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 연구진들이 함께 한 두 번째 도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동물의 품 안에서: 인간-동물 관계 연구』에서는 동물이 뜻하려는 바를 알아듣기 위한 도전, 위계적이지 않은 동물과의 관계 맺음을 위한 노력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인간-동물 관계의 새로운 이론들과 동물 해방의 실천들을 소개하며 이론과 실천의 협업을 통해 우리의 노력을 강화해나가려는 목적을 담았습니다.
[ 목차 ]
서문. 인간-동물 관계 연구의 이론과 실천 [김석호·이동신]
1부. 동물과 이론
애니미즘의 역사 [권헌익]
신유물론, ANT, 그리고 동물연구 [김환석]
동물, 감정,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 [이동신]
2부. 동물과 사회
동물과 사회학 [박효민]
동물에 대한 이해와 관계 맺음 [천명선·조윤주]
질병 경관을 통해 본 인간-동물-병원체의 관계: 구제역과 메르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기흥]
인간-동물 관계와 생태정치 [주윤정]
3부. 인간-동물 관계의 실천 사례
한국의 사육곰과 인간의 특이한 관계, 변화 [최태규]
인간이 바꾼 돌고래의 삶, 인간의 삶을 바꾼 돌고래 [김호경]
이번 『물결 2022 여름호』의 특집 주제는 ‘비건으로 충분한가?’이다. 채식뿐만 아니라 대체육, 유기농, 반려동물의 채식, 비건 콘텐츠, 채식 급식 등 비거니즘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을 살펴보면 비거니즘을 향한 고민도 더 멀리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풀무질 도서 소개글 중 발췌(poolmoojil.com)
[ 목차 ]
특집 비건으로 충분한가?
진짜 고기 논쟁: 식물성 고기는 고기인가? - 정은수
비견, 나의 천사 주니의 선물 - 김솔민
모두를 위한 채식 급식 - 김정연
어쩌다 보니 비건 유튜버 - 초식마녀
배양육은 적절한 대안인가? - 박효민
운명 공동체 자연과 인간, 그리고 먹을거리 - 강성미
창대농원 인터뷰: 아빠, 유기농이 다가 아니잖아요 - 현희진X김서지
비거니즘을 넘어 자급으로 - 박기완
이슈 바람을 일으키다
제20대 대선을 되돌아보며: 선거를 대하는 비건의 자세 - 이지연
에세이 잔잔한 물결이 계속되다
〈V-DAY 2022〉: 살림과 해방 - 황혜현
그냥 동네 작은 술집 찡쪽바 - 아영
『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서평: 상상 속의 희망, 실천이 만드는 거대한 전환 - 김치현
칼럼 물결이 모여 파도가 되다
전기와 고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해방촌 - 전범선
동물해방은 소비할 수 없다 - 혜린
경계와 경외의 대상에서 반려로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고민한다
[ 목차 ]
1장_소통
1. 르 귄의 시 쓰는 동물들
2. 그림과 말 사이
3. 새로운 말을 찾아서
4. 말없이 눈으로 생각하기
5. 말없이 소통하기
〈어벤져스〉 그리고 ‘우주의 절반’
2장_관계
1. 새로운 관계의 탄생
2. 동물 윤리의 세 가지 시각
3. 인권에서 동물권으로
4. “기분 나쁘지 않게”
5. 인간을 위한다는 착각
6. 위계적 관계에서 기생적 관계로
7. 다시 〈쥐의 탄생〉을 생각한다
〈인셉션〉에서 기억되지 않는 것들
3장_환경
1. 액컬리의 《나의 개 튤립》
2. 스마트시티와 생명다양성
3. 유토피아적 도시, 린치의 불모지
〈월-E〉의 마지막 생존자
4장_세계관
1. 소세키의 고양이
2. 카프카의 동물들
3. 움벨트
4. 엘리자베스의 “동감적 상상력”
5. 보파와 과학적 상상력
6. 동물을 위한 과학적 상상력
〈부산행〉의 생존자처럼
5장_육식
1. 육식이 없는 세상
2. 육식의 문제점
3. 다양한 “입질”
4. 육식이라는 “문제와 함께하기”
구독자 52만 명의 시사친구 듣똑라가 말하는 인간·동물·환경의 공존 방식
[ 목차 ]
프롤로그
인간·동물·환경의 공존을 위한 원헬스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1장 코로나19 그리고 원헬스
하나의 건강, 원헬스 프로젝트
왜 전염병이 반복되는 걸까?
바이러스에 깔아 준 비단길
기후변화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최소한 나라도, 아주 작은 변화라도
- 같이해요! 원헬스 프로젝트
- 다 같이 반 발짝이라도 나아가는 법
2장 인간 그리고 동물
점점 가까워지는 인간과 동물
‘관계’에 주목하면 실마리가 풀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예견된 사건
동물이 동물답게 살 수 있으려면
‘불편함’을 더 이상 외면하지 않길
-같이해요! 원헬스 프로젝트
-오늘의 메뉴를 지구와 함께 고민하다
3장 동물 그리고 환경
동물은 연구하는 마음
극지대에서 실감하는 기후변화
지구온난화라는 부메랑
멸망을 막는 0.5도의 차이
채식은 기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나의 소비가 많은 것을 바꾼다
-같이해요! 원헬스 프로젝트
-뭔가를 ‘하기’보다 ‘안 하는’ 것이 중요한 때
4장 환경 그리고 인간
일회용 없는 세상, 가능할까?
일상 깊숙이 들어온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는 일회용이 아니니까
나도 비건이 될 수 있을까?
육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
개인이 가진 영향력을 믿어요
기후 위기는 우리의 미래를 훔치고 있어요
학교에선 가르치지 않는 환경 문제
모두의 반 발짝이 모인다면
-같이해요! 원헬스 프로젝트
-느리지만 확실하고 소중한 변화
에필로그
[ 목차 ]
책머리에 : 인간중심주의와 그 이후 (정희원) 5
1부 포스트휴머니즘과 비인간주의
포스트휴먼으로 가는 길 :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를 중심으로 (박인찬) 14
동물과 인간의 ‘(부)적절한’ 경계 : 아감벤과 데리다의 동물담론을 중심으로 (황정아) 53
로런스와 스피노자 : 비인간주의와 정서·정동이론을 중심으로 (김성호) 89
2부 ‘신유물론’과 문학 읽기
신유물론 시대의 문학 읽기 (유선무) 123
좀비라는 것들 : 신사물론과 좀비 (이동신) 178
3부 인간중심주의, 안드로이드, 젠더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강우성) 214
인공 행위자의 감정 능력과 젠더 이슈 : 『미래의 이브』와 여성 안드로이드 (정희원) 262
프롤로그 하나의 지구, 모든 동물의 건강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4
1 여섯 번째 대멸종의 위협, 우리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삶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15
의도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폭력들 26
인간이 생태계의 균형을 찾을 수 있을까? 33
2 야생동물과의 거리, 양팔 벌려 좌우로 나란히
동물과 사람, 같은 질병에 노출되다 45
야생동물의 질병이 이동하는 길, 누가 만들었을까? 53
빈 공간의 가치 62
3 호모사피엔스도 개를 귀여워했습니다
개를 키운다는 건 호모사피엔스의 생존 전략 69
반려, 유별나고 특수한 문화적 징표 77
동물에게 인간과 함께 사는 일이란? 82
4 사람 복지요? 모퉁이를 돌아 동물 복지와 같은 방향입니다
동물 복지가 뭐길래? 93
동물 복지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 99
동물 복지 농장이 중요한 이유 107
5 17호가 세상을 떠났고, 데이터가 쌓였습니다
우리는 언제부터 동물을 해부하고 실험했을까? 117
동물실험에 문제를 제기하다 123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위한 노력 131
6 동물원은 동물을 보호하는 곳일까요?
동물원의 역사는 야만적인 인간의 역사 139
코로나 팬데믹 이후, 동물원 동물의 삶이 바뀌고 있다 146
동물 복지를 공부한 수의사가 바라본 동물원 154
7 동물 보호 운동, 한 걸음 더 세상 속으로
동물 보호 운동을 시작한 사람들 161
한국의 동물 보호 운동 170
8 경계를 허물고 존중을 세우다
인간과 동물 사이에 경계를 세우다 181
인간과 동물 사이의 경계를 허물다 186
인간과 동물을 함께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194
서론
1부 사이 : 인간-동물 경계에 대한 새로운 서사
차이에서 사이로 : 인간-동물 관계와 거리두기 [이동신]
근거리 입양 : 파랑새 ‘짹이’ 이야기 [김정미]
원거리 입양 : 코끼리 ‘마야’ 이야기 [권헌익]
야생의 거리와 공존의 생태계 [김산하]
2부 동물 : 인수공통감염병 상황에서 동물의 취약성
팬데믹 상황의 동물원 동물들 [최태규]
팬데믹 상황의 보호소 동물들 [조윤주]
감염병 환자로서의 동물 : 팬데믹 상황의 가축 [천명선]
팬데믹 상황의 동물을 위한 법과 제도 [이형주]
3부 질병 : 인간-동물의 질병에 대한 원헬스적 접근
팬데믹의 시작 : 인간, 가축, 야생동물의 접점 [이항]
질병생태학 : 야생동물 유래 신종감염병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 [황주선]
한국 질병관리체계와 인간-동물질병의 공동구성 [김기흥]
4부 관계 : 인간-동물 관계의 미래
육식의 미래와 인공육의 이슈 [박효민]
마을과 바다의 새로운 관계 : 지속가능성인증의 가능성 [박선영]
우포늪 습지 복원과 생태적 전환,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 [이인식]
코로나 시대의 생태적 전환과 실천들 [주윤정]
후기 : 관계와 경계에 대해 덧붙이기
Galatea 2.2
장애, 생명사회학, 인간-동물 관계, 사회운동 등을 연구 하는 사회학자인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 주윤정 박사의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소수자의 권리는 어떻게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기획되고 시작된 연구의 결과물로,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작은 이’(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을 주목하고, 그들이 어떻게 질곡의 한국사에서 역사의 한 몫을 감당해왔는지 살피며 “이런 특정 장애의 역사가 전체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한번도 보지 못한 자연을 만나다
전 지구적 공존을 위한 사유의 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