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2024. 01. 20.
LADO 학습동아리, 2024-2학기 우수동아리 선발 장려상 수상!
2025년 1월 20일, 학습동아리 LADO가 2024-2학기 우수동아리 선발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학습동아리 LADO는 Urban Twinology Laboratory (UTL) 연구생들이 모여 구성된 팀으로, '조경측량응용학'을 주제로 8주간의 플립러닝, 멘토-멘티 활동, 문제 풀이, 오답 노트 작성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운영되었습니다.
UTL 연구생들과의 협력을 통해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강화한 점이 큰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앞으로도 UTL은 멤버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Date: 2024. 11. 28.
강릉원주대 환경조경학과, (사)한국환경과학회 2024년 정기총회 참여
2024년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UTL 학부 연구생들이 (사)한국환경과학회 2024년 정기총회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HCFD 모델을 이용한 홍수 관리 및 도시 홍수 회복력 향상 연구를 발표하며, 연구실의 성과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습니다. 학부 연구생들은 이번 학술대회 참여를 통해 학문적 성장을 다짐하며, 학술적 교류의 중요성을 느끼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스마트 도시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학술적 성과를 이어 나가겠습니다.
Date: 2024. 10. 23.
2024년 10월 23일, 조태동 명예교수님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이번 방문에서는 510호 학부 연구생들과 함께 모여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마련되었습니다. 교수님과의 만남은 학업에 대한 귀중한 조언을 듣는 뜻깊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에게 큰 격려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교수님께서 주신 조언을 바탕으로 학업과 연구에 더욱 정진해 나가겠습니다.
Date: 2024. 10. 17.
2024년 10월 17일, 전남대학교 백지성 명예교수님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교수님과 함께 연구실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교수님의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Date: 2024. 10. 10.
Prof. Kim, J., Lee, J., & Kang, J. (2024).
Optimization of Geofoam Shape for Earth Pressure Reduction on Debris Flow Barriers.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 61, No. 4.
Date: 2024. 10. 10.
Lee, J., Choi, J., Kim, M., Cho, Y., Kim, J., &Cho, P.(2024).
Verification of On-Site Applicability of Rainwater Road Surface Spraying for Promoting Rainwater Utilization and Analyzing the Fine Dust Reduction Effect.
Sustainability, 16, 8756.
Date: 2024. 10. 4.
2024년 10월 4일, UTL연구실에서 첫 단체 사진을 찍었습니다!
앞으로 함께할 많은 일들과 협력을 기대하며, 이번 촬영은 의미 있는 순간이 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Date: 2024. 10. 2.
2024년 10월 2일, KCL(건설생활시험연구원) 김상래 센터장님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이번 방문은 연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센터장님의 조언과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연구실의 현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새로운 방향에 대한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앞으로도 이를 바탕으로 더욱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Date: 2024. 09. 30.
2024년 9월 30일, 한양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에서 김재경 교수님의 그린인프라론 특강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그린인프라의 기본 개념과 함께 최신 사례 및 연구 동향이 소개되었습니다.
김 교수님은 그린인프라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그린인프라에 대한 공학적 접근과 조성 사례,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이론과 실무의 연계를 설명해 주셨습니다.
특강은 학생들에게 그린인프라의 실제 적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유익한 시간이었으며, 앞으로의 연구와 진로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Date: 2024. 09. 27.
Prof. Kim, J.,Park, J., Park, S., & Kang, J.(2024). Enhancing water management and urban flood resilience using Hazard Capacity Factor Design (HCFD) model: Case study of Eco-Delta city, Busa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05851.
Date: 2024. 09. 27.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link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2024.09.25 / 10-2712000 /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public of Korea)
Date: 2024. 09. 26.
‘2024 대한민국 조경산학 한마음대축제’가 26일 동탄센트럴파크 근린공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사)한국조경협회와 (사)한국조경학회가 주최·주관한 이번 축제에는 우리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의 학생들과 교수님들이 참석하였습니다.
행사에서는 HLD 이호영 소장님과의 뜻깊은 만남이 있었습니다. 소장님과의 만남을 기록한 사진을 첨부하였으며, 이러한 소중한 만남은 조경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Date: 2024. 09. 25.
2024년 9월 25일, 임업진흥원 서재필 주임님의 취업특강이 환경조경학과 학생들을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특강에서는 임업 및 조경 분야의 취업 노하우와 드론 계측의 활용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졌습니다.
강의해 주신 서재필 주임님 감사드리며, 환경조경학과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Date: 2024. 09. 13.
2024년 9월 13일, 조태동 명예교수님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교수님과의 만남은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으며,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의 방문에 감사드리며, 주신 조언과 격려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겠습니다.
Date: 2024. 09. 08.
Baek, S., Kim, J., & Kang, J. (2024).
Impact of green infrastructure on PM10 in port-adjacent residential complexes: A finite volume method-bas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05815.
Date: 2024. 09. 03.
Prof. Park, S., Kim, J., & Kang, J. (2024). Heuristic approach to urban sewershed delineation for pluvial flood modeling.
Journal of Water Process Engineering, 67, 106129.
Date: 2024. 09. 01.
김재경 박사가 지난 1일부로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로 부임하였습니다.
김재경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그린인프라를 활용한 도시방재, 기후변화 적응, 조경공학, 디지털트윈, 근거기반설계 (EBD, Evidence based Design)를 결합한 도시 인포매틱 연구입니다.
주요 연구 관심사인 디지털 트윈과 테크놀로지를 결합해 Urban Twinology Laboratory (GWNU UTL)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Date: 2024. 08. 30.
Prof. Park, S., Kim, J., Yun, H., & Kang, J. (2024). Exploring the network structure of coupled green-grey infrastructure to enhance urban pluvial flood resilience: A scenario-based approach focusing on ‘centralized’and ‘decentralized’structur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70, 122344.
Date: 2024. 08. 27.
Prof. Kim, J., Ahn, J., & Kang, J. (2024). Adaptive wildfire spread prediction for complex terrain: modeling the effectiveness of sprinkler systems.
Fire Ecology, 20(1), 75.
Date: 2024. 08. 23.
김재경 교수가 KSCEA(Korean-American Society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s)로부터 Young Researcher of the Yea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KSCEA는 재미과학인협회 (KSEA, Korean-American Scientists)의 산하 조직으로, 토목, 환경, 건축 분야의 학술전문 조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