º 네트워크의 기본 원리
왜 네트워크에 대해서 배워야 하는가?
IT 는 모든 산업분야에 걸쳐 있다.
다양한 분야들에 IT 기술이 융합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런 융합적 사고를 잘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º 네트워크 장비
허브 (HUB)
허브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네트워크 장비와 장비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또한 허브는 다양한 기기들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서 그 신호들을 증폭시켜 다른 기기들로 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OSI 1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
안녕
허브 이미지
출처: https://learnabhi.com/hub/
리피터 (Repeater)
리피터란? 전송되는 신호의 형태가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 신호 형태로 가공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 OSI 1계층에서 사용
리피터 이미지
스위치 (Switch)
스위치는 물리적 주소를 학습할 수 있고, MAC 과 같은 물리적 주소를 테이블에 저장합니다.
허브: 모든 포트로 데이터 전송
스위치: 지정된 대상으로 전송
허브, 스위치, 라우터의 차이 이미지
라우터 (Router)
osi 3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경로 설정: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적합한지 검사합니다.
목적지 패킷까지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 해주는 일을 합니다.
몇 십만 원 ~ 몇억 지원하는 기능과 인터페이스 숫자에 따라 달라짐.
데이터를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
라우팅 경로설정 요소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대역폭(Bandwidth), 비용(Cost), 메트릭(Metric)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Hop Count 방식을 사용하는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입니다. 시스코(Cisco) 장비에서는 RIP v1, v2를 지원합니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SPF(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Link State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크기가 크고 복잡한 경우에 적합한 프로토콜입니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경계 라우터 간에 전달되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시스코에서 개발한 하이브리드 프로토콜로,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 라우팅 기술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단순성과 빠른 수렴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터 이미지
모뎀 (Modem)
모뎀(Modem)은 "Modulator"와 "Demodulator"의 합성어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기기입니다.
모뎀 이미지
Ups 백업 발전기
네트워크 장비
1. RAID 시스템 중 한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 놓는 방법으로 복구 능력을 제공하며, ′Mirroring′으로 불리는 것은?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4
.
.
.
2.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중심부는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되어 있는 전송회선은?
(1) BNC 케이블 (2) 광섬유 케이블 (3) 전화선 (4) 100BASE-T
.
.
.
3.다음은 라우터의 경로배정(routing)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라우팅 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A: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B: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해당 패킷을 파기하고, 있다면 어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C: 인터페이스가 결정되면 패킷을 해당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D: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을 수신한다.
1. A -> D -> B -> C / 2. A-> B -> D -> C / 3. D -> A -> B -> C / 4. D -> C -> A -> B
.
.
.
4. 다음 중 NAC(Network Access Control)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네트워크의 모든 IP기반 장치 접근 제어
(2) PC 및 네트워크 장치 통제(무결성 체크)
(3) 외부 유저 역할 기반의 접근 제어
(4) 유해 트래픽 탐지 및 차단
.
.
.
5. 다음에 설명하는 기술은 무엇인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사원kim은 최근 폭주하는 전송량으로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대역 요구사항이 한계치에 다다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 중이다. 네트워크의
전송량을 물리적으로 늘리는 것에는 한계를 느껴 데이터와
프로비저닝을 분산하는 방법이 최선이라 판단하였다.
이 방법은 데이터 센터 -> 예지 방향으로 옮김으로써,
스마트 오브젝, 휴대전화, 네트워크 게이트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클라우드를 거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응답 시간을 줄이고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
(1) 사물인터넷(iot)
(2) 유비쿼터스
(3) 예지 컴퓨팅
(4) 신 클라이언트
.
.
.
6. 다음은 화상 회의를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내용이다.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네트워크 관리팀장은 최근 필요성이 증가된 제택 근무에 활용할 화상회의 시스템 및 온라인 결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화상회의에서 사용할 시스템은 (A)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을 선택하였다.
(A)는 IETF에서 정의한 프로토콜로, 음성 및 화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TCP와 UDP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A) URL을 사용함으로써 IP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1) IRC (Internet Relay Chat)
(2) HEVC/H.265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3) MIME (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4)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
.
7. 다음 지문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셀룰러시스템의 동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다른 단기기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가 셀 범위 밖으로 이동하여 다른 셀 범위안으로 들어가도
끊김이 없도록 새로운 셀의 기지국에 할당된 채널로 통화채널을 바꾼다.
(1) 채널체인징 (2) 페이징 (3) 핸드오프 (4) 핸드쉐이크
.
.
.
v 8.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장점도 있지만 구리선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설치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케이블은 무엇인가?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
.
.
v 9.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송매체는?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
통과하는 빚이 전반사가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손실률이 낮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
.
.
v 10. 다음 내용 중 (A)에 들어갈 내용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kim 사원은 늘어나는 server업무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번에도 서버가 대량으로 추가되어 서버실에 놓을 공간과 전기용량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서버실들에게서 발생하는 발열문제로 24시간 냉각장치 및 항온항습으로 인한 발생비용 또한 회사에서 줄여보라고 지시가 내려왔다. 그래서 kim사원은 비용도 많이 발생하며 외주의 필요성이 있는 등 여러가지를 고려한 끝에 (a)를 이용하여 전용회선 및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받기로 하였다.
(1) IDC (Internet Data Center)
(2)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3)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4) IO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
.
11. 다음은 몇세대 이동 통신인가?
차세대 all ip 기반 서비스
저속 환경에서 고속으로 진화
lte advanced의 경우 최대 10bps. 시속
60km 이상 이용 시에도 최대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
(1) 5세대 이동 통신 (2) 2세대 이동 통신 (3) 3세대 이동 통신 (4) 4세대 이동 통신
.
.
.
12.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와 관련 없는 것은?
(1) Stop and Wait (2) XON/XOFF (3) Loop/Echo (4) Sliding Window
.
.
.
v 13. 한 대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마치 여러 대의 스위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하나의 포트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은?
(1)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2) 가상 랜(Virtual LAN) (3) TFTP 프로토콜 (4) 가상 사설망(VPN)
.
.
.
v 14. 다음 설명의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A)는 NAT의 하나의 기능으로 내부망에 있는 여러 개의 서버에 대한 서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연결을 분산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외부에는 가상적인
DNS 서버의 주소를 가르쳐 주고 외부에서 DNS 서버에 접속시 실제 DNS 서버 중
하나에게 전달함으로써 내부망에 있는 DNS 서버의 연결을 분산시킬 수 있다.
(1) IP Masquerading (2) Port Forwarding (3) Dynamic Address Allocation (4) Load Balancing
.
.
.
15. D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에 대하여 IP Address를 매핑한다.
(2) IP Address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있다.
(3)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로 IP Address 및 Subnet Mask, Gateway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해 준다.
(4) 계층적 이름 구조를 갖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
.
.
16. 다음 설명의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사원 lee는 wirelessLAN 환경에서 AP가 없는 경우
장치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다음의 기술을 연구 중이다.
(A)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없어도 WI-FI를 탑재한 장치 간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표준이다. 연결 상태에 따라 인터넷 탐색부터 파일 전송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와이파이 속도 수준으로 하나 이상의 장치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A)인증 프로그램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가
개발하고 관리한다. 또한, 기존 무선통신 기술인 블루투스보다 넓은 전송범위로 100M이내에 있는 모바일 장치와
프린터, 컴퓨터, 헤드폰 등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
1. Software Defined Network 2. Wi-Fi Direct 3. WiBro 4. WiMAX
.
.
.
17. L2 LAN 스위치가 이더넷 프레임을 중계 처리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 무엇인가?
(1) MAC 주소 (2) IP 주소 (3) Post 주소 (4) URL 주소
.
.
.
정답: 1. (2) RAID 1 /
정답: 2. (2) 광섬유 케이블 /
정답: 3. (3) A: 목적지 확인 B: 경로 확인 C: 패킷 전송 D: 패킷의 수신/
정답: 4. (3) 외부 유지 역할 기반의 접근 제어
<문제 해설>
방화벽 -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을 통제
NAC - 내부 네트워크를 통제,평가,점검
정답: 5. (3) 예지 방향
정답: 6. (4)
정답: 7. (3)
정답: 8. (4)
정답: 9. (4)
정답: 10. (1)
정답: 11. (4)
정답: 12. (3) -> 데이터 흐름과 관련 X
정답: 13. (2)
정답: 14. (4)
Load Balancing = 부하분산
정답: 15. (3)
3번은 DHCP에 해당되는 내용임
DHCP : 필요한 IP와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등을 자동으로 할당
정답: 16. (2)
Software Defined Network: 개방 API를 통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에서 제어/관리하는 접근방식
WiBro : 국내에서 개발된 무선 광대역 인터넷 기술
WiMAX : 와이브로의 또 다른 이름
정답: 17. (1)
L2 스위치는 이더넷 프레임 목적지 MAC주소를 알아내 해당 목적지 포트로 이더넷 프레임을 송출
(포트에 대응하는 MAC주소를 기록[MAC주소 테이블] 하고있어서 가능)
º 아날로그 vs 디지털
아날로그: 연속적인 신호
진폭, 주파수, 위상이 있음
디지털: 이산적인 값을 갖는다
0과 1로 표현한다
(전기가 켜진다 꺼진다)
º 단반향 vs 양방향
단방향:
한쪽으로 보내는 것
TV, 라디오 등
양방향:
이중으로 보내는 것 ( 반이중, 전이중)
반이중: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하는 방식,
내가 말할 때, 상대는 말 못함 EX) 무전기
전이중: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을 수 있는 방식
EX)전화
º NOS(Network Operating System):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특화된 운영체제를 의미함.
