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성과를 단일점수 대신 여러 요소(vector)로 살펴보기!
1. Temporal Regression Analysis: 연도별 영향력 추정
1-1. 학력 기반 위계성과 재직기관의 상관관계(nonliner fitting) 확인
독립변수: 학부기관 명성점수, 박사기관 명성점수 (hub score)
종속변수: 재직기관 명성점수 (authority score)
1-2. 연구성과 기반 영향력과 재직기관의 상관관계 확인
독립변수: 임용 시점 기준 이전 5년간 연구성과의 요약 지표들
종속변수: 재직기관 명성점수 (authority score)
분석: 연도별 다중 회귀 분석 / 분산 설명력(R²) 비교
목표: 실력주의적 임용이 강화/약화된 시점이 있는가?
성과점수 R vector (5 years)
최고 영향력 논문 n편의 IF or JIF Percentile
전체 논문 수
정량평가 (IF * allocation) score
임용시점의 h-index (역산 가능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