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비판을 했다는 거임. 무언가 열심히 하려고 했는데 실수한 경우 동기주의에서는 괜찮다고 하지만, 벤담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을 한 것이고, 내가 공감이 되는 행동은 선이고 그 외 나머지는 악이라고 규정짓는 행동이 옳지 않다고 비판한 것임.
규범 윤리학 -> 어떤 가치 어떤 이론으로 방향성 제시..
ex) 낙태의 합헌 위헌 여부 -> 생명 존중의 원리, 다양한 지식, 정보,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 신중한 결정 필요.
그래서 실천 윤리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계를 해서 학문적 성격을 가진다..
부딪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만약 부딪히는 문제가 생명 쪽이면 생명과 관련된 학문을 먼저 알아야 하고, 국방과 관련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국방과 관련된 학문을 알아야 한다.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의 공통점.
둘 다 도덕적 삶의 방향을 제시함.
메타 윤리학
기술 윤리학
토론에 대한 밀의 입장.
공리주의와 의무주의 각각 어떤 기준으로 도덕을 판단하는가? 각각 어떤 관점에서 도덕적 행동을 바라보는가에 대한 정리
목적과 수단
행위의 가치
밀의 주장
순서대로 낮음 ->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