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움을 노래하는 가수 김나영
디아스포라의 삶에는 차별과 생존의 어려움, 새로운 땅에서의 희망과 의지, 그리고 근원적인 감정인 ‘그리움’이 공존한다. 이번 학회는 이러한 ‘그리움’과 정체성의 문제를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자리이다.
가수 김나영은 ‘그리움’을 노래하는 아티스트로서, 음악이 가진 힘과 자신만의 목소리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속 깊은 감정을 섬세하게 전달하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대표곡 **<봄 내음보다 너를>**은 이별의 감정을 담은 곡으로, 진정성 있는 가사와 목소리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SNS를 통해 확산되며 지금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또한 ‘차세대 OST 여왕’으로 불리는 그녀는 다수의 드라마 OST에 참여하며, 작품 속 감정선을 극대화하는 목소리로 주목받고 있다. 한류 문화의 확산과 함께 해외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한글에서 ‘글’, ‘그림’, ‘그리움’은 모두 같은 뿌리를 공유한다. 글은 기록을, 그림은 형상을, 그리움은 마음에 새긴 흔적을 의미한다. 김나영은 목소리를 통해 바로 이 ‘그리움’을 새기는 가수다.
이번 학회의 특별공연은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과 정부 관계자 모두가 ‘디아스포라의 정서’를 문화예술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뜻깊은 순간이 될 것이다.
Singer Kim Na-young, Singing Longing
The life of a diaspora encompasses discrimination, challenges of survival, hopes and determination in a new land, and the fundamental emotion of ‘longing.’ This conference provides an academic platform to explore the issues of ‘longing’ and identity.
Singer Kim Na-young is an artist who expresses ‘longing’ through her music, delicately conveying deep emotions and evoking empathy with the unique power of her voice.
Her representative song, , captures the feelings of farewell, resonating deeply with listeners through its heartfelt lyrics and vocal expression. It has spread widely on social media and continues to be loved.
Known as the ‘Next-Generation OST Queen,’ she has contributed to numerous drama OSTs, highlighting the emotional lines of the works through her voice. With the spread of Hallyu culture, she has also received enthusiastic responses overseas.
In the Korean language, ‘글 (writing)’, ‘그림 (drawing)’, and ‘그리움 (longing)’ share the same root. Writing records, drawing shapes, and longing leaves traces in the heart. Through her voice, Kim Na-young engraves this very ‘longing.’
The special performance at this conference will be a meaningful moment for researchers, the general public, and government officials alike to experience the ‘emotions of the diaspora’ through culture and the arts.
想いを歌う歌手、キム・ナヨン
ディアスポラの生活には、差別や生存の困難、新しい土地での希望と意志、そして根源的な感情である「想い」が共存している。本学会は、この「想い」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問題を学術的に探求する場である。
歌手のキム・ナヨンは、「想い」を歌うアーティストとして、音楽の力と独自の声で、人々の心の奥深くにある感情を繊細に伝え、共感を呼び起こす。
代表曲 <春の香りよりも君を> は別れの感情を描いた曲で、真摯な歌詞と声で多くの人々に深い感動を与えた。SNSを通じて広まり、今もなお愛され続けている。
また、「次世代OSTクイーン」として、多くのドラマOSTに参加し、作品の感情線を最大限に引き立てる声で注目されている。韓流文化の拡散とともに、海外でも熱い反応を得ている。
韓国語では「글(文字)」「그림(絵)」「그리움(想い)」は同じ語源を持つ。文字は記録を、絵は形を、想いは心に刻まれた痕跡を意味する。キム・ナヨンは声を通じて、この「想い」を刻む歌手である。
本学会の特別公演は、研究者だけでなく、一般市民や政府関係者も「ディアスポラの感情」を文化芸術として体感できる意義深い瞬間となるだろう。
밀양백중놀이 공연
밀양백중놀이보존회 (박동영 보유자 외)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는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대표적인 전통 연희로, 농경사회 속에서 공동체가 함께 어울려 즐기던 축제적 성격을 지닌 문화유산이다. 본래는 여름 농번기를 마친 뒤 맞이하는 머슴날에 지주가 마련한 음식을 나누며 머슴들이 하루 휴식을 즐기던 풍습에서 비롯되었다. 밀양에서는 이를 **‘꼼배기참 놀이’**라 불렀으며, 이는 귀한 음식을 나누며 공동체적 연대를 확인하는 의미를 지닌다.
