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적인 목표: 전수조사 데이터 시트와 OpenAlex 연구자 id 연동해보기!
NRF 혹은 대표논문을 기준으로 각 연구자 영문명 탐색 (생략가능)
대표논문에 기반하여 OPENALEX data 연구자 id와 데이터 매치하기
Aaron Clauset의 결과들 파악해보기
따라 해 보고 싶은, 혹은 도움이 될 거 같은 논문 5개 선정해보기!
Previous Open Question
Basic Natural Science 분석에서는 wet sci(bio, chemi), dry sci(phy,math)에 따라 교원 학벌에 따른 이동성 경향이 다르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수치로도 그럴까?
한줄요약: 분야에 따른 교원 이동성의 경향차이 정량분석
한국교원임용시장에서 international studied 경력의 이점 분석
재직기관에 따라 구분, K STEM prestige(SKPYK), middle upper, other에 있어서 교원 유학 빈도
academic age(박사수여 n년차로 구분)에 따른 분야별 교원 학위수여기관 불평등정도
기초자연과학에서는 확실히 젊은 교수님일수록 유학 or K-prestige 대학 출신 이외에 서울 중위권~경기도 상위권 출신에 엄청난 연구경력을 지니신분들이 많았습니다.
공과계열도 마찬가지일까요?
그럼 그렇게 되는, 즉 학교가 기존의 강한 계급주의에서 벗어나서 실력주의로 이동해가는 배경에는 뭐가 있었을까요…? 과제?
아 임용일자는 사람마다 다 다르게 기재되어있습니다(첫 정규직 or 현재직학교 첫임용 or 테뉴어 딴 일자)
과학기술연구중심대학 (KAIST, UNIST, GIST, DGIST, POSTECH)과 종합대학 비교분석?
예를들어 종합대학은 아직 계급주의적 성향이 9 실력주의가 1만큼 있다면
연구중심대학은 계급주의적 성향이 6 실력주의가 4만큼으로 차이난다는걸 밝히기?
근데 이걸 하려면 연구의 양적평가(이건 공시됨) 뿐만 아니라 질적평가(IF, citation)도 해야할듯하네요
(서울소재)사립대학의 self hiring 선호 경향
한국의 유독 높은 self hiring(학부기준)에 대한 고찰
자연과학은 지거국에 대해서 평균적인 self-hiring보다 낮은 self-hiring값으로 나타남
하지만 공학에 대해서는?
기초학문 - 응용학문간(기준: 박사전공)의 이동성
기초학문(물리, 화학)→ 응용학문(반도체, 화학공학)로의 이동은 기존까지 빈번했음
근래(2020년대)에 기초자연과학학과의 응용학문 박사학위 소위자 임용 증가
기초 → 응용에서의 이동 빈도 측정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