NOS (LINUX)
1.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 파일,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는?
(1) 응용 프로그램 로그 (2) 보안 로그 (3) 설치 로그 (4) 시스템 로그
.
.
.
2. 아파치 ′httpd.conf′ 설정파일의 항목 중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를 지정하는 항목으로 올바른 것은?
(1) ServerName (2) MaxClients (3) KeepAlive (4) DocumentRoot
.
.
v 3.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Daemon (2) Fsck (3) Men (4) PS
.
.
4. Linux에서 사용자가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절대경로 방식으로 보여주는 명령어는?
(1) CD (2) Man (3) PWD (4) CRON
.
.
5.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데이터 실행 방지(DEP)가 필요하다.
(2) 서버관리자의 역할 추가를 통하여 Hyper-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스냅숏을 통하여 특정 시점을 기록할 수 있다.
(4) 하나의 서버에는 하나의 가상 컴퓨터만 사용할 수 있다.
.
.
6.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자신의 네트워크 안에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서버는?
(1) DHCP 서버 (2) WINS 서버 (3) DNS 서버 (4) 터미널 서버
.
.
v 7. Windows Server 2008 R2의 DNS Server 역할에서 지원하는 레코드의 형식과 기능의 설명이다. 이 중 잘못 연결된 것은?
(1) A - 정규화 된 도메인 이름을 32비트 IPv4 주소와 연결
(2) AAAA - 정규화 된 도메인 이름을 128비트 IPv6 주소와 연결
(3) CNAME -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
(4) NS - 주어진 사서함에 도달 할 수 있는 라우팅 정보를 제공
.
.
v 8.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개체에 접근했을 때 기록이 남도록 감사정책을 설정하였다. 이를 시스템에 바로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gpresult (2) gpfix (3) gpupdate (4) gptool
.
.
9. Linux 시스템 명령어 중 root만 사용가능한 명령은?
(1) chown (2) pwd (3) ls (4) rm
.
.
10. Windows Server 2008 R2의 시스템관리를 위해서 설계된 명령 라인 셀 및 스크립팅 언어로, 강력한 확장성을 바탕으로 서버 상의 수많은 기능의 손쉬운 자동화를 지원하는 것은?
(1) PowerShell (2) C-shell (3) K-shell (4) Bourne-shell
.
.
v 11. Linux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시스템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는?
(1) /etc (2) /bin (3) /var (4) /dev
.
.
12.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또는 서버와 또다른 서버간의 인증 및 상호 인증을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임과 동시에 일종의 키분배센터(KDC)에 해당하며, 버전 5로 구현되어 있는 것은?
(1) NTLM (2) Kerberos (3) PKU2U (4) TLS/SSL
.
.
.
v 13. Windows Server 2016의 DNS 서버에 DNS 레코드를 추가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새 호스트(A or AAA)는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등록하는 것이다.
(2) 새 포인터(PTR)는 IP주소에 대한 FQDN을 등록하는 것이다.
(3) 새 별치(CNAME)은 서브 도메인을 등록하는 것이다.
(4) 새 메일 교환기(MX)는 메일서버를 등록하는 것이다.
.
.
.
v 14. Linux에서 ′manager′라는 파일을, 파일의 소유자가 아닌 사람도 볼 수는 있지만 수정을 못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1) chomod 777 manager
(2) chmod 666 manager
(3) chmod 646 manager
(4) chmod 644 manager
.
.
.
v 15.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일을 하기 위해 BitLocker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 BitLocker를 사용하기 위해서 메인보드와 BIOS에서 지원해야 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FSRM (2) NTLM (3) TPM (4) Heartbeat
.
.
.
v 16.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성능 모니터를 운영하여 서버의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성능 모니터로 미리 정의한 일정한 주기로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성능 모니터 도구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perfmon (2) msconfig (3) dfrg (4) secpol
.
.
.
v 17. 네임서버 레코드 정보를 변경한지 충분한 시일이 지났지만 특정 기기에서 해당(기존) 도메인으로 접속이 원할한 경우, 컴퓨터에 DNS cache가 갱신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다. DNS cache를 초기화 하는 명령어는 어느것인가?
(1) ipconfig /displydns
(2) ipconfig /flushdns
(3) ipconfig /release
(4) ipconfig /renew
.
.
.
v 18. Linux 시스템에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fdisk (2) mount (3) df (4) cat /etc/mtab
.
.
.
v 19. Linux 디렉터리에 대한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는?
(1) chmod (2) chown (3) useradd (4) chage
.
.
.
vv 20. Linux 시스템 운영 중 비인가자의 로그인 시도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로 옳은 것은?
(1) lastb (2) xferlog (3) history (4) pkill
.
.
.
v 21. Linux 서버 운영 중 불필요한 service port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로 옳은 것은?
(1) ps -ef | grep tcp
(2) netstat –antp
(3) netstat –rn
(4) cat /etc/services
.
.
.
v 22. Linux 시스템에서 'exam.txt' 파일의 내용을 보려고 하는데, 내용이 많아서 한 페이지를 넘어가 버린다. 한 페이지씩 차례대로 보기 위한 명령은?
(1) cat exam.txt | more
(2) cat exam.txt | grep
(3) find exam.txt | grep
(4) tar exam.txt | grep
.
.
.
v 23. Windows Server 2016의 IIS 기본 웹사이트 등록 정보의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주소: 사이트가 사용할 IP 주소를 기록하며, 한 컴퓨터에 2개 이상의 IP가 할당된 경우는 IP의 접속 순서를 지정
(2) TCP 포트: 웹서버 시스템의 물리적인 시리얼 포트 번호를 지정
(3) 연결 수 제한: 웹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 제한을 지정
(4) 연결 시간 제한: 웹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세션을 끊도록 지정
.
.
.
V 24.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
.
.
25. 컴퓨터가 부팅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1) GRUB (2) MBR (3) CMOS (4) SWAP
.
.
.
v 26.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2)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3)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4)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
.
.
27. Linux에서 프로세스와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
nice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top -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
.
.
.
28. Linux 디렉터리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mp -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2) /boot - 시스템이 부팅 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
(3) /var - 시스템의 로그 파일과 메일이 저장되는 위치
(4) /usr -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위치
.
.
.
29. 컴퓨터가 부팅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1) GRUB (2) MBR (3) CMOS (4) SWAP
.
.
.
30. 다음은 Linux 시스템의 계정정보가 담긴 ′/etc/passwd′ 의 내용이다.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user1:x:500:500::/home/user:/bin/bash
(1) 사용자 계정의 ID는 ′user1′ 이다.
(2) 패스워드는 ′x′ 이다.
(3) 사용자의 UID와 GID는 500번이다.
(4) 사용자의 기본 Shell은 ′/bin/bash′ 이다.
.
.
.
31. Linux에서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 ′shutdown - h +30′을 입력하였으나 갑자기 어떤 작업을 추가로 하게 되어 앞서 내렸던 명령을 취소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명령어는?
(1) shutdown –c (2) shutdown -v (3) shutdown –x (4) shutdown -z
.
.
.
32.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성능 모니터를 운영하여 서버의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성능 모니터로 미리 정의한 일정한 주기로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성능 모니터 도구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perfmon (2) msconfig (3) dfrg (4) secpol
.
.
.
33.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사용자 및 그룹을 관리하는 업무를 부여받았다. Windows Server 2016에는 기본적으로 3개의 로컬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어 있는데, 다음 중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계정이 아닌 것은?
(1) Administrator (2) DefaultAccount (3) Guest (4) root
.
.
.
v 34.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Hyper-V 부하와 서비스의 중단 없이 Windows Server 2012 R2 클러스터 노드에서 Windows Server 2016으로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고 한다. 다음 중 작업에 적절한 기능은 무엇인가?
(1) 롤링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2) 중첩 가상화 (3) gpupdate (4) NanoServer
.
.
.
35. Linux 명령어 중 현재 디렉터리에서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1) cd.. (2) cd .. (3) cd . (4) cd ~
.
.
.
36. Linux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실행 파일과 기본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디렉터리는?
(1) /boot (2) /etc (3) /bin (4) /lib
.
.
.
37. Linux 시스템에 좀비 프로세스가 많이 생겨 시스템을 재부팅하려고 한다. 현재 Linux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5분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시키는 명령어는?
(1) shutdown -r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2) shutdown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3)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4) shutdown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
.
.
