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인터페이스와 공감인터페이스의 서비스 유형 별 적용을 통한 생성형 인공지능 경험 디자인 [연구책임]
Generative AI Experience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Explanation Interface and Empathy Interface by Service Type
2023.06–2026.05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한국연구재단
Artificial Empathy in Home Service Agents: A Conceptual Framework and Typology of Empathic Human–Agent Interactions
Applied Sciences, 2025 [Link]
AI 공감을 활용한 콜센터 감정노동 지원 서비스 디자인: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5 [Link]
AI 공감 기반 감정노동 지원 프레임워크: 콜센터 직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연구
2024 한국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 [Link]
디지털 금융 이해력 향상을 위한 AI 공감 기반 서비스 개발 프레임워크 연구
2024 한국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 [Link]
스마트팜 기회 영역 도출 및 로드맵 도출 [공동연구]
Smart Farming PSS Roadmap and Business Model
2024.03–2024.06 | LG전자(주) | H&A사업부 CX전략
사용자 가치 기반 스마트팜 비즈니스 테마 및 유형 도출
비즈니스 전략 방향성 및 로드맵 도출
2024 봄학기 학부 교과 <제품서비스시스템디자인> 주제 연계
스마트홈 지향점 수립 [공동연구]
Smart Home Pillars
2023.03–2023.06 | LG전자(주) | CX센터 LSR (Life Soft Research)
Cross-Device Experience [연구책임]
2022.11–2022.12 | LG전자(주) | 디자인경영센터 LSR (Life Soft Research)
CDX 용어/영역/원칙 정의, CDX 서비스 영역 스펙트럼, CDX Canvas
스마트홈 AIoT 서비스 영역 도출 및 사용자 관여도에 따른 유형화: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2023 [Link]
UX디자인 평가 프레임워크 체계화 [연구책임]
UX Design Evaluation Framework Development
2022.07–2022.10 | 삼성전자(주) | R&D센터 UX플랫폼 그룹
UX평가지표 체계 수립 (영역-카테고리-주지표-상세지표)
지표 별 평가 및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전문가 및 사용자 평가 검증
지능형 IoT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경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5 [Link]
뉴 라이프스타일 (홈로봇 네이밍 및 서비스 기획) [공동연구]
New Lifestyle (Home Robot Naming and Service Planning)
2022.03–2022.06 | LG전자(주) | 디자인경영센터 LSR (Life Soft Research)
홈서비스 로봇 가치 제안, 홈서비스 분야 정의 및 홈로봇 카테고리 네이밍
세부 서비스 영역 별 아이디어 구체화, HRS canvas
2022 봄학기 학부 교과 <제품서비스시스템디자인> 주제 연계
스마트 서비스 경험 창출의 생태학적 접근에 기반한 B2C 스마트 서비스의 다중계층적 시스템 디자인 [연구책임]
Multi-Layered System Design of B2C Smart Services based on an Ecological Approach to Smart Service Experience Creation
2019.09–2022.02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생애첫연구 | 한국연구재단
멀티레이어 프레임워크 기반 스마트워크 유형별 디자인 전략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4 [Link]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홈 트레이닝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 MZ세대를 중심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3 [Link]
효과적인 동기부여를 위한 스마트 홈 헬스케어 서비스 설계 및 평가: 홈 트레이닝 앱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2023 [Link]
The Acceptance Behavior of Smart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Model of UTAUT and TTF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2 [Link]
Deter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Academic Trends of Smart Home Health Care Research: Coword and Topic Analyse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21 [Link]
사용자중심디자인을 통한 수술기구 패키지 디자인 개발 [연구책임]
Development of Surgical Instrument Package Design through User-centered Design
2020.04–2020.09 | 코렌텍(주)
B2C 스마트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유형 별 스마트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 [연구책임]
Smart Servicescape Design Strategy by Service Type for Improving the B2C Smart Service Quality
2017.05–2019.04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한국연구재단
Validating and Improving the Smart Servicescape Wheel: A Qualitative Video Analys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AHFE), 2020 [Link]
An Ecological Approach to Smart Homes for Health Care Services: Conceptual Framework of a Smart Servicescape Wheel
JMIR Mhealth and Uhealth, 2019 [Link]
The Smart Servicescape Framework in Smart Home Healthcare Service Experience
Design Management Journal, 2019 [Link]
A Framework for Smart Servicescape: A Case of Smart Home Service Experience
Conference fo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ocieties of Design Research (IASDR), 2017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