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교수
- TEL : 031-201-2925
- FAX : 031-202-8106
- e-mail : hhong@khu.ac.kr
- 연구분야 : 태양에너지, 열에너지저장, 건물에너지, HVAC&R
우리 열환경제어연구실 홈페이지에 방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열공학 계열로, 열역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고효율에너지시스템과 냉동 및 공조 관련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HVAC&R (Heating, Ventilating,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응용분야로, 최근에 코로나19로 화두가 되는 환기를 포함하여 전형적인 냉난방, 제습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연구의 지향점은 효율 향상과 더불어 경제성, 편의성의 극대화입니다. 이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HVAC&R 개발은 우리 연구실에서 오랫동안 수행해왔던 주력 연구토픽입니다.
이러한 열에너지시스템은 주로 건물에 적용되는 설비이지만, 전통적인 공장, 플랜트뿐만 아니라 최근의 데이터센터나 스마트팜에도 거의 동일한 기술로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적의 시스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설비는 물론 대상물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및 실증실험이 포함되며 이에 대한 실적은 국내외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합니다.
1970년대의 두 차례의 석유파동을 비롯하여 국제적인 분규의 중심점에는 에너지 문제가 결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의 러시아-우크나이나 전쟁 역시 많은 전문가들은 에너지전쟁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후변화는 이제 음모론자들의 주장으로 치부하기에는 피부로 느껴질 정도로 심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이제 거의 아열대 기후라고 해도 과장이 아닙니다. 또한 코로나19를 비롯한 대규모 감염병도 일상이 되어 가는 느낌이며 그나마 실내환기가 해결책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효율 열회수 환기장치가 필수화될 듯합니다. 이와 같이 에너지 문제, 기후변화의 원인인 CO2 저감, 실내외 환경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HVAC&R을 포함한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연구는 필수이며 지속 가능한 토픽이 될 것입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연구·개발된 결과물 중 일부는 기술이전, 일부는 상용화 단계에 도달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연구에 투입된 연구인력들은 사회에서도 환영 받고 있으며 졸업생 진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입니다. 관심 있는 학생들의 연구실 방문을 적극 환영합니다.
Education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태양열 난방 시스템에 적용되는 축열조의 성층화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 도쿄공업대학교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기계공학전공( Heat transfer in direct contact melting process)
Professional Experience
삼성전자 혁신기술 자문위원(2017.01-2022.12)
대한설비공학회 회장(2018.01-2018.12)
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편집장(2010.01-2017.03)
위스콘신대학교 방문교수(2004.03-2005.02)
국방부 특별건설기술심의위원(2000.01-)
건설교통부 턴키심의위원(2000.01-)
조교수/부교수/교수,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1996.03-현재)
객원연구원, 도쿄공업대학(1997.01-2000.01)
선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조환경제어연구실(1994.04-1996.02)
문부교관, 동경공업대학 기계과학과(1989.04-1994.03)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조환경제어연구실(1985.12-1989.03)
연구원, 대우중공업 중앙연구소(1983.01-1984.01)
55. 산업공정용 열공급을 위한 태양열 융합 열공급시스템 개발 및 스마트 O&M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2022.04.01-2025.12.31
54. 복합열원과 히트펌프 제어 방법에 따른 최적운전조건 제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0.09-2021.12
53. 최적운전조건 도출을 위한 복합 수열에너지시스템 시뮬레이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0.05-2021.12
52. BIM 연계 에너지절약형 통합 수배관시스템 계산프로그램 개발, 한국산업단지공단, 2020.06-2021.09
51. 최적설계안 도출을 위한 복합 수열에너지시스템 시뮬레이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0.11-2021.04
50. 생활가전 제품의 냉동공조 분야에 관한 자문, 삼성전자, 2019.05-2020.11
49. 냉방 부하 저감을 위한 반응형 스마트 스킨과 EMS 통합운영 기술, 한국에너지기수평가원, 2017.05-2020-12-31
48. 생활가전 제품의 냉동공조 분야에 관한 자문, 삼성전자, 2017.01-2018.11
47. PVT(태양광+태양열)복합패널과 축열 및 지열히트펌프를 활용한 제로에너지타운 실현을 위한 신재생 융복합 열에너지 공급시스템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16.12-2019.09
46. IoT를 적용한 태양열시스템의 feedback/feedforward 통합 유지관리, 산업통상자원부, 2016.06-2019.05
45. 삼성전자 DVM Chiller 성능평가, 삼성전자, 2016.04-2017.05
44. 계간축열조 내 성층화 유지를 위한 분배기 개발, 미래창조과학부, 2015.06-2017.05
43. 태양열 주열원식 캐스케이드 제습냉방시스템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14.06-2017.05
42. 이중투과체 구조의 고효율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13.08-2016.07
41. 급탕 및 일반난방용 태양열 패키지 콤비시스템 개발, 한국에너지평가원, 2012.11-2014.10
40. 주택용 태양열설비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2.06-2012.09.
39. 집단에너지 열공급 공동주택의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실증 및 실용화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1.10-. 2013.10.
38. 대한상사중재원 감정평가, 대한상사중재원, 2011.08.-2011.11.
37. 설계요소별 에너지 저감량 예측 방안 연구, 삼성물산, 2011.04.-2012.10.
36. 아파트 태양열 급탕 및 냉방 겸용 시스템 설계, 코오롱건설, 2011.02.-2011.04.