38. Windows Server 2016의 DNS 서버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에서 SOA 레코드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련번호 : 해당 영역 파일의 개정 번호다.
(2) 주 서버 : 해당 영역이 초기에 설정되는 서버다.
(3) 책임자 :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사람의 전자 메일 주소다. webmaster@icqa.or.kr 형식으로 기입한다.
(4) 새로 고침 간격 : 보조 서버에게 주 서버의 변경을 검사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이다.
.
.
.
v 39.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502 (Service Unvailable) :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2) 501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3) 503 (Bad Request) :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4)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 보낸 요청 메시지 형식을 서버가 해석하지 못한 경우
.
.
.
40. Linux 명령어 중 특정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mv (2) cp (3) find (4) file
.
.
.
41.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도메인의 사용자가 도메인 내의 어떤 컴퓨터에서 접속하든지 자신이 사용하던 폴더가 그대로 보이도록 하는 정책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때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이 설정할 수 있는 올바른 정책은?
(1) 그룹 정책 관리 (2) 폴더 리다이렉션(Folder Redirection) (3) NTFS 쿼터 (4) BitLocker
.
.
.
v 42.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를 구축하여 사용자 계정 관리를 하고자 한다. 이때 Windows Server 2016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그룹 계정중에서 성능카운터, 로그 등을 관리하는 권한을 가진 그룹으로 알맞은 것은?
(1) Backup Operators (2) Performance Log Users (3) Power Users (4)Replicator
.
.
.
43.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데이터 손실없이 여러 사이트 간에 동기 복제를 제공하며,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백업 데이터로 연결을 넘길 수 있도록 서버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에 적절한 서비스는?
(1) 저장소 복제 (2) DirectAccess Server (3) 클라우드 폴더 (4) NanoServer
.
.
.
v 44. 전송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방식은?
(1) Adaptive ARQ (2) Go back-N ARQ (3) Selective-Repeat ARQ (4) Stop and Wait ARQ
.
.
.
45.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 공유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는?
(1) mem (2) free (3) du (4)cat
.
.
.
46.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Linux 시스템 디렉터리는 무엇인가?
(1) /home (2) /usr (3) /var (4) /tmp
.
.
.
47. 다음은 Linux 시스템의 계정정보가 담긴 ′/etc/passwd′ 의 내용이다.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user1:x:500:500::/home/user1:/bin/bash
1. 사용자 계정의 ID는 ′user1′ 이다.
2. 패스워드는 ′x′ 이다.
3. 사용자의 UID와 GID는 500번이다.
4. 사용자의 기본 Shell은 ′/bin/bash′ 이다.
.
.
.
v 48. Windows Server 2016에서 ′netstat′ 명령이 제공하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
2. 라우팅 테이블
3.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의 순서 정보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
.
.
49. Windows Server 2016에서 사용하는 PowerSh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존 DOS 명령은 사용할 수 없다.
(2) 스크립트는 콘솔에서 대화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스크립트는 텍스트로 구성된다.
(4)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
.
50. Linux에서 ′ls -al′의 결과 맨 앞에 나오는 항목이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을 나타내준다. 즉, [파일타입]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외의 유저에 대한 권한]을 표시한다. 만약 [파일타입]부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이것의 의미는?
(1)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특수 파일
(2) 디렉터리
(3) 일반 파일
(4) 심볼릭/하드링크 파일
.
.
.
51.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기존의 폴더 또는 파일을 안전한 장소로 보관하기 위해 백업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 Windows Server 2016은 자체적으로 백업 기능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백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중 Windows Server 백업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시작] - [실행] - wbadmin.msc 명령을 실행
2.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도구] - [Windows Server 백업]
3.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Windows Server 백업]
4. [시작] - [실행] - diskpart 명령을 실행
.
.
.
52.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Active Directory를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하고자 한다. 도메인을 두 개 이상 포함 하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사용자가 다른 도메인에 있는 공유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액세스를 제어 하려면 한 도메인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해야 한다. 서로 다른 도메인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 하기 위해 두 도메인 간에 설정해야 하는 것은?
(1) 도메인 (2) 트리 (3) 포리스트 (4) 트러스트
.
.
.
53.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
.
.
54.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Hyper-V 부하와 서비스의 중단 없이 Windows Server 2012 R2 클러스터 노드에서 Windows Server 2016으로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고 한다. 다음 중 작업에 적절한 기능은 무엇인가?
(1) 롤링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2) 중첩 가상화 (3) gpupdate (4) NanoServer
.
.
.
v 55. 다음 중 ( )에 알맞은 것은?
()는 호텔이나 그 외의 공공 접속장소에서 일반적으로
차단되어 있지 않은 포토를 사용하여 SSL상에서의
VPN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NPA와 통합되어 있고
기본 IPV6 트래픽을 제공한다. ()는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로
통합되어 있고, SSL연결을 통한 단일 IPV6의 사용을 통해
부하를 분산하면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최소화한다.
1. RADIUS 2. PPTP 3. L2TP 4. SSTP
.
.
.
56. Linux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거나 시스템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어는?
(1) ps (2) top (3) kill (4) nice
.
.
.
57. Windows Server 2016의 DNS 서버에서 정방향/역방향 조회 영역(Public/Inverse Domain Zone)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정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이다.
2. 정방향 조회 영역에서 이름은 ′x.x.x.in-addr.arpa′의 형식으로 구성되는데, ′x.x.x′는 IP 주소 범위이다.
3. 역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이다.
4. 역방향 조회 영역은 외부 질의에 대해 어떤 IP주소를 응답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
.
.
58. Linux 시스템 명령어 중 root만 사용가능한 명령은?
1. chown 2. pwd 3. Is 4. rm
.
.
.
(외워) 59. 웹서버 담당자 Kim은 디렉터리 리스팅 방지, 심볼릭 링크 사용방지, SSI(Server-Side Includes)사용 제한, CGI실행 디렉터리 제한 등의 보안 설정을 진행하려고 한다. Apache 서버의 설정 파일 이름은?
1. httpd.conf 2. httpd-default.conf 3. httpd-vhosts.conf 4. httpd-mpm.conf
.
.
.
v 60. 서버 담당자가 Windows Server 2016 서버에서 파일 서버 구축에 NTFS와 ReFS 파일시스템을 고려하고 있다. NTFS와 ReFS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TFS는 퍼미션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접근 권한을 사용자 별로 설정 할 수 있다.
2. NTFS는 파일 시스템의 암호화를 지원한다.
3. ReFS는 데이터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정하는 기능이 있다.
4. ReFS는 FAT32의 장점과 호환성을 최대한 유지한다.
.
.
.
61. Windows Server 2016의 ′netstat′ 명령 중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 옵션은?
(1) netstat – a (2) netstat - r (3) netstat – n (4) netstat - s
.
.
.
62.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설치한 후, IIS 관리자를 실행하기 위해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할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wf.msc (2) msconfig (3) inetmgr.exe (4) dsac.exe
.
.
.
정답: 1. (2) 보안 로그
정답: 2. (2) MaxClients = 최대 접속 클라이언트
정답3. (4) - PS 프로세트
정답: 4. (3) - PWD(Print Working Directory- 작업중인 디렉토리를 출력)
정답: 5. (4) Hyper v 는 하나의 서버에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6. (1) DHCP
정답: 7. (4) NS 도메인 서버 목록을 지정하는 레코드임.
정답: 8. (3) gpupdate(설정 새로 고침)
정답: 9. (1) CHOWN(Change the owner of a file)의 줄임말로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정답: 10. (1) Powershell (강력한 파워)
정답: 11. (1) /etc :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
정답: 12. (2) 커버로스(Kerberos)는 MIT에서 개발한 티켓 기반의 중앙집중적인 인증방법으로 대칭키를 사용하고 사용자는 티켓을 발급받안 후 인증서버에게 인증을 받는다
정답: 13. (3)
정답: 14. (4)
정답: 15. (3)
정답: 16. (1)
정답: 17. (2)
정답: 18. (1)
정답: 19. (2)
정답: 20. (1)
정답: 21. (2)
정답: 22. (1)
정답: 23. (2)
정답: 24. (1)
chage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명령어 입니다.
chgrp는 파일의 소유자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chmod는 파일의 허가권을 숫자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정답: 25. (1)
GRUB는 컴퓨터가 시작될 때에 처음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리눅스 로더를 의미합니다.)
정답: 26. (4)
정답: 27. (4)
정답: 28. (4)
/usr은 시스템, 응용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를 말합니다.
정답: 29. (1)
GRUB는 컴퓨터가 시작될 때에 처음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리눅스 로더를 의미합니다.)
