상당히 유리하며, 진출 후에도 인사고과에 비중있게 반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