밀양백중놀이는 농신제로 시작하여, 작두말타기, 양반춤, 병신춤, 범부춤, 오북춤 등 다채로운 놀이와 춤으로 이어지는 종합 연희로 발전하였다. 이를 통해 농경사회의 고단한 삶을 위로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한편, 공동체 구성원 간의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문화적 장치로 기능하였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전통의 재현을 넘어, 한국 사회의 생활문화와 공동체적 가치가 집약된 국가무형유산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한국학의 국제적 확산과 디아스포라 연구를 주요 주제로 하는 이번 해외한국학 지원사업 콘퍼런스의 취지와도 긴밀히 맞닿아 있다. 밀양백중놀이가 지닌 연대·축제·공동체의 정신은 국경을 넘어 세계 시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이기 때문이다.
Miryang Baekjung Nori Performance
Miryang Baekjung Nori Preservation Society (Holder: Park Dong-young, et al.)
Miryang Baekjung Nori,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performance passed down in the Miryang region of Gyeongsangnam-do. It is a cultural asset with a festive character, reflecting communal enjoyment in an agrarian society. Originally, it emerged from the custom of “Servants’ Day,” held after the busy summer farming season, where landlords shared food with servants, allowing them a day of rest. In Miryang, this was called ‘Kkombaegicham Nori’, symbolizing the sharing of precious food and reinforcing community solidarity.
Miryang Baekjung Nori evolved into a comprehensive performance starting with a farming deity ritual and continuing with various plays and dances, including stilts riding, yangban dance, byungsin dance, commoner dance, and obuk dance. Through this, it comforted the hardships of agrarian life, prayed for a bountiful harvest, and functioned as an important cultural mechanism to strengthen bonds among community members.
This performance is significant not only as a reproduction of tradition but also as a modern continuation of a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that embodies the living culture and communal values of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aligns closely with the aims of this overseas Korean Studies conference, which emphasizes the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Korean Studies and diaspora research. The spirit of solidarity, festivity, and community embedded in Miryang Baekjung Nori represents universal values that transcend borders and resonate with citizens worldwide.
ミリャン・ペクジュンノリ公演
ミリャン・ペクジュンノリ保存会(朴東英保有者ほか)
国家無形文化財に指定されているミリャン・ペクジュンノリは、慶尚南道ミリャン地域に伝わる代表的な伝統芸能であり、農業社会において共同体がともに楽しむ祭祀的性格を持つ文化遺産である。もともとは、夏の農繁期を終えた後に迎える使用人の日に、地主が用意した食事を分け合い、使用人たちが一日休息を楽しむ習慣に由来する。ミリャンではこれを 「コムベギチャムノリ」 と呼び、貴重な食事を分かち合い、共同体の結束を確認する意味を持つ。
ミリャン・ペクジュンノリは、農神祭を皮切りに、竹馬乗り、両班舞、ビョンシン舞、庶民舞、オブク舞など多彩な遊びや踊りへと発展した総合芸能である。これにより農業社会の厳しい生活を慰め、豊作を祈るとともに、共同体の構成員間の結束を強化する重要な文化的装置として機能した。
今回の公演は、単なる伝統の再現にとどまらず、韓国社会の生活文化と共同体的価値が凝縮された国家無形文化遺産の現代的継承として意義を持つ。さらに、韓国学の国際的普及とディアスポラ研究を主要テーマとする本海外韓国学支援事業のコンファレンスの趣旨とも密接に結びついている。ミリャン・ペクジュンノリに宿る連帯・祭り・共同体の精神は、国境を越えて世界の市民が共感できる普遍的価値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