1.GRUB - GNU에서 만든 부트로더
2.MBR -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생성할 때 만들어짐
3.CMOS - CMOS
4.SWAP -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디스크에 확보
정답: 30. (2)
패스워드가 'x'가 아니고 패스워드가 없다는 뜻
passwd 에서 비밀번호 부분인 x는 여기에선 보이지않고, /etc/shadow 파일에 따로 저장되어있다
정답: 31. (1)
정답:32. (1) perfmon
정답: 33. (4) root -> linux
정답: 34. (1) hyper-v 또는 스케일 아웃 파일 서버 작업을 중지하지 않고
노드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정답: 35. (2)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정답: 36. (3)
1./boot : 부팅 될때 커널 이미지를 담고 있음
2./etc : 시스템 성정파일 (passwd,group,이런것들)
3./bin : 필수적인 실행 파일과 기본 명령어
4./lib : 라이브러리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정답: 37. (3)
5분 뒤에 시스템을 재부팅함
정답: 38. (3)
책임자는 E-MAIL주소이다. 단지 SOA레코드의 필드에서는 @형식으로 나타내지 않고 . 를 사용해서 이메일을 표시한다
정답: 39. (2) 501 -> 서버가 요청한 기능을 지원 안하는 경우
정답: 40. (3)
정답: 41. (2)
폴더 리디렉션이란 폴더를 공유 폴더로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폴더 리디렉션 정책을 사용하여 로컬 폴더를 네트워크에 올려본다.
정답: 42. (2)
Performance Log Users : 서버 및 원격 클라이언트에서 로컬로 성능 카운터, 로그 및 알림을 관리할 수 있음
정답: 43 (1)
정답: 44. (1) 전송 효율 최대 -> Adaptive ARQ
정답: 45. (2)
mem -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
free -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과 사용가능한 메모리양 표시
정답: 46. (3) /var 각종 임시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정답: 47. (2) x는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서 들어갔다는 의미이다.
정답: 48. (3)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의 순서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tracert'이다.
정답: 49. (1) 기존 DOS 명령어 사용 가능
정답: 50. (3)
'-'는 일반 파일,
'd'는 디렉터리,
'b'는 블록 디바이스,
'c'는 문자 디바이스,
'l'은 링크,
's'는 소켓파일
정답: 51. (4)
diskpart는 fdisk의 새로운 버전으로 파티션 할당을 제공하는 파티션 툴임
정답: 52. (4)
정답: 53. (1)
2.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3. 권한 변경하는 명령어
4. 사용자정보 변경 명령어
정답: 54. (1)
중첩 가상화 : Hyper-V 가상 컴퓨터(VM) 내에서 Hyper-V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
gpupdate : 윈도우 그룹정책
NanoServer : 윈도서버를 최소한의 용량으로 설치(미니멈설치)
정답: 55. (4)
정답: 56. (2)
top : 실시간으로 CPU 사용률을 보여줌
정답: 57. (1)
정방향=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역방향= IP주소를 도메인주소로 변환
정답: 58. (1)
chown=파일의 소유자나 그룹을 변경 root만 사용가능한 명령어
정답: 59. (1)
정답: 60. (4)
ReFS(복원 파일 시스템)은 FAT이 아닌 NTFS를 대체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 61. (2)
-a = 모든 연결 및 수신 대기 포트를 표시
-r =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줌
-n =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현해줌
-s = 각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를 보여줌
정답: 62. (3)
wf.msc -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열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msconfig - Windows 8, 8,1, 10의 부팅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이는 명령어
dsac.exe - Active Directory 관리 센터를 여는 명령어
º IP
IP version 4, IP version 6
-> 번호 길이 확장, 보안성 강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다이나믹하게 호스트를 구성하는 프로토콜
장점: 자동으로 IP가 설정되어서 편함. 아래 이미지를 봐. 만약 수동으로 할당을 하려면 저거 모두 직접 찾아서 쳐줘야 해. 그 다음으로 IP 약이 가능하다. 관리 용이하다.
단점: 내 IP가 아니라 임대하는 개념임. 서버에서 설정한 단위만 임대해서 쓰는 거 사용한 시간이 끝나면 반납해야 합니다. 또 호스트가 많아지면 과부하가 생김.
유동 IP 환경에서 자동 설정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설정 되도록 하는 시스템
IP
1_ 패킷이 라우팅 되는 경로의 추적에 사용되는 유틸리티로, 목적지 경로까지 각 경유지의 응답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 ipconfig (2) route (3) tracert (4) netstat
.
.
.
+ 네트워크와 서버를 관리하는 Kim사원은 인터넷이 느려졌다는 민원을 받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해당 ISP 주소쪽으로 명령어(A)를 입력하였더니 다소 지연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 (A)에 들어가야 할 명령어는? (단, 윈도우 계열의 명령프롬프트(cmd)에서 실행하였다.)
(1) nslookup
(2) tracert
(3) ping
(4) traceroute
.
.
.
v 2_ C Class에서 유효한 IP Address는?
(1) 33.114.17.24
(2) 128.46.83.25
(3) 202.67.13.87
(4) 222.248.256.34
.
.
.
v 3.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볼 때,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ICMP (2) SMTP (3) SNMP (4)TFTP
.
.
.
v 4.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
(1) URG (2) UTC (3) ACK (4) RST
.
.
.
v 5. IP Address를 관리하기 위한 Subnetting을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할 수 있다.
(3) 불필요한 Broadcasting Message를 제한할 수 있다.
(4) Host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
.
v 6. 다음 중 사설 IP주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10.100.12.5
(2) 128.52.10.6
(3) 172.25.30.5
(4) 192.168.200.128
.
.
.
7.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1) 191.234.149.32
(2) 198.236.115.33
(3) 222.236.138.34
(4) 195.236.126.35
.
.
.
8. C Class의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누어 각 서브넷에 4~5 대의 PC를 접속해야 할 때, 서브넷 마스크 값으로 올바른 것은?
(1) 255.255.255.240
(2) 255.255.0.192
(3) 255.255.255.248
(4) 255.255.255.0
.
.
.
v 9. IPv4 Class 중에서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1) B Class
(2) C Class
(3) D Class
(4) E Class
.
.
.
10. IPv6에서 6000Byte의 패킷이 이더넷 LAN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사용할 확장 헤더는?
(1) Source Routing
(2) Fragmentation
(3) Authentification
(4) Destination Option
.
.
.
v 11. IP의 체크섬(Checksum)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2) IP Header와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3)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4) TCP 계층에서만 체크섬 계산 및 검증 서비스가 제공된다.
.
.
.
v 12. 다음 중 Ping 유틸리티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ICMP 메시지를 이용한다.
(2) Echo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해당 컴퓨터로부터 ICMP Echo Reply 메시지를 기다린다.
(3) TCP/IP 구성 파라미터를 확인 할 수 있다.
(4) TCP/IP 연결성을 테스트 할 수 있다.
.
.
.
v 13. IPv4 Class 중에서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1) B Class (2) C Class (3) D Class (4)E Class
.
.
.
v 14.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1) 2개 (2) 6개 (3) 14개 (4) 30개
.
.
.
v 15. ARP와 RAR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RP와 RARP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인터넷 주소와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를 변환하는데 관여한다.
(2) ARP는 IP 데이터 그램을 정확한 목적지 호스트로 보내기 위해
IP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3) RARP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시스템에 사용된다.
(4) RARP는 MAC 주소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MAC 주소에 대한 IP Address를 알아낼 때 사용한다.
.
.
.
16. IP Address ′127.0.0.1′ 이 의미하는 것은?
(1)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2) 사설 IP Address를 의미한다.
(3) 특정한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를 의미한다.
(4) 루프 백 테스트용이다.
.
.
.
17.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 기술로, 공인 IP주소를 절약하고, 내부 사설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은?
(1) DHCP (2) ARP (3) BOOTP (4) NAT
.
.
.
v 18.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되어 데이터그램을 버려야 하는 경우 참조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
.
.
19. 호스트의 IP Address가 ′200.221.100.152′일 때 해당하는 Class는?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
.
.
v (외워) 20.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 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는 제외한다.)
10개 14개 26개 32개
.
.
.
v 21.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의 Field Name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estination IP Address (2) Source IP Address (3) Port Number (4) TTL(Time to Live)
.
.
.
v (외워) 22. ′B Class′를 6개의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싶을 때, 가장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24.0
(2) 255.255.240.0
(3) 255.255.248.0
(4) 255.255.255.0
.
.
.
23. MAC Address를 IP Address로 변환시켜주는 Protocol은?
(1) RARP (2) ARP (3) TCP/IP (4) DHCP
.
.
.
24. 내부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에는 공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1) ARP (2) NAT (3) ICMP (4) DHCP
.
.
.
25.IPv4의 IP Address 할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Network ID와 Host ID의 비트가 '1'이 되어서는 안 된다.
(2) Class B는 최상위 2비트를 '10'으로 설정한다.
(3) Class A는 최상위 3비트를 '110'으로 설정한다
(4) '127.x.x.x' 형태의 IP Address는 Loopback 주소를 나타내는 특수 Address로 할당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
.
V 26. C Class인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 이라면 둘 수 있는 서브넷의 개수는?
(1) 2 (2) 4 (3) 192 (4) 1024
.
.
.
라우터
1. 라우팅 프로토콜 중 네트워크 거리를 계산할 때 홉(Hop)의 총계만을 사용하는 것은?
