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사회와 학계에 미친 영향
『파친코(Pachinko)』는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한국인(Zainichi Korean)들의 삶을 다루며, 그들의 정체성, 차별, 소속감 문제를 조명한다. 이민진 작가는 도쿄에서의 오랜 체류 경험을 포함한 세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이야기를 진정성 있게 그려냈다. 이 소설은 일본 학계 내에서 역사적 불평등과 소외된 공동체의 경험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출처: Encyclopedia Britannica, Time)
🌍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시민성
이민진 작가의 작품은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주제와 깊이 공명한다. 그녀의 등장인물들은 종종 복합적인 정체성을 탐색하며, 문화 간 경계에서 사회적 기대와 맞서 싸운다. 대륙과 세대를 넘나드는 서사를 통해, 소속감을 향한 보편적 탐구와 이민자 공동체의 회복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곧 출간될 신작 『American Hagwon』에서는 교육 맥락에서의 글로벌 한인 경험을 중심으로 이러한 주제를 더욱 심층적으로 다룰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Encyclopedia Britannica, The New Yorker)
🌟 세계적 작가로서의 영향력
『파친코』는 이민진 작가를 세계적인 문학 인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다. 이 소설은 National Book Award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The New York Times가 선정한 "2017년 최고의 10권"에 포함되었다. 2024년에는 The New York Times의 "21세기 최고의 100권"에서 15위에 올랐다. 비평적으로 찬사를 받은 시리즈로의 각색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을 포함한 인물들의 추천은 이 작품의 세계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출처: Time, Wikipedia, The New Yorker)
🎤 기조 연설자 초청
이민진 작가는 문학적 기여뿐 아니라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탐구, 소외된 공동체에 대한 논의에 대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어, 이번 학회 기조 연설자로 초청되었다. 그녀의 통찰은 문학, 사회 정의, 글로벌 문화적 역학에 관심 있는 청중에게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Pachinko delves into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ethnic Koreans residing in Japan—shedding light on their struggles with identity, discrimination, and belonging. Lee's meticulous research, including her years living in Tokyo, allowed her to portray these narratives authentically. The novel has been instrumental in fostering discussions within Japanese academic circles about historical injustices and the experiences of marginalized communities. (Encyclopedia Britannica, Time)
Lee's works resonate deeply with themes of diaspora and global citizenship. Her characters often navigate complex identities, straddling cultures and confronting societal expectations. Through narratives that span continents and generations, she offers insights into the universal quest for belonging and the resilience of immigrant communities. Her forthcoming novel, American Hagwon, is anticipated to further explore these themes, focusing on the global Korean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ncyclopedia Britannica, The New Yorker)
Pachinko has solidified Lee's status as a leading literary figure. The novel was a finalist for the National Book Award and was named one of The New York Times' "10 Best Books of 2017." In 2024, it was ranked #15 on The New York Times' list of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 The book's adaptation into a critically acclaimed series and endorsements from figures like President Barack Obama underscore its global impact. (Time, Wikipedia, Wikipedia, The New Yorker)
Given Min Jin Lee's profound contributions to literature, her exploration of diaspora and identity, and her influence on discussions about marginalized communities, she would be an exceptional choice for a keynote speaker. Her insights would be invaluable to audiences interested in literature, social justice, and global cultural dynamics.
氏名: ミン・ジン・リー(Min Jin Lee)
学歴: イェール大学(歴史学士)、ジョージタウン大学ロースクール(法務博士)
経歴: 元企業弁護士、現在は専業作家
代表作: 『Free Food for Millionaires』(2007年)、『パチンコ』(2017年)、次回作『American Hagwon』(予定)
現職: アマースト大学・作家インレジデンス
『パチンコ』は、在日コリアンの歴史とアイデンティティ、差別と苦難、そして生存への意志を描いた作品であり、日本社会に大きなインパクトを与えました。
ミン・ジン・リー氏は東京に数年間滞在し、現地調査を重ねたうえで執筆しており、そのリアリティと誠実さは学術界からも高く評価されています。
ミン・ジン・リー氏の作品は、ディアスポラ(離散した人々)や移民のアイデンティティ、異文化間の葛藤、そして「所属する場所」を求める普遍的なテーマを深く掘り下げています。
とくに『American Hagwon』では、グローバルな韓国系移民の教育に焦点を当て、現代社会における「世界市民性」のあり方について、さらなる考察を提示する予定です。
『パチンコ』は、ミン・ジン・リー氏を世界的な文壇の中心に押し上げました。
全米図書賞ファイナリストに選ばれ、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2017年のベストブック10冊」にも選出。
2024年には、同紙が発表した「21世紀のベストブック100冊」で第15位にランクインしました。
オバマ元大統領も愛読書として紹介し、Apple TV+ による映像化も大成功を収めるなど、その影響力は文化・社会の枠を超えて広がっています。
ミン・ジン・リー氏は、文学を通じてディアスポラと社会的マイノリティの経験を世界に伝え、国際社会に対して深い思索と対話のきっかけを提供してきました。
そのような背景から、今回の講演では「グローバルな視点から見るアイデンティティと共生社会」というテーマにおいて、極めて適任なキーノートスピーカーであると確信しており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