35. AHA 제어시스템의 쾌적성 및 에너지 분석, 경동네트웍, 2011.02.-2011.04.
34. 동파방지 태양열 온수시스템, 한국연구재단, 2010.06.-2011.06.
33. 태양열 발전 시뮬레이션 설계 및 분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0.06-2012.09.
32. 태양열이용100KW급 개방형 제습냉방시스템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0.06-2012.09.
31. 태양열 냉난방 겸용시스템 표준화, 선다코리아(주), 2010.11.-2011.01.
30. 하이브리드 제습냉방의 에너지성능 분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2009.11.-2009.12.
29. 동파방지 태양에너지 복합시스템, 경희대학교, 2009.09.-2010.02.
28. AHA제어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주택 적용 사례 및 전략 연구, 경동네트웍, 2009.07.-2009.12.
27. PCM 자재 성능평가를 위한 tool 개발, 삼성물산, 2009.04.-2009.10.
26. AHA제어시스템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경동네트웍, 2009.02.-2009.07.
25. 저장고의 기류분포 및 열전달 특성분석, 한국식품연구원, 2009.01.-2009.12.
24. 상부집열가열에 의한 성층화촉진과 태양열시스템의 응용기술, 경기도, 2008.11.-2009.10.
23. 일체형 증발식 에어컨 개발, 용인시, 2008.08.-2009.07.
22. R4 혼합공조 시스템의 LCC평가, 삼성전자, 2006.12.-2007.07.
21. 아이스슬러리를 이용한 빙축열 냉방 시스템 실증연구, 중소기업청, 2006.08.-2007.07.
20. 폐열회수 환기유닛 설계기술, 경희대, 2006.03.-2007.02.
19. 무배관 잠열저장패널의 실용화연구, 중소기업청, 2005.07.-2006.04.
18. 시스템 멀티에어컨의 제도개선과 타 시스템과의 비교평가 연구, 삼성전자,2004.04.-2005.03.
17. 보급형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의 최적설계, 운전을 위한 기준확립, 중소기업청, 2003.05.-2004.02.
16. 시스템 멀티에어컨의 열환경 평가 및 공조 설계 기준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003.03.-2003.12.
15. 상주시 태양열급탕 시스템 시범사업 감리용역,상주시청, 2003.03.-2003.05.
14. 도시가스와 지역난방 사업의 균형발전방안, 한국도시가스협회.2002.09.-2003.06.
13. 국선관 열펌프 시스템 적용에 대한 적합성 분석, 경희대, 2002.12.-2003.08.
12. 대체에너지 시범보급사업의 경희대 적용에 대한 적합성 검토 및 분석,경희대, 2002.09.-2003.08.
11. DTMF 원격제어·감시와 패널축열에 의한 태양열 시스템의 실용화 연구, 에너지관리공단, 2002.09.-2004.08.
10. 이성분 혼합물을 이용한 상온에너지 수송/변환기술 개발, 과학재단, 2001.09.-2004.08.
09. 밀폐형 축열 PCM의 잠열측정, 경희대, 2001.03.-2002.02.
08. 난방용 잠열축열재 시스템의 건물구조체 실용화 연구, 중소기업청, 2001.05.-2002.02.
07. 난방용 잠열축열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2000.05.-2001.04.
06. 태양열 난방시스템의 잠열축열에 대한 기초연구, 학술진흥재단, 1999.12.-2000.11.
05. 난방용 잠열축열재의 열적·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과학재단, 1999.09.-2001.08.
04. 다상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CIP알고리즘의 보존형Scheme, 학술진흥재단, 1998.12.-1999.11.
03. 공업열역학, 경희대, 1998.03.-2000.01.
02. 접촉용융과정에서의 열적 거동 해석 및 실험, 경희대, 1996.09.-1997.08.
01. 축방향으로 인출되는 와이어의 이원혼합물에 의한 코팅과정 해, 교육부, 1996.07.-1997.06.
저서
1. 명현국, 홍희기 편저, 이공계 연구자를 위한 영어논문작성법, 1997. 12, 문운당.
2. 홍희기 저, 이공계일본어마스터 , 1997. 10, 태훈출판사(2000. 6, 성안당, 개정판)
3. 전흥신, 홍희기, 박경석, 김상녕 공저, 공업열역학, 2000. 6. 문운당(2001.12, 개정판)
4. 이순걸, 조남규, 홍희기 공저, 메카트로닉스, 2001. 3, 문운당(2002. 2, 개정판)
5. 대한설비공학회, 설비공학편람, 1992.12, 대한설비공학회(2001.12, 개정판)
6. 최명진, 박경석, 김경훈, 전흥신, 김창녕, 홍희기, 강용태, 열유체분야 기계공학실험, 2005. 1, 경희대학교 출판국.
7. 홍희기 외, 그린뉴딜과 집단에너지, 2021, 글누림
역서
1. 홍희기, 김영일, 이대영 공역, 냉동공조기술(상급), 한국냉동공조기술협회, 개정, 1996. 7.
2. 홍희기, 김진오, 명현국 공역, 도해공업열역학, 1999. 1, 성안당.
3. 홍희기, 오카와 공역(김찬중 저), 공업수학 포켓북(일본어판), 2000. 4.
4. 정광섭, 홍희기 공역, 공기선도 읽는법, 사용법, 2001. 1, 성안당.
5. 홍희기, 강용태 공역, 열펌프 공기조화 시스템 , 2002.3, 성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