MAC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8bit의 길이를 갖는다.
(2)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용된다.
(3) 실제 데이터 전송은 IP Addres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에 중복된 MAC Address가 할당 되어도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4) 장치 디바이가 가지고 있는 Address이다.
.
.
.
2_2 RIP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메시지는 전송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2)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3)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4)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지 못한다.
.
.
.
2_3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
(1) URG (2) UTC (3) ACK (4) RST
.
.
.
V 2_4 링크 상태 라우팅(Link State Routi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라우터는 인터네트워크 상의 모든 라우터와 자신의 이웃에 대한 지식을 공유한다.
(2) 각 라우터는 정확히 같은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3) 최단 경로 트리와 라우팅 테이블은 각 라우터마다 다르다.
(4) 각 라우터 간 경로의 경비는 홉 수로 계산한다.
.
.
.
2_5 현재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몇 비트의 번호체계인가?
(1) 32 비트
(2) 48 비트
(3) 64 비트
(4) 128 비트
.
.
.
V 2_6 라우터에서 ′show running-config′ 란 명령어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 ROM (2) RAM (3) NVRAM (4) FLASH
.
.
.
2_7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로 컴퓨터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인근의 라우터들에게 알리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1.ICMP 2. IGMP 3. EGP 4. IGP
.
.
.
정답: 1. (3) TRACERT: 경로의 추적에 사용되는 유틸리티
정답: 2. (3)
A 0.0.0.0 ~ 127.255.255.255 255.0.0.0 /8
B 128.0.0.0 ~ 191.255.255.255 255.255.0.0 /16
C 192.0.0.0 ~ 223.255.255.255 255.255.255.0 /24
D 224.0.0.0 ~ 239.255.255.255
E 240.0.0.0 ~ 255.255.255.255
c-class: 192~223
정답: + (2) TRACERT -> UDP, ICMP, TTL을 이용
정답: 3. (1) ICMP -> TCP/ IP 프로토콜
정답: 4. (2)
정답: 5. (4) HOSI ID 사용하지 않는 것 X
정답: 6. (2)
정답: 7. (1) 191.234.149.32
7번 해설
a 클래스 : 0.0.0.0 ~ 127.255.255.255
b 클래스 : 128.0.0.0 ~ 191.255.255.255
c 클래스 : 192.0.0.0 ~ 223.255.255.255
정답: 8. (3)
한블럭을 8개로 잡아야함
256-8=248
255.255.255.248
정답: 9. (3) D Class
D class : 멀티캐스트 용도 E class : 연구용
정답: 10. (2) Fragmentation
정답: 11. (1)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정답: 12. (3) tcp/ip는 ipconfig를 통해 확인 가능
정답: 13. (3)
정답: 14. (4)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24일 때, 주어진 값 중에서 224부터 256까지 숫자를 세어보면 32개가 나옵니다.
그럼 하나의 그룹에 32개의 IP주소를 배정할 수 있다는 말이되며, 총 256을 32개로 나누게 되면 총 8개가 나옵니다.
서브넷은 총 8개로 나누었고, 각 그룹에는 32개의 IP가 나뉘며, 32개의 IP중에서 맨 앞의 주소는 그룹을 대표하는 네트워크주소가 되며, 맨 마지막의 주소는 브로드캐스트가 됩니다.(32-2=30개)
정답: 15. (1)
정답: 16. (4)
정답 17. (4)
정답 18. (2)데이터 그램을 버려야 하는 상황 -> 혼잡이 발생할 때
정답 19. (3) A: 0~127, B: 128~191, C: 192~223, D: 224~239, E: 240~255
정답 20. (2)
정답: 21. (3) 포트 번호 -> 4계층
정답: 22. (1)
정답: 23. (1)
정답: 24. (2)
내부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에는 공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것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 주소 변환기 입니다
공인 IP를 절약 하기 위해 사용
인터넷의 공인 IP는 한정되있어서 NAT를 이용하면 사설 IP를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공인 IP와 상호 변환이 되게끔 하여공인 IP를 다수가 함께 사용 할 수 있도록함
정답: 26. (2)
서브넷의 갯수는 디폴트 마스크에서 0이 1로 바뀐 개수를 제곱한 수 만큼 존재함
255.255.255.192=1111 1111.1111 1111.1111 1111.1100 0000
2^2=4 즉 4개
정답: 1_1. (2) RIP 카운팅 기반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토콜
정답: 2_2. (3)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 OSPF
정답: 2_3. (2)UTC
정답: 2_4 (4)
정답: 2_5 (2)
가장 일반적으로 MAC주소를 표기할 때 00-00-00-00-00-00 으로써 48비트(6옥텟)로 표기합니다.
총 48비트중 앞에 24비트(3옥텟)은 장비 제조사의 일련번호가, 뒤의 24비트(3옥텟)은 장비의 시리얼번호가 부여되어 각각 장비에 고유하게 부여되고있습니다.
정답: 2_6 (2)
show running-config: RAM
show starting-config: NVRAM
정답: 2_7 (2)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Group=다중
º DNS
DNS 쓰는 이유 : 숫자 기억하기 어려움 , 문자 기억하기 쉬움
IPV4나 IPV6같은 경우에는 숫자로 할당이 되서 매번 통신 할 때마다 숫자를 암기 할 수는 없잖아 특수한 경우에는 그렇게 할 수도 있겠지 그런데 비효율적이라서 기관명 같은 문자로 된 도메인을 사용합니다.
EX) 접속 차단을 해도 도메인을 바꾸면서 계속 우회를 하는 방식. 이런 경우에는 사실 손익을 따져봐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비효율적 그렇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효율적일 수도 있다.
핸드폰에서 먼저 이름을 검색하고 번호를 찾는 시스템이랑 비슷한 거임.
핸드폰에서 이름을 검색하고 번호를 찾는 시스템과 비슷한 것이 DNS
컴퓨터와 인간의 통신 격차를 해소하고 훨씬 더 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됨. 만약 google.com으로 접속을 한다고 해보자. 너가 검색을 하면 DNS server에서 해당 도메인 이름과 일치하는 ip주소를 확인하고 접속이 된다.
그러면 너의 컴퓨터는 구글 웹서버랑 통신을 하게 되는데 그러면 이제 구글 웹 페이지에서 검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2)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3)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4)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º NODE
다중화: 송신 측에서 하나의 회선을 시간, 주파수, 코드로 나누어 많은 데이터를 싣는 것.
역다중화: 수신 측에서 하나의 회선에 다중화 되어 온 데이터를 각 채널로 분리시키는 것.
1. 데이터 전송 시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의 전달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은?
(1) 감쇠 현상 (2) 지연 왜곡 (3) 노화 잡음 (4) 상호 변조 잡음
2.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엔코딩 (2) 멀티 플렉싱 (3) 디코딩 (4) 흐름 제어
3. 패킷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서 패킷 교환기가 갖추어야 할 기본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을 하고자 하는 단말기 사이에 가상 회선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기능 (2) 다수의 중계로에서 최적의 경로 선택 가능 (3) 전송량을 제어하여 수신 버퍼의 범람 방지 기능 (4) 다수의 링크를 하나의 논리 채널로 다중화 하는 기능
.
.
.
4. 기가비트 이더넷은 약 1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으로 기존의 이더넷뿐만 아니라 고속 이더넷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다음 중 기가비트 이더넷에 대한 규격으로 옳은 것은?
(1) 1000Base-SX
(2) 1000Base-NX
(3) 1000Base-BX
(4) 1000Base-AX
정답: 1. (2)
정답: 2. (2) 디지털 신호 전송에 사용되며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한다
정답: 3. (4)
정답: 4. (1)
º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의 종류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 유/무선 결합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º 네트워크 구조
Star Topology
Bus Topology
중간에 문제가 생기면 A -> B, B -> A 연결이 안 됩니다.
노드 증가시 전송 속도 저하
Inverse Topology
장점: 건물의 층내 및 층간 네트워크 구성에 용이
단점: 허브 간의 연결이 끊어지면 하부의 단말은 통신 장애 발생, 성능이 큰 스위치를 중심으로 계층적 구성이 가능.
2중 링 구성시 장애에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회선 중 하나라도 고장 시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치며 쉽게 해결 불가능
º 프로토콜
우리가 신호등을 보며 규칙을 지키듯이 통신에서도 상호 간에 규칙이 필요하다. 송신과 수신에 약속을 정하고 그 약속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통신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프로토콜 이미지
프로토콜의 기능
프로토콜의 3요소
º 구문 (Syntax): 문법이랑 비슷함. 규칙, 약속
º 의미(Semantics): 각각의 자리에 있는 것이 어떤 의미로 배치했는지
º 타이밍(Timing): 순서, 속도
프로토콜의 역사
구문(Syntax)
데이터의 구조 또는 형식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
의미(Semantics)
각 비트의 영역별 의미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를 기반으로 어떤 동작 을 할 것인가를 결정
시기(Timing)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
얼마의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º WEB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전기전자기술자협회
각 프로토콜의 역사
url 프로토콜: // 서버 주소 : 포트 번호 / 파일 경로
예: Http://cosmo.com:80/mem.jsp~/contet
http: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ftp: 파일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ftp://ftp.test.com/pub)
malito: 전자메일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malito:test@google.com)
talnet: 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talnet://xxx.xx.2.xx)
HTML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재단
HTML 표준을 비롯한 웹 표준안 제작, 제안하는 일을 하는 국제적인 웹 표준화 단체
HTML1(Version) 1991.10
HTML 2 1995.11
HTML 3 1997.01
HTML 4 1997.12
HTML5 2014.10
쿠키
쿠키: 특정 웹 사이트 접속 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
캐시
캐시란? 임시 장소임. 컴퓨터에서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장소..
*사용자가 웹사이트(client)에 접속할 때, 정적 컨텐츠(JS,이미지, CSS)을 특정 위치에 저장하여, 웹 사이트 서버에 해당 컨텐츠를 매번 요청하여 받는 것이 아닌, 특정 위치에서 불러옴으로서 사이트 응답 시간을 줄이고, 서버 트래픽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V 1. 인터넷 전송 방식 중, 특정 호스트로부터 같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1) Unicast (2) Broadcast (3) Multicast (4) User Datagram Protocol
.
.
.
2. 무선랜(LAN)은 무선신호 전달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근거리 지역에서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지문에서 설명하는 와이파이 IEEE 802.11규격은 무엇인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가 발표한 기술 규으로 여섯 번째 표준이라는 의미로 와이파이 6이 지칭한다.
다양한 전파 환경에서 전송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다중 사용자 미모 기술을 적용하였다.
무선 주파수의 포화 상태로 인한 통신 간섭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확장 표준이며 비면허 주파수인 6GHz의 통신을 지원한다.
(1) IEEE 802.11n (2) IEEE 802.11ac (3) IEEE 802.11be (4) IEEE 802.11ax
정답: 1. (2) Broadcast (모든 pc에 일괄 전송)
정답: 2. (4)
[초창기] 윈도우가 윈도우 운영체제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강제 설치(점유율 높이기 위함) , 아메리카 온라인 AOL 점차 하락 -> [플러그인] 플러그인 이란? 웹 브라우저와 연동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PC에 추가로 설치해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확장하는 방법. EX) Adobe flash, Ms 액티브 x -> 웹2.0 사람들이 같이 새로운 컨텐츠를 창작하는 시대 EX) 위키피디아 -> 애플, 모질라, 오페라 <-> 익스플로러 -> HTML5 표준
HTML5에서는 모든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제작이 가능합니다.
EX)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º OSI 7계층
OSI 7계층: ISO에서 정한 통신 프로토콜임.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이용해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뭔가를 보내는 과정임
1계층: 물리적으로 연결된 선이 있기 때문에 물리 계층이라고도 불림. 리피터, 허브 -> 신호를 발생하는 장비나 물리적인 접속을 제어
2계층: 데이터 링크 특정 위치에서만 강의를 들을 수 있는 mac.. 브릿지, 스위치 -> 오류 검출, 동기화, 흐름 제어 (mac을 이용한 로컬 통신 가능하게 함
3계층: 네트워크 계층 이라고도 불림. 라우터, 리피터 등이 장비에 쓰임 -> 패킷 관리, 최적의 경로 배정 (ip)
4계층: l4 스위치 사용, 전송 계층 이라고도 불림. 장비는 아래 적혀 있으니 참고하고 ->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 오류 수정(제어), 복구, 흐름제어 (tcp, udp, port) ip주소를 통해 시스템간 통신 가능하게 함.
5~ 7 장비보다는 여러 SW와 프로그램들이 작동함
5.세션 계층(Session Layer): 섹션 설정, 관리 및 종료 역할을 담당합니다. 서버간의 섹션 생성 및 통신 과정을 관리합니다.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사용자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응용 프로그램 형식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 : 암호화/복호화). 즉, 내용을 번역하고, 암축하고 암호화 함.
7.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에 가장 가깝습니다 (예 : 웹 브라우저).
osi 7계층을 이해하는 데 좋은 이미지
osi 7계층을 이해하는데 좋은 영상
OSI 7계층
1. OSI 7 Layer에 따라 프로토콜을 분류하였을 때, 다음 보기들 중 같은 계층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은?
(1) SMTP (2) RARP (3) ICMP (4) IGMP
.
.
.
2. OSI 7 Layer 중 세션계층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 제어 (2) 에러 제어 (3) 연결 설정 종료 (4) 동기화
.
.
.
3. OSI 7 Layer에서 암호/복호, 인증, 압축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계층은?
(1) Transport Layer (2) Datalink Layer (3) Presentation Layer (4) Application Layer
.
.
.
4. OSI 7 Layer 중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에 속하는 장치는?
(1) Router (2) Bridge (3) Repeater (4) LAN Card
.
.
.
5.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7계층 : 세그먼트 (2) 4계층 : 패킷 (3) 3계층 : 비트 (4) 2계층 : 프레임
.
.
.
6. OSI 7 Layer 중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를 사용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응용 계층
.
.
.
7. OSI 7 Layer의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들만으로 구성된 것은?
(1) ICMP, NetBEUI (2) IP, TCP (3) TCP, UDP (4)NetBEUI, IP
.
.
.
V 8. OSI 계층의 물리 계층에서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할 때 전기적인 신호를 재생하여 신호 분배의 기능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는?
(1) Bridge (2) Hub (3) L2 Switch (4) Router
.
.
.
정답: 1. (1) (7계층)
정답: 2. (2)
정답: 3. (3) Presentaion Layer 암호화/복호화/, 압축,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정답 4. (1) router가 네트워크 계층
정답: 5. 2계층 프레임
정답: 6. (2)
데이터 링크 계층은 LLC, MAC 두 가지 서브층으로 나뉜다.
LLC(Logical Link Control) : 상위 계층과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오류 검출 및 제어 기능.
MAC(Media Access Control) : 하위 계층과 통신하는 하드웨어. 충돌 현상 제어.
정답: 7. (3)
전송 계층"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규칙)에는 대표적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정확한 데이터 배달보단 빠른 전송에 목적을 둔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있음
정답: 8. (2)
Hub=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대의 장비를 L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
º TCP/UDP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사용(웹 서비스, 메일 서비스 등) -> TCP protocol (헤더 길이 20byte)
이와 반대로 흐름 제어, 오류 제어를 하지 않는 방식이 있는데 이것을 비 연결 지향 서비스라고 한다. 일단 앞에서 오류 제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없긴 하지만, 실시간 서비스를 제어하고 적은 양의 데이터 (망관리) 를 관리하는 데는 좋다. 실시간 전송 가능. 인터넷 전화 같은 서비스에 이용이 많이 된다. -> UDP protocol (헤더 길이 8byte)
1.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어이다.
(2)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3) 3방향 핸드세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4)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횔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
.
2. FTP 및 TFTP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1) TFTP는 단순화된 파일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기본포트는 25번이다.
(2) FTP의 접속에는 계정접속만 가능하다.
(3) TFTP의 단점은 UDP방식으로 Data 전송시 데이터 손실가능성이 있다.
(4) FTP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전송을 위해 UDP을 사용한다.
.
.
.
3. UD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2) 신뢰성 있는 전송을 제공한다.
(3)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4) 비 연결성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4. UD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항목은?
(1)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
(2) 소스 포트(Source Port) 주소
(3) 체크섬(Checksum) 필드
(4)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주소
.
.
.
5. UDP 패킷의 헤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ource Port (2) Destination Port (3) Window (4) Checksum
.
.
.
6. TCP와 IP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흐름 제어(Flow Control) (2) 단편화(Fragmentation) (3) 압축화(Compression) (4)오류 제어(Error Control)
.
.
.
7. UDP 헤더의 필드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Source Port : 출발지의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출발지가 클라이언트일 경우 일반적으로 1024미만으로 설정된다.
(2) Destination Port : 목적지의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목적지가 서버일 경우 일반적으로 1024이상으로 설정된다.
(3) Length : 헤더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4) Checksum :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
.
.
8. ICMP 메시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스트의 IP Address가 중복된 경우
(2)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경우
(3) 데이터의 TTL 필드 값이 ′0′이 되어 데이터를 삭제 할 경우
(4) 데이터의 헤더 값에 오류를 발견한 경우
.
.
.
9. IGM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다중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2) 네트워크 간의 IP 정보를 물리적 주소로 매핑한다.
(3) 하나의 메시지는 하나의 호스트에 전송된다.
(4) TTL(Time To Live)이 제공되지 않는다.
.
.
.
10. 네트워크 및 서버관리자 Kim은 총무과 Lee로부터 계속하여 IP가 충돌하여 업무에 지장이 많은 것을 민원으로 접수하게 되었다. 확인결과 사내에서 Lee와 동일한 IP(192.168.1.100)가 입력되어 있는 SUMA-COM2라는 PC가 Lee의 PC와 IP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해당 IP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A) 명령어는? (단. 윈도우 계열의 명령프롬프트에서 실행하였다.)
1. nslookup 2. netstat 3. arp 4. nbtstat
.
.
.
11. TCP가 제공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단 간 흐름 제어를 위해 동적 윈도우(Dynamic Sliding Window) 방식을 사용한다.
(2) 한 번에 많은 데이터의 전송에 유리하기 때문에 화상 통신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 사용된다.
(3)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를 제어함으로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4) Three 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
.
12. UDP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ource Port - 송신측 응용 프로세스 포트 번호 필드
(2) Destination Port - 선택적 필드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Zero로 채워지는 필드
(3) Checksum - 오류 검사를 위한 필드
(4) Length - UDP 헤더와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 데이터 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
.
.
13.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
(1) URG (2) UTC (3) ACK (4) RST
.
.
.
정답 1. (3) TCP가 아닌 UDP 기반 Handshake no!
정답 2. (3) TFTP의 단점은 UDP방식으로 Data 전송시 데이터 손실가능성이 있다.
정답: 3. (4)
정답: 4. (1)
정답 5. (3) Window x 헤더에 속하지 않음
정답: 6. (3) -> 압축화
정답: 7. (4) -> checksum, 전송단위 내의 비트 수를 세는 것
TCP, UDP특징: TCP-> 블록 단위 데이터 전송, 비 신뢰성, 슬라이딩 윈도우 X, 재전송 및 흐름제어 X
UDP -> 신뢰성, 에러제어, 혼잡제어, 흐름제어, 순서제어 O
정답: 8. (1) ICMP 메시지 사용 -> 라우터나 호스트 간 오류정보를 주고 받은 경우
IP헤더의 문법 오류를 발견한 경우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TTL값이 0이 되어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정답: 9. (1)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그룹이니깐 다중
정답: 10. (4)
nbtstat -A ip주소 = 지정한 ip주소를 사용하는 원격 컴퓨터의 이름 테이블을 표시한다
정답: 11. (2)
정답: 12. (2)
정답: 13. (2)
TCP/UDP 이미지
출처: 공무원 코딩 - 004 롤로 배우는 TCP VS UDP
º 간단한 웹 보안 지식
Port no에 대해서 설명해야 할 것 같은데 예를 들어 PC가 있고 웹 서버가 있다고 생각해 보자. http는 80 port를 쓰니까 80이라고 치고 PC는 8000번 port를 사용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FTP, HTPP 등은 1 ~ 1023 port를 사용한다. 그렇지만 1024 ~ 65535 port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두자.
소켓 헷갈리니 더 자세히 볼 것 -> 전송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존재
자 마지막으로 정리를 해보자.. 우리 소켓하고 상대 소켓하고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는 보안 통로를 만들어 놓은 게 SSL 이다. 소켓은 전송과 응용 사이에 존재한다. Secure Sockets Layer 그래서 HTTPS 를 쓰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서 나온 것임.
ssl tcp/ip기반에서 사용
SSL: tcp/ip 환경에서의 보안 기능
Application layer
ssl/tls
tcp
ip
[ssl 계층 구조]
SSMTP: 465/TCP, SSL 기반 SMTP
SPOP3: 995/TCP, SSL기반 POP3
1. 원격에 있는 호스트 접속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rlogin과 같은 프로토콜을 보완하여 만든 프로토콜은?
(1) SSH (2) SNMP (3) SSL (4) Telnet
.
.
.
2. 네트워크 담당자 Kim 사원은 물리적인 하나의 LAN을 논리적으로 여러 개로 나누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자 한다. 내부망을 분리할 때 사용되고, 방화벽에서 외부망으로부터 내부망을 보호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NAC (2) VLAN (3) IPS (4) IDS
.
.
.
3. 다음 중 VPN 터널링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L2F (2) L2TP (3) NAT (4) PPTP
.
.
.
4. IEEE 802.11 WLAN(무선랜) 접속을 위해 NIC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은?
1. ALOHA 2. CDMA 3. CSMA/CD 4. CSMA/CA
.
.
.
정답: 1. (1) rlogin -> ssh
정답: 2. (2)
정답: 3. (3)
NAT: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 프로토콜 이므로 VPN 터널링의 종류와 상관없음
정답: 4. (4)
ALOHA: TDMA(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해 위성과 지구 사이의 무선 전송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CDMA: 코드 분할 다중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셀에 다중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CSMA/CD: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탐지. 송신자 'A' 는 수신자 'B' 가 이미 다른 송신자 'C' 와 통신 중임을 감지하면 즉시 통신을 중단하고 수신자 'B' 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 들에게 정체신호를 보내서 트래픽을 줄이고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재전송할 준비를 한다.
CSMA/CA: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탐지. 무선 LAN에서는 공기 중 전송매체라서 충돌 감지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송 전에 캐리어 감지를 해 보고 일정 시간 기다리며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전송 다원접속 방식
º 네트워크 케이블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은 초고속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며 디지털 방식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망입니다. B-ISDN은 음성,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합 디지털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정의한 일련의 표준과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일반 ISDN에서 사용되는 구리 케이블 대신 B-ISDN은 광섬유 및 무선통신매체를 사용합니다. B-ISDN은 ATM 교환 방식을 사용하여 스위칭합니다
tcp
1. I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필드는?
(1) ACK (2) Version (3) Header checksum (4) Header length
.
.
.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인한다.
(2) 흐름 지향이며 신뢰성이 있다.
(3) 송신측 tcp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일려번호, 수신측 주소, 에러검출 코드를 추구한다.
(4) 수신측 tcp는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있으면 스스로 수정한다.
.
.
.
3. TCP 헤더에는 수신측 버퍼의 크기에 맞춰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필드가 있다. 이 필드를 이용한 흐름 제어 기법은?
(1) Sliding Window (2) Stop and Wait (3) Xon/Xoff (4) CTS/RTS
.
.
.
4.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수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1) SNMP (2) CMIP (3) SMTP (4) POP
.
.
.
5. ICMP의 Message Type필드의 유형과 질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타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2)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3) 5 - 대체경로(Redirect)를 알리기 위해 라우터에 사용한다.
(4) 17 - Address Mask Request 장비의 서브넷 마스크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
.
.
6. TCP Header의 flag 값 중 3-way handshake의 첫 번째 단계인 세션 성립 요청 패킷에 설정되는 flag 값은?
(1) RST (2) ACK (3) URG (4) SYN
.
.
.
7. 인터넷에서 멀티캐스트를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IGMP (2) ICMP (3) SMTP (4) DNS
.
.
.
8. TCP 3-Way Handshaking 연결수립 절차의 1,2,3단계 중 3단계에서 사용되는 TCP 제어 Flag는 무엇인가?
(1) SYN (2) RST (3) SYN, ACK (4) ACK
.
.
.
9.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네트워크 문제점을 발견하기 전에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이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2) 데이터 전송은 UDP를 사용한다.
(3) IP에서의 오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4)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
.
.
10. ICMP의 Message Type필드의 유형과 질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타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2)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3) 5 - 대체경로(Redirect)를 알리기 위해 라우터에 사용한다.
(4) 17 - Address Mask Request 장비의 서브넷 마스크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
.
.
11.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에서 제공하는 응용서비스 프로토콜로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 전자우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SNMP (2) SMTP (3) VT (4) FTP
.
.
.
정답: 1. (1) ACK. TCP 헤더에 있는 내용임
정답 2. (4) 흐름 X 연결 O
정답 3. (1)
정답: 4. (1)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정답: 5. (1)
정답: 6. (4) SYN
정답: 7. (1)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멀티캐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GMP는 호스트와 라우터 간에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거나 떠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1) IGMP가 인터넷에서 멀티캐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정답: 8. (4)
정답: 9 (3)
정답: 10. (1) 3-Echo request -> 목적지 도달 불가를 의미
정답: 11. (2)
USENET: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의견을 주고 받게끔 하는 서비스. 게시판과 비슷함.
현재는 명맥만 유지하는 중
*usenet 이미지
텔넷: 서버 앞에 앉아있는 것처럼 서버에 명령을 보내고 해당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1969년 인터넷이 개발되기 전에 만들어져서 암호화에 취약
-> 해당 서버로 보내는 민감한 데이터를 EVE가 쉽게 도청하고 가져올 수 있다.
ssh 사용 권장. Port 번호: 23번
스니핑, 스푸핑 방지
인터넷에서 특정 공간에 파일을 올리고 내려 받는 프로토콜.
FTP: TCP지원 제어 21 포트
(File Transfer Protocol)
ex) 웹하드, 클라우
TFTP: UDP지원 69 포트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NFS: 시스템 간의 디스크 공유
(Network File Ststem)
º 무선 통신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Proxy server: 컴퓨터와 web 간에서 중재 역할을 해줌. 왜 씀? -> 개인 정보 보호 때문에 ip주소를 숨기기 때문에 익명으로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다. 또 특정 웹사이트 차단 가능.
