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및 워크샵
Workshops and Conferences
Workshops and Conferences
This workshop day offers postgraduate students and academic researchers practical, scholar-focused training in methods for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and speech classification. The morning session introduces the LENA system through Jongmin Jung’s detailed overview of long-form audio recording and its research applications, followed by Jun Ho Chai’s step-by-step demonstration of data analysis using LENA-generated files. In the afