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기후변화 영향 예측 알고리즘 개발
저자: 이정민, 전환돈, 유다해, 박재범, 김다래, 김재경
도시지역의 토양열 해석 알고리즘은 유한체적법(FVM, Finite Volume Method)에 기반한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적응 소재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도시 피복 소재별로 대기온도 및 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의사결정자가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Nomograph를 작성하여, 3차원 기반의 디지털 트윈 모델을 실시간으로 탐색 및 표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개발 중이다. 가장 주로 고려할 수 있는 건설 소재는 도로 소재(아스팔트)와 기타 대지면 소재(콘크리트)로, 두 소재를 변경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기후 적응효과를 분석 중이다.
지능형 에코사이언스를 활용한 방재 환경예측
저자: 김 재 경
최근 선제적 방재 대응 시스템 마련과 지능형 에코사이언스(Intellegent EcoScience)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예측하고 방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선제적 방재 시스템 마련을 위해 환경예측 및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우리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 난의 규모를 진단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환경예측 및 분석 분야는 재난의 종류와 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그 방 법론이 다양해질 수 있다. 가령, 폭염의 경우 공기의 유동 흐름과 이에 따른 방재 대책이 선정되어야 하므로,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와 같은 고해상도의 3차원 시뮬레이션이 분석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옹벽이나 사방댐에 미치는 토사물의 압력 및 안전성 진단을 위해서는 유한요소 법(FEM; Finite Element Method)과 같은 미분 방정식 기반의 방법론이 적용된 다. 본 기고문에서는 여러 가지 재난 유형 중에서 도시 폭염 재난과 소방 재난의 방재를 위한, 전산유체역학 기반의 환경예측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길 7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관 2호관 511호
전화 : +82-33-640-2358
이메일 : jkkim4769@gmail.com / jkkim4769@gwnu.ac.kr
Linked in : https://www.linkedin.com/in/jaekyoung-kim-943b77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