프록시 서버의 한 가지 단점은 암호화가 안 된다는 것인데, 이 문제는 VPN으로 해결할 수 있음.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POP(Post Office Protocol)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시리얼 통신: 하나의 신호 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º 무선 통신과 전화 교환망
무선 통신은 전파 간섭 즉 도감청에 취약해서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그런데 왜 쓰냐? 편하니까
무선 LAN 혹은 W-LAN이라고도 부름,
WLL(wirless local loop):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 사이의 회선을 유선 대신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통신망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내장된 무선 LAN, 무선 모뎀 등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
Wireless Fidelity -> wifi
유무선 네트워크 구조 (스마트폰과 기지국은 무선으로 통신.)
오른쪽은 이동통신망(기지국) 이 LTE나 4G를 쏜다는 것
무선 LAN : 무선 중계기 (AP: Access Point)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구축한 구내 무선 인터넷
무선 모뎀: 스마트 폰에 내장된 무선 모뎀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
핸드폰에 있는 기능 맞
테더링: 핸드폰은 인터넷이 되니까 핸드폰을 통해서 랩탑으로 인터넷을 하는 것을 의미함.
º 네트워크 보안
IPV4 32bit 에서는 보안이 선택적 , IPV6 128bit 에서는 보안이 필수
IPsec VPN(IPsec Virtual Private Network) 으로 응용 가능
터널링
데이터 송신자 인증
무결성 및 기밀성 보장
재생 공격 보호 (제3자가 데이터를 탈취해서 분석한 후 그 정보를 이용하여 침입을 방지한다는 내용)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한 전송 보장
Security association 교환으로 IPsec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협상
호스트 a 방화벽 <-터널-> 호스트 b 방화벽
전송모드:
IP 헤더와 IP 페이로드 사이에 인증 헤더 (AH/ESP)를 삽입하여 암호화 한 다음에 전송
호스트와 호스트 간의 보호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전송 계층 - 네트워크 계층)
EX) 봉투는 놔두고 내용물만 암호화를 한다.
인증 헤더에서 페이로드(내용)를 암호화해서 보내는 거임.
터널모드:
현재의 IP 헤더 및 IP 페이로드를 새로운 IP 헤더와 AH/ESP 헤더로 캡슐화 하여 전송
두개의 라우터 , 호스트와 라우터 간에 사용.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방화벽과 방화벽 사이에 터널을 뚫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백도어 함수
EX)편지봉투가 있는데 새로운 소포 봉투를 만들어 주소를 쓰고 편지와 편지 봉투 전체를 암호화 하여 전송한다.
쉽게 말해 큰 개념과 작은 개념이 있는데 큰 개념과 작은 개념 둘 다 암호화를 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터널에서 새 헤더 ~ 인증 헤더를 소포로 IP 헤더 ~ 페이로드를 편지 퐁투라고 가정을 하자. 새로운 헤더에서 주소를 적음.
AH( Authentication Header)
MD5 / SHA 이용
인증 헤더 = AH
ESP ( Encapsulation Security Payload)
-------------------------------------------------------------- FILE SYSTEM ----------------------------------------------------
º FAT32 , exFAT, NTFS
필요한 순간에 바로 쓸수 있게 파일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FAT32(File Allocation Table) 개요 : 윈도우 95에서 처음 제안 -> USB, 하드 드라이브에서 많이 사용
장점: 단순함, 호환성 좋음, 저용량 볼륨에서 사용시 우수
단점: 파일 시스템 보안에 취약, 최대 용량이 4GB라 4GB 이상 파일 옮기면 에러 생김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개요 : 윈도우 xp이후 인기를 얻음
장점: 무제한 파일 및 파티션 크기 지원, fat32 일부 오류 자동복구, 기능이 더 많음
단점: 호환성(mac, linux에서 일부r 가능하지만, w는 불가능 한 경우 종종 있음)
-------------------------------------------------------------- RFID --------------------------------------------------------------
[제어판] -> [관리 도구] -> [서비스] 선택
IPSEC Policy Agent 활성화 -> 시작 클릭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종류
무선 LAN : 주로 ISM밴드인 2.4GHz, 5GHz를 사용
ZIGBEE: IEEE 802.15.4 표준 2.4GHz를 사용, 연결 속도:250kbps, 통신 연결 시간 30ms, 통신 범위: 100m
RFID: 사용 주파수: 125KHz, 134KHZ(동물관리), 13.56MHz(교통카드/주차관리), 433.92mMHz(물류추적관리)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을 통하여 PAN과 같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의 무선 데이터 통신
BLUETOOTH: IEEE 802.15.1 표준, 2.4GHz~2.485GHz 사용, BLEUTOOTH 4.0 기준 근거리에서 4Mbps, 도달거리 5.0 기준 100m(2Mbps), 400(125kbp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칩이 탑재된 두 대의 단말기 간에 약 10CM 이내 거리에서 13.56MHz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HOMERF
UWB (Ultra Wide Band): 기저대역상태에서 3.1~4.8GHz, 7.2~10.2GHz를 사용하는 근거리 고속 무선 통신 기술(낮은 전력 소모)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신호 RF를 사용하여 객체 ID를 식별하는 비접촉 방식의 인증 기술
RFID: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탁하고 무선 통신 이용
RFID, IC 차이점: IC 카드는 판독기와 직접 접촉해야 함. RFID: 대신 리더와 태그 간의 통신을 위해 무선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전파를 이용해 근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 줄여서 RF라고 부르기도 한다. RFID와 같은 근거리 데이터 전송기술의 일종인 바코드와 QR코드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이용한다.
RFID기술은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농장의 가축 분류, 공항의 화물 분류, 육상 선수들의 기록 측정, 여권이나 신분증 등의 개인 정보 수록, 사람 몸에 태그를 부착해 기밀 저장소의 출입을 제한한다든다 널리 쓰인다.
교보문고에서는 랩핑된 도서류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도난 방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책 랩핑에 붙어 있는 하얀색 씰을 자세히 보면 이 문서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이미지와 같은 모양이 있을 것이다
장점: 먼지, 습도, 온도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전송 가능
유지 보수가 간단함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 적용할 수 있음
정보 저장 및 읽기 가능
많은 양의 정보를 보내고 받는 것이 가능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영상 촬영 카메라 - 영상 전달 장치 - 영상 저장 장치 - 영상 저장 서버 - DVR(Digital video recoder), NVR(Network video recoder)
카메라: IP 카메라
녹화 장비: DVR/NVR
전송 방식: 아날로그 -> 디지털
네트워크가 결합된 통합 관제 시스템
지능형 CCTV: 수동 모니터링 -> 자동 모니터링
영상 분석을 위해 저해상도 -> 고해상
딥 러닝을 활용한 영상 분석
네트워크 설계:
LAN, WAN, 경로설정(라우팅 설계), 서버 중심 설계(웹서버, 메일 서버 등, 보안 체계 설계(어디까지 접근 제어를 시킬 것인가?)
NETWORK 설계: SW, HW, 기능, 용량 및 성능 등을 고
서버 설계: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HW구조, 기능, 용량 설계를 대상으로 설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관리체계 설계: 조직 체계: 관리 절차, 관리 도구(선정, 활용), 어떤 정책으로 수립을 할 것인가?
보안 설계: 내부 통신망 보안을 어떻게?, 외부 인터페이스와는 어떻게?
제안 요청서( 우리 기관 네트워크 이렇게 구축해주셈)
제안요구서 요구사항 분석
기존 네트워크 현황 분석
신규 기술적 요구사항 분석
설계 관련 요구사항 분석
단기 중기 장기적인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
신기술의 지속적인 도입 방안을 구비
설계, 구현, 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도록 계획
고려사항
분석 영역 결정 -> 현황 자료 수집 -> 모델화 및 진단모델 설계 -> 진단 -> 문제점 진단 및 해결대책 수립
현황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중계기(1계층, 선을 연장시키는 장비, 케이블 중계기), 스위치(2계층, 여러개의 PC를 붙힐 수 있도록 스위치 포트에 PC를 꽃을 수 있는 장치), 라우터(3계층, IP를 가지고 네트워크 경로 설정해주는 장비), 서버, 백업 장치, 보안 장비, 전원 설비, 향온 환경 설비, 케이블 및 관련 장치 sw
utp(unshield twisted pair cable) : 가격 적당 / 다이렉트 / 크로스 오버
cat-5(100 mbps), cat-6(1000mbps)
콘솔 케이블, 직렬 케이블, 병렬 케이블
데이터 선이 하나면 직렬, 데이터 가는 선이 여려개 병렬
stp (shield twisted pari cable) : 가격 비쌈
유선 네트워크 케이블 보호 장비: 주름관, 라이스 웨이, 통신구 맨홀
ism 밴드 (찾아보기)
동축 케이블 , 굵은 케이블: 100BASE 5(500M), 장거리 용, 가는 케이블: 100BASE 2(185M), 단거리, BMC 커넥터
서버 장치: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 그룹 웨어 시스템, NMS 시스템, 데이터 백업 시스템, ERP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