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Cosmopolitan72
  • Home
  • Blog
    • Branch
      • Windows
      • Algorithm
      • pip
      • Py
      • EXEL
      • linux
      • 01.11
      • Programming
      • 365
      • Korean
      • Ethics
      • OS
      • Cryptography
      • Banch
      • Network
      • Security
      • Emergency
      • DB
      • Git
      • Q & A
      • C
      • JS
      • 3
      • S
      • Security_2
      • 3_MAIN
      • SW
      • Cryptography_2
      • AI
      • Cloud
Cosmopolitan72
  • Home
  • Blog
    • Branch
      • Windows
      • Algorithm
      • pip
      • Py
      • EXEL
      • linux
      • 01.11
      • Programming
      • 365
      • Korean
      • Ethics
      • OS
      • Cryptography
      • Banch
      • Network
      • Security
      • Emergency
      • DB
      • Git
      • Q & A
      • C
      • JS
      • 3
      • S
      • Security_2
      • 3_MAIN
      • SW
      • Cryptography_2
      • AI
      • Cloud
  • More
    • Home
    • Blog
      • Branch
        • Windows
        • Algorithm
        • pip
        • Py
        • EXEL
        • linux
        • 01.11
        • Programming
        • 365
        • Korean
        • Ethics
        • OS
        • Cryptography
        • Banch
        • Network
        • Security
        • Emergency
        • DB
        • Git
        • Q & A
        • C
        • JS
        • 3
        • S
        • Security_2
        • 3_MAIN
        • SW
        • Cryptography_2
        • AI
        • Cloud

<

Cloud

망분리 vs n2sf

 📌 1. 망분리 개요


 🔒 망분리란?


-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는 보안 전략

    

- 물리적 망분리 vs 논리적 망분리

    


🚨 망분리 필요성


- 사이버 위협 대응

    

- 중요 정보 보호

    

- 법적 규제 준수

    

- 내부 유출 예방



 ⚙️ 2. 망분리 방식 비교


| 장점  | 완벽한 외부 차단, 높은 보안성   | 비용 효율적, 유연한 확장성, 원격 업무 용이 |

| 단점  | 비용 높고 불편, 기술 도입 어려움 | 보안정책 복잡, 보안성 상대적 낮음       |



 🔐3. N2SF (국가망보안체계) 개요


 ✳️ 정의 및 배경


- 클라우드·AI 환경에 맞는 **데이터 중심 보안 체계**

    

- 물리적 망분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보안 프레임워크**

    

- 등급별 접근 제어: **기밀 / 민감 / 공개**

    


🧱 구성


- Classified: 최고 수준의 보호, 암호화 및 접근 제한

    

- Sensitive: 제한적 접근, 역할기반(RBAC) 적용

    

- **Open**: 기본 보안 조치 적용



 🛡️ 4. N2SF 도입 효과


보안성 강화: 실시간 모니터링, 다층 보호

    

업무 효율성: 협업 가능, 원격 업무 지원

    

비용 절감: 인프라/유지비 감소

    

데이터 활용: AI·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가능



🌍 5. 국내외 도입 사례


 📌 국내 적용


- 공공, 금융, 제조,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N2SF 시범 도입

    


 📌 해외 성공 사례


영국: 정보 등급화 정책(GSCP)

    

미국: NIST RMF 기반 위험관리 체계

    

캐나다: ITSG-33 기준

    

-호주: Essential Eight 권고안



🧩 6. N2SF vs 논리적 망분리


| 항목     | N2SF               | 논리적 망분리       |

| ------ | ------------------ | ------------- |

| 보안 모델  | 데이터 중심, 다층 보안      | 네트워크 기반 분리    |

| 기능     | 실시간 감사, 등급별 접근     | 내부/외부망 분리만 적용 |

| 기술 확장성 | 클라우드·AI 환경 지원      | 확장성 낮음        |

| 전략적 역할 | 망분리 보완 및 업무 유연성 확보 | 망 간 통신 차단 중심  |




 🔮7. 보안 평가 및 미래 전망


✅ 보안 인증 요소


-데이터 분류, 접근 통제, 암호화 강도, 네트워크 효과성 등

    


 📈 미래 전망


AI 기반 자동 대응

    

클라우드 통합 보안

    

국제 표준화 연계

    

정보보호 산업 전반의 성장 기대



1. 다음 중 '망분리'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a) 정보 유출 방지 b) 사이버 위협 대응 c) 내부 유출 예방 d) 시스템 구축 비용 절감

2. '물리적 망분리'의 단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보안 정책이 복잡해진다. b) 원격 업무에 용이하다. c) 비용이 높고 도입이 어렵다. d)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3. N2SF (국가망보안체계)의 정의 및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클라우드 및 AI 환경에 맞는 데이터 중심 보안 체계이다. b) 물리적 망분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보안 프레임워크이다. c) 오직 네트워크 기반의 분리에만 초점을 맞춘다. d) 정보 등급을 '기밀', '민감', '공개'로 나누어 접근을 제어한다.

4. N2SF의 구성 단계 중, 최고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며 암호화 및 접근 제한이 적용되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a) Open b) Sensitive c) Classified d) Restricted

5. 다음 중 N2SF 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a) 보안성 강화 b) 업무 효율성 저하 c) 비용 절감 d) 데이터 활용 증대

6. N2SF와 '논리적 망분리'를 비교했을 때, N2SF의 '보안 모델'은 어떤 특징을 가지나요? a) 네트워크 기반의 분리 중심 b) 망 간 통신 차단 중심 c) 데이터 중심의 다층 보안 d) 내부/외부망 분리만 적용

7. 다음 중 N2SF의 미래 전망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은? a) AI 기반 자동 대응 b) 클라우드 통합 보안 c) 국제 표준화 연계 d) 물리적 망분리 의무화 강화




1. 다음 중 '망분리'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d) 시스템 구축 비용 절감 (망분리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2. '물리적 망분리'의 단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c) 비용이 높고 도입이 어렵다.

3. N2SF (국가망보안체계)의 정의 및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c) 오직 네트워크 기반의 분리에만 초점을 맞춘다. (N2SF는 데이터 중심의 보안 체계이며, 네트워크 기반 분리만을 다루지 않습니다.)

4. N2SF의 구성 단계 중, 최고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며 암호화 및 접근 제한이 적용되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c) Classified

5. 다음 중 N2SF 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b) 업무 효율성 저하 (N2SF는 협업 및 원격 업무 지원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6. N2SF와 '논리적 망분리'를 비교했을 때, N2SF의 '보안 모델'은 어떤 특징을 가지나요? c) 데이터 중심의 다층 보안

7. 다음 중 N2SF의 미래 전망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은? d) 물리적 망분리 의무화 강화 (N2SF는 물리적 망분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시됩니다.)



주요정보통신기반 시설

 🧱 1.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이란?


정의: 사이버 공격 시 국가 안보, 국민 생활,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

    

대상: 공공·민간 모두 포함 (금융, 에너지, 통신, 교육 등)

    

근거 법령: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제8조, 제8조의2

    

주체 기관:

    

    - 주관: 과기정통부

        

    - 심의: 정보통신기반 보호위원회

        

    - 지원: 국정원, KISA



 📌 2. 시설 지정 기준 및 절차


기준:

    

    1. 국가사회적 중요성

        

    2. 정보통신 의존도

        

    3. 타 기반시설과 연계성

        

    4. 피해 규모/범위

        

    5. 복구 용이성

        

절차:

    

    - 과기정통부/국정원 권고 → 중앙행정기관 평가 및 심사 → 보호위원회 심의 → 고시



 🔍 3. 취약점 분석·평가 개요


목적: 보안 취약점 탐지 → 개선

    

의무: 최초 지정 후 6개월 이내 + 매년 1회

    

수행 주체:

    

    -운영기관 (공공/민간)

        

    - KISA 인증 외부 전문기관

        

    - 과기정통부 (정책 수립)

        

    - KISA (민간 종합관리)




 🧪 4. 평가 수행 절차 및 항목


4단계 절차:

    

    1. 계획 수립

        

    2. 자산 식별·분류

        

    3. 취약점 분석 (기술·관리·물리)

        

    4. 평가 및 개선 권고

        

보호 조치 유형:

    

    - 관리적: 정책/교육/내부감사

        

    - 물리적: 출입통제, 감시, 설비

        

    - 기술적: 인증, 암호화, 패치 등

        

평가 방식:

    

    - 항목별로 점수화 (상: 10점, 중: 8점, 하: 6점)

        

    - 위험도 기준 등급: 매우 높음 ~ 매우 낮음 (5단계)

        


---


 🌐 5. 미국 NIST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CSF 2.0 (2024):

    

    - 6대 기능: 관리(GV), 식별(ID), 보호(PR), 탐지(DE), 대응(RS), 복구(RC)

        

    - 조직의 사이버보안 전략과 공급망까지 포괄

        

SP 800-53:

    

    - 연방기관 대상 20개 보안영역, 1000여 개 통제 항목

        

    - CIA(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기반 유연한 적용

        

SP 800-171:

    

    - 미분류 중요정보(CUI) 보호 목적

        

    - 민간 외부 계약자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 정의

        


---


 ⚖️ 6. 한국 제도와 NIST 기준 비교


- 한국은 법령 중심, 지정·고시 체계

    

- NIST는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유연한 보안 통제 가능

    

- 공통점: 자산 식별 → 보호 → 탐지·대응 → 복구 흐름

    


---


 🚨 7. 침해 사례


- 커리어넷: 개인정보 유출

    

- GA 보험사:  민감정보 유출

    

- Bybit: 가상화폐 탈취

    

- 지능정보원: 자료 유출


1. 다음 중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사이버 공격 시 기업의 경제적 손실에만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 b) 국가 안보, 국민 생활,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 c) 정부 기관만 소유하고 있는 정보통신 시설 d) 특정 산업 분야에만 해당되는 중요 통신 시설

2.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주체 기관 중, '심의'를 담당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b) 국정원 c)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d) 정보통신기반 보호위원회

3.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 기준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은? a) 국가사회적 중요성 b) 정보통신 의존도 c) 시설 건축 연도 d) 타 기반시설과의 연계성

4.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 운영기관은 지정 후 며칠 이내에 '취약점 분석·평가'를 최초로 수행해야 하나요? a) 3개월 이내 b) 6개월 이내 c) 1년 이내 d) 2년 이내

5. 취약점 분석·평가 수행 절차 4단계 중,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a) 취약점 분석 b) 계획 수립 c) 자산 식별·분류 d) 평가 및 개선 권고

6. 미국 NIST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CSF 2.0의 6대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식별 (ID) b) 예방 (PR) c) 탐지 (DE) d) 관리 (GV)

7. 미국 NIST 프레임워크 중, '미분류 중요정보(CUI)'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민간 외부 계약자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a) CSF 2.0 b) SP 800-53 c) SP 800-171 d) NIST RMF

8. 한국의 정보통신기반 보호 제도와 미국 NIST 기준을 비교했을 때, 양측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법령 중심의 지정·고시 체계 b) 유연한 보안 통제 프레임워크 c) 자산 식별부터 보호, 탐지·대응, 복구의 흐름 d) 연방기관에만 적용되는 기준


1. 다음 중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b) 사이버 공격 시 국가 안보, 국민 생활,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

2.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주체 기관 중, '심의'를 담당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d) 정보통신기반 보호위원회

3.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 기준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은? c) 시설 건축 연도 (제공된 자료에는 '국가사회적 중요성', '정보통신 의존도', '타 기반시설과 연계성', '피해 규모/범위', '복구 용이성'이 언급되었습니다.)

4. 국가중요정보통신기반시설 운영기관은 지정 후 며칠 이내에 '취약점 분석·평가'를 최초로 수행해야 하나요? b) 6개월 이내

5. 취약점 분석·평가 수행 절차 4단계 중,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b) 계획 수립

6. 미국 NIST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CSF 2.0의 6대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b) 예방 (CSF 2.0의 6대 기능은 관리(GV), 식별(ID), 보호(PR), 탐지(DE), 대응(RS), 복구(RC)입니다. '예방'은 '보호(PR)' 기능에 포함될 수 있으나, 독립적인 6대 기능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습니다.)

7. 미국 NIST 프레임워크 중, '미분류 중요정보(CUI)'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민간 외부 계약자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c) SP 800-171

8. 한국의 정보통신기반 보호 제도와 미국 NIST 기준을 비교했을 때, 양측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c) 자산 식별부터 보호, 탐지·대응, 복구의 흐름


제로트러스트

🔐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개요


- 기존 보안 모델과 차별화된 접근

    

- “절대 믿지 말고, 계속 검증하라 (Never Trust, Always Verify)”

    

- 네트워크 내부/외부 모두  신뢰하지 않으며, 지속적인 인증과 검증을 수행

    

- 보안 대상(서버, 데이터, 사용자 등)을 세분화해 각각 보호



🏛 제로트러스트가 필요한 이유


- 원격 근무 증가, 클라우드 사용 확산,  IoT 기기 증가로 인해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은 한계

    

- 내부자 공격, 권한 탈취 등을 대비할 수 있는 구조 필요

    

- 다중 인증(MFA), 세분화된 권한 관리, 행위 기반 탐지 등 보안 강화




🔍 경계 기반 보안 모델 vs 제로트러스트


| 항목    | 경계 기반 보안       | 제로트러스트      |

| ----- | -------------- | ----------- |

| 접근 통제 | 외부 차단 후 내부는 신뢰 | 모든 접근 지속 검증 |

| 보안 범위 | 네트워크 경계 중심     | 자산·사용자 중심   |

| 위험 대응 | 내부자 공격에 취약     | 내부 위협까지 고려  |

| 구조    | 단일 방화벽 중심      | 세분화된 자산 보호  |



 📈 보안 시장 전망


- 제로트러스트 보안 시장은 2025년까지 급성장 전망

    

- 정부·금융·의료·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 확대

    

- 제로트러스트 실증사업 등 정부 주도 보안체계 실험 활성화




 🔥 보안사고 사례 분석 (SKT 유심 해킹 사건)


해킹 경로 요약:


1. VPN 장비 취약점으로 내부망 침투

    

2. BPFdoor 악성코드 배포

    

3. 폐쇄망까지 악성코드 확산

    


 제로트러스트 적용 시 효과:


- MFA 적용 → SIM 교체만으로 접근 불가

    

-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한 시스템 침해 후 다른 시스템 전이 방지

    

- SDP (소프트웨어 정의 경계) → 인증 없는 접근 차단




 🔑 제로트러스트 핵심 기술


- 인증 체계 강화: 다단계 인증(MFA), 지속적 검증

    

-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서버·서비스 단위 격리

    

- SDP (Software Defined Perimeter):

    

    - 내부 리소스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

        

    - SPA(Single Packet Authorization): 사전 인증된 단일 패킷으로 세션 허용



 📰 정책 및 기술 동향


- 국내: KISA 중심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발표, 실증사업 진행

    

- 국외: 다양한 산업에 제로트러스트 적용 확대 중


1. 다음 중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의 핵심 원칙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문구는? a) "한 번 믿으면 계속 신뢰한다." b) "절대 믿지 말고, 계속 검증하라." c) "내부망은 안전하니 자유롭게 접근한다." d) "강력한 방화벽으로 모든 외부 공격을 막는다."

2.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이 한계를 보이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a) 원격 근무 증가 b) 클라우드 사용 확산 c) IoT 기기 증가 d) 내부자 공격의 완벽한 차단

3. '경계 기반 보안 모델'과 '제로 트러스트'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a) 경계 기반 보안은 모든 접근을 지속적으로 검증한다. b) 제로 트러스트는 네트워크 경계 중심의 보안 범위를 가진다. c) 경계 기반 보안은 내부자 공격에 강하다. d) 제로 트러스트는 자산 및 사용자 중심의 보안 범위를 가진다.

4. SKT 유심 해킹 사건에 제로 트러스트를 적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 틀린 것은? a) 다중 인증(MFA) 적용으로 SIM 교체만으로 접근 불가 b)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한 시스템 침해 후 다른 시스템 전이 방지 c) SDP(소프트웨어 정의 경계)를 통해 인증 없는 접근 차단 d) VPN 장비 취약점을 완벽하게 제거

5. 다음 중 제로 트러스트의 핵심 기술이 아닌 것은? a) 다단계 인증(MFA) b)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c) 기존 방화벽의 확장 d)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

6.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사전 인증된 단일 패킷으로 세션을 허용하는 기술은 무엇인가요? a) 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b) SPA (Single Packet Authorization) c) VPN (Virtual Private Network) d) DLP (Data Loss Prevention)

7. 국내 제로 트러스트 정책 및 기술 동향과 관련된 기관은 어디인가요? a) 국정원 b)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c) 과학기술정보통신부 d) 금융감독원


1. 다음 중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의 핵심 원칙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문구는? b) "절대 믿지 말고, 계속 검증하라."

2.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이 한계를 보이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d) 내부자 공격의 완벽한 차단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은 내부자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이 제로 트러스트 도입의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3. '경계 기반 보안 모델'과 '제로 트러스트'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d) 제로 트러스트는 자산 및 사용자 중심의 보안 범위를 가진다.

4. SKT 유심 해킹 사건에 제로 트러스트를 적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 틀린 것은? d) VPN 장비 취약점을 완벽하게 제거 (제로 트러스트는 취약점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취약점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확산을 막는 데 중점을 둡니다.)

5. 다음 중 제로 트러스트의 핵심 기술이 아닌 것은? c) 기존 방화벽의 확장 (제로 트러스트는 기존 경계 기반 방화벽 중심의 보안을 넘어섭니다.)

6.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사전 인증된 단일 패킷으로 세션을 허용하는 기술은 무엇인가요? b) SPA (Single Packet Authorization)

7. 국내 제로 트러스트 정책 및 기술 동향과 관련된 기관은 어디인가요? b)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Cloud native란

1. Cloud Native 개요


- Cloud Native 정의: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설계·배포·운영 방식

    

- 주요 구성요소:

    

    - 마이크로서비스: 서비스를 작게 쪼개 독립 운영

        

    - 컨테이너화: 서비스 이식성과 독립성 확보 (Docker, Podman 등)

        

    - 오케스트레이션: Kubernetes 등으로 자동화 관리

        

    - CI/CD: 지속적 통합·배포 자동화

        

    - 관측 가능성: 실시간 모니터링, 장애 대응



 🔐 2. 보안 가이드 및 진단 항목


- 보안 이슈 배경:

    

    - 빠른 배포에 따른 보안 공백

        

    -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확산

        

    - 공급망 공격·API 취약점 증가

        

- 진단 가이드 출처:

    

    - NIA: ISMS-P 실무 가이드

        

    - KISA: 클라우드 취약점 점검 가이드 (총 39종 항목 제시)

        

- 진단 주요 항목:

    

    - 클라우드 인프라 보안

        

    - 컨테이너/오케스트레이션 환경 구성 점검

        

    - CI/CD 파이프라인 보안 요구

        

    - 로그 및 접근 기록 관리




 ⚠️ 3. 보안사고 사례 및 정책 동향


|사례|설명|

|---|---|

|Snowflake 유출 (2024)| MFA 미적용, 취약한 자격증명 관리|

|NHN 클라우드 장애 (2025)| 복구 시스템 부재, 모니터링 한계|

|정책 동향| CSAP 인증제 시행, 보안가이드 제공, 공급망 공격 및 딥페이크 위협 증가|





 🔒 4. CSAP 인증 개요


- 운영기관: KISA

    

- 인증구조:  SaaS, IaaS, DaaS 유형별, 상·중·하 등급

    

- 절차: 최초평가 → 연 1회 사후평가 → 갱신평가 (5년 주기)





 📊 5. 2025 보안 트렌드


- AI 통합 보안: AI 기반 보안 자동화, 딥페이크 탐지

    

- 제로 트러스트 확산: 클라우드 내 전방위 검증 체계 정착

    

- 엔드투엔드 암호화, 블록체인 통한 보호

    

- 컴플라이언스 자동화: 규제 대응 자동화 도구 활용



 ✅ 6. 결론 요약


- Cloud Native 보안 설계는 초기부터 필수

    

- 보안은 기술이 아닌 운영 전략

    

- 보안 인증은 신뢰성 확보와 시장 진입 전략 도구



1. 다음 중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a) 마이크로서비스 b) 온프레미스 서버 증설 c) 컨테이너화 d) CI/CD (지속적 통합/배포)

2.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보안 이슈가 발생하는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a) 빠른 배포에 따른 보안 공백 b) 기존 단일 애플리케이션 구조 유지 c)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확산 d) 공급망 공격 및 API 취약점 증가

3. 클라우드 환경 취약점 점검 가이드를 제공하며 총 39종의 항목을 제시하는 국내 기관은? a)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b)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c) 과학기술정보통신부 d) 금융보안원

4. NHN 클라우드 장애(2025)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된 것은? a) MFA 미적용 b) 복구 시스템 부재 및 모니터링 한계 c) 악성코드 배포 d) 취약한 자격증명 관리

5. CSAP 인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한다. b) SaaS, IaaS, DaaS 유형별로 인증을 구분한다. c) 인증 유효 기간은 1년이며 매년 갱신 평가를 받는다. d) 상·중·하 등급으로 나뉘어 평가된다.

6. 2025년 보안 트렌드 중, "클라우드 내 전방위 검증 체계 정착"과 관련이 깊은 개념은?  a) 엔드투엔드 암호화 b) AI 통합 보안 c) 제로 트러스트 확산 d) 블록체인 통한 보호

7.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보안 설계 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a) 서비스 배포 후 보안 검토를 진행하는 것 b) 초기 단계부터 보안을 필수로 고려하는 것 c) 비용 절감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 d) 최신 기술 도입에만 집중하는 것


1. 다음 중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b) 온프레미스 서버 증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방식이며, 온프레미스 서버 증설은 직접적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2.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보안 이슈가 발생하는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b) 기존 단일 애플리케이션 구조 유지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확산을 특징으로 하며, 단일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3. 클라우드 환경 취약점 점검 가이드를 제공하며 총 39종의 항목을 제시하는 국내 기관은? b)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4. NHN 클라우드 장애(2025)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된 것은? b) 복구 시스템 부재 및 모니터링 한계

5. CSAP 인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c) 인증 유효 기간은 1년이며 매년 갱신 평가를 받는다. (제공된 정보에 따르면 CSAP는 최초평가 → 연 1회 사후평가 → 갱신평가(5년 주기)로 진행됩니다. 1년 유효 기간은 아니며, 갱신은 5년 주기입니다.)

6. 2025년 보안 트렌드 중, "클라우드 내 전방위 검증 체계 정착"과 관련이 깊은 개념은? c) 제로 트러스트 확산

7.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보안 설계 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b) 초기 단계부터 보안을 필수로 고려하는 것


클라우드 유출 사례

🧩 1. 클라우드 & 데이터 보안사고 사례


 주요 원인별 사례


|분류|예시 및 설명|

|---|---|

|🔓 취약한 API|Snowflake, Dropbox API 통한 대규모 유출|

|🧍 인적 실수|삼성 기밀 유출, 피싱 대응 실패|

|⚙️ 잘못된 설정|현대차 랜섬웨어, MOVEit 설정 오류|

|🧑‍💼 계정/권한 관리 미흡|Oracle Cloud SSO 침해, NHN 장애|


> ✅ 공통 해결책: 체계적 점검 체계와 보안 인증 전략 강화




📚 2. 주요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 개요


✅ CSAP (국내)


- 운영기관: KISA

    

- 목적: 공공기관 대상 보안 인증

    

- 구성: SaaS, PaaS, IaaS 등 유형별 구분

    

- 절차: 신청 → 평가 → 보완 → 인증(5년 유효, 연 1회 점검)

    

- 등급별 기준: 상/중/하 등급, 통제 항목 수 차등

    


 ✅ CSA STAR (글로벌)


- 운영기관: CSA (Cloud Security Alliance)

    

- 레벨:

    

    - Level 1: 자가평가 (CAIQ 기반)

        

    - Level 2: 제3자 평가 (ISO/IEC 27001 기반)

        

    - Level 3: 실시간 모니터링

        

- 특징: CCM 문서 기반, 글로벌 CSP 필수 요건

    

- 장점: ISO, GDPR 등과 호환. 해외 진출 용이

    


 ✅ ISMS-P (국내 법정 기준)


- 기반 법령: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 구성:

    

    - ISMS(80개 항목) + PIMS(21개 항목) → 총 101개

        

    - 관리체계 수립, 개인정보 전 주기 보호

        

- 절차: 신청 → 심사 → 인증(3년 유효 + 연 1회 점검)





 🔍 3. 실무적 고려사항 요약


|인증|준비/요건|유지/운영|비고|

|---|---|---|---|

|CSAP| ISMS-P 선행, 망분리·물리위치 고려|5년 + 연 1회 점검|공공 진출 필수|

|CSA| ISO 27001 기반, CCM 대응 문서 필수|3레벨 전략적 준비|글로벌 CSP에 적합|

|ISMS-P| 개인정보 흐름도 필수, 문서화 중요|3년 + 연 1회 점검|법적 대응 및 국내 필수 인증|




 🧭 4. 최신 클라우드 보안 정책 동향


- CSAP 개편:  글로벌 CSP 진입 허용, N2SF 연동

    

- 공공 클라우드 전환 가속: 2030년까지 전면 전환

    

- 정보보호 규제 강화: 중견기업까지 ISMS-P 의무화

    

- AI 기반 보안: 경고 분석, 정책 자동화

    


---


🤖 5. 미래 전망: CSA STAR for AI


- CSA에서 개발 중인 AI 인증 프레임워크

    

- 배경: 생성형 AI 확산 vs 보안 표준 부재

    

- 목표: ISO 42001, EU AI Act 등과 정합성 확보

    

- 적용 대상: AI 기업, 클라우드 제공자, 사용자 조직



 ✅ 결론


- 인증은 전략도구: 시장 진입, 규제 대응, 신뢰 확보에 유리

    

- 운영역량이 핵심: 인증보다도 실질적 보안 정책의 내재화와 운영 능력이 중요




  1. 제공된 자료에 따르면, 클라우드 및 데이터 보안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취약한 API, 인적 실수, 잘못된 설정, 계정/권한 관리 미흡 네 가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 중 현대차 랜섬웨어 공격의 주된 원인으로 언급된 것은 무엇인가요?

2.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 중 CSAP와 CSA STAR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이며, 각각 어떤 목적에 더 적합한가요?

3.ISMS-P 인증을 준비할 때 특히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사항은 무엇인가요?

4.최근 클라우드 보안 정책 동향 중 CSAP 개편의 핵심 내용은 무엇이며, 이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요?

5.문서의 '미래 전망' 부분에서 언급된 **"CSA STAR for AI"**는 어떤 필요성 때문에 개발되고 있으며, 그 목표는 무엇인가요?








1. 제공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랜섬웨어 공격의 주된 원인으로 언급된 것은 잘못된 설정입니다.

2. CSAP와 CSA STAR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적용 대상과 목적입니다.

 CSAP (국내): KISA가 운영하며, 공공기관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을 인증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주로 국내 공공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CSA STAR (글로벌): CSA가 운영하며,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주로 활용하는 인증으로, 국제적인 보안 표준(ISO/IEC 27001)과의 호환성을 통해 해외 진출에 용이하게 활용됩니다.

3.ISMS-P 인증을 준비할 때 특히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사항은 개인정보 흐름도 필수 작성과 문서화의 중요성입니다.

4. 최근 클라우드 보안 정책 동향 중 CSAP 개편의 핵심 내용은 글로벌 CSP의 국내 공공 시장 진입 허용 및 N2SF(National Cloud Security Framework) 연동입니다. 이는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글로벌 표준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전반적인 클라우드 보안 수준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5. 문서의 '미래 전망' 부분에서 언급된 "CSA STAR for AI"는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보안 표준의 부재라는 배경 때문에 개발되고 있으며, 그 목표는 ISO 42001, EU AI Act 등과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ISMS

ISMS-P 개요


- ISMS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정보보호 중심으로 인증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 ISMS 의무 대상 기업·기관, 개인정보를 보유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보호가 불필요한 조직이 해당됩니다.

- ISMS-P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모두 인증하는 시스템입니다. 보호하고자 하는 정보 서비스가 개인정보 흐름을 가지고 있어,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보안 강화가 필요한 조직에 해당됩니다.

- 정보보호 관리체계 예비인증: 가상자산사업자가 실제 서비스 운영 전 임시적으로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경우, 또는 2개월 이상의 운영 이력이 없어 ISMS 인증 심사를 진행할 수 없는 신규 가상자산사업자를 위한 임시 인증 제도입니다.


2. ISMS-P 인증심사 종류


ISMS-P 인증은 3년의 유효기간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심사 종류로 나뉩니다.


- 최초심사: ISMS-P 인증을 처음으로 취득하고자 할 때 수행하는 심사입니다.

- 사후심사: 최초심사를 통해 인증을 취득한 후 1년마다 수행하는 사후 관리 심사입니다.

- 갱신심사: 3년의 유효기간 만료 시 인증을 연장하기 위해 수행하는 심사입니다. (보통 3년 주기)


3. ISMS-P 정책 동향


- 최근 ISMS-P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강화 및 특정 분야(예: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의무화가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4. 기반시설과 ISMS-P


- 국가 주요 기반시설(정보통신 기반시설)에 대한 ISMS-P 적용은 중요한 보안 과제입니다.

-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핵심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요구사항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5. 보안 사고 사례


- 자료에는 구체적인 사례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ISMS-P 미준수 또는 관리체계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다양한 정보 유출, 서비스 중단 등의 보안 사고 사례를 통해 ISMS-P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섹션으로 보입니다.


6. 취약점 분석 항목


- ISMS-P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운영하기 위한 102개(또는 100개 이상)의 통제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요 통제 항목은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정보보호 정책 수립, 조직 구성, 위험 관리, 교육 훈련 등

    - 보호대책 요구사항**: 물리적 보안, 접근 통제,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개발 보안, 개인정보 처리 등

- 이러한 통제 항목들을 기반으로 조직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고 취약점을 분석합니다.


7. 시사점 및 결론


- ISMS-P는 단순한 인증을 넘어, 기업과 기관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리체계임을 강조합니다.

- 클라우드 환경의 확산과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라 ISMS-P의 적용 범위와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 체계적인 위험 관리와 주기적인 보안 취약점 분석을 통해 안전한 정보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결론을 맺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다음 중 'ISMS' 인증과 'ISMS-P' 인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ISMS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특화되어 있고, ISMS-P는 온프레미스 시스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b) ISMS는 정보보호에 중점을 두지만, ISMS-P는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모두 인증합니다. c) ISMS는 법적 의무 사항이고, ISMS-P는 자율 인증 제도입니다. d) ISMS는 중소기업을 위한 것이고, ISMS-P는 대기업을 위한 것입니다.

2. '정보보호 관리체계 예비인증'은 주로 어떤 사업자를 위해 마련된 임시 인증 제도인가요? a) 금융 기관 b) 가상자산사업자 c) 일반 제조업체 d) 교육 기관

3. ISMS-P 인증의 유효기간은 몇 년이며, 유효기간 만료 시 수행하는 심사 종류는 무엇인가요? a) 1년, 사후심사 b) 3년, 갱신심사 c) 5년, 최초심사 d) 3년, 사후심사

4. 최근 ISMS-P 정책 동향으로 옳은 것은? a)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이다. b) 특정 분야(예: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의무화가 축소되고 있다. c)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d) ISMS-P 인증이 불필요한 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5.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ISMS-P 적용이 중요한 보안 과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비용 절감을 위해서 b) 내부 직원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 c)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핵심 인프라를 보호하고 법적, 제도적 요구사항을 준수하기 위해서 d) 단순한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

6. ISMS-P의 취약점 분석 항목 중, '물리적 보안, 접근 통제,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등이 포함되는 범주는 무엇인가요? a)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b) 보호대책 요구사항 c) 위험 관리 d) 교육 훈련

7. ISMS-P가 단순한 인증을 넘어 기업과 기관에 주는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a) 인증 취득 후에는 추가적인 보안 노력이 필요 없다. b) 일회성 심사를 통해 모든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기업과 기관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리체계이다. d) 보안 문제는 오직 기술적인 해결책으로만 접근해야 한다.


1. 다음 중 'ISMS' 인증과 'ISMS-P' 인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b) ISMS는 정보보호에 중점을 두지만, ISMS-P는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모두 인증합니다.

2. '정보보호 관리체계 예비인증'은 주로 어떤 사업자를 위해 마련된 임시 인증 제도인가요? b) 가상자산사업자

3. ISMS-P 인증의 유효기간은 몇 년이며, 유효기간 만료 시 수행하는 심사 종류는 무엇인가요? b) 3년, 갱신심사

4. 최근 ISMS-P 정책 동향으로 옳은 것은? c)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5.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ISMS-P 적용이 중요한 보안 과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c)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핵심 인프라를 보호하고 법적, 제도적 요구사항을 준수하기 위해서

6. ISMS-P의 취약점 분석 항목 중, '물리적 보안, 접근 통제,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등이 포함되는 범주는 무엇인가요? b) 보호대책 요구사항

7. ISMS-P가 단순한 인증을 넘어 기업과 기관에 주는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c) 기업과 기관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리체계이다.


Mitre attack

 🔐 MITRE ATT&CK 프레임워크 핵심 개요


- MITRE ATT&CK란?

    

    - 실제 공격자의 전술(Tactics), 기술(Techniques), 절차(Procedures) 정보를 체계화한 프레임워크

        

    - 보안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공격 모델


 🧩 구성 요소


- TTPs (전술·기법·절차)

    

- 공격 체계: Initial Access → Execution → Persistence 등으로 단계화



 🔧 ATT&CK와 타 표준의 통합 전략


- CCE/CVE/CWE 기반 취약점 관리

    

    - CCE: 설정 취약점 (예: root 로그인 허용)

        

    -CVE: 알려진 소프트웨어 보안 결함 (예: OpenSSL 취약점)

        

    - CWE: 코드/설계 상 보안 약점

        

- CCE + CVE 통합 점검 필요

    

    - 단순 설정(CCE)만으로는 방어 한계

        

    - 제로데이/패치 미적용(CVE) 취약점은 별도 관리 필수



 🧱 NIST와의 비교 및 연계


|항목|MITRE ATT&CK|NIST CSF|

|---|---|---|

|주 목적|공격자 TTP 모델링|조직 보안 프레임워크 수립|

|관점|공격자 중심|방어자 중심|

|활용|탐지 및 대응 강화|정책 수립, 리스크 대응|


- 결론:  공격 기반(MITRE)과 방어 기반(NIST)의 상호 보완적 통합 필요


 📊 정책 동향


- 국내:

    

    - 2023년 국가사이버안보전략: ATT&CK 기반 탐지 체계 권장

        

    - KISA/행안부: ATT&CK 기반 평가 항목 확대 예정

        

- 국제:

    

    - NIST: 탐지 및 대응 단계에 ATT&CK 적극 반영

        

    - 영국 NCSC: 위협 인식 훈련에 ATT&CK 적용


 ⚠️ 최신 보안 사고 사례


- ESXi 랜섬웨어 (2025.03):

    

    - CVE-2025-24813 악용

        

    - 모든 VM 강제 종료 및 VMDK 파일 암호화

        

- PLC 인증 우회 (2024):

    

    - CVE-2024-3596 (RADIUS 스푸핑), CWE-294

        

    - 공장 제어 시스템 무단 접근, 생산 중단 위험



1. MITRE ATT&CK 프레임워크가 체계화하는 정보의 주요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a) 방화벽 설정 규칙,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결과, 사용자 인증 로그 b) 실제 공격자의 전술(Tactics), 기술(Techniques), 절차(Procedures) 정보 c) 기업의 보안 정책, 규정 준수 여부, 감사 보고서 d) 위협 인텔리전스 데이터, 과거 보안 사고 기록, 복구 계획

2. 다음 중 ATT&CK 프레임워크에서 정의하는 공격 체계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Initial Access b) Execution c) Maintenance d) Persistence

3. CCE, CVE, CW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a) CCE는 시스템 설정 취약점(예: root 로그인 허용)을 식별합니다. b) CVE는 알려진 소프트웨어 보안 결함(예: OpenSSL 취약점)을 나타냅니다. c) CWE는 코드나 설계상의 보안 약점을 의미합니다. d) CVE와 CWE는 시스템 구성 요소의 불필요한 서비스만을 다룹니다.

4. MITRE ATT&CK와 NIST CSF를 비교할 때, MITRE ATT&CK의 주요 관점은 무엇인가요? a) 방어자 중심 b) 정책 수립 중심 c) 리스크 대응 중심 d) 공격자 중심

5. 2023년 국가사이버안보전략에서 ATT&CK 기반 탐지 체계 도입을 권장한 국내 기관은? 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b)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c) 행정안전부 d) 국가안보실

6. 2025년 3월 발생한 ESXi 랜섬웨어 공격에서 악용된 취약점은 다음 중 무엇인가요? a) CVE-2024-3596 b) CVE-2025-24813 c) CWE-294 d) OpenSSL 취약점

7. PLC 인증 우회 사고(2024)에서 RADIUS 스푸핑에 사용된 CVE 번호와 관련된 CWE는 무엇인가요? a) CVE-2025-24813, CWE-294 b) CVE-2024-3596, CWE-294 c) CVE-2024-3596, CCE-777 d) CVE-2025-24813, CWE-300


Windows server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권한

guest 계정 비활성

패스워드 복합도 설정

계정 잠금 입계값

패스워드 최소 길이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설정

패스워드 최대 사용기간 설정

최근 암호 설정

취약한 패스워드 사용

uac 권한 설정

하드디스크 기본 공유 제거

원격으로 엑세스 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 경로

sam 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허용 안함 

copyright © Cosmopolitan72 All Rights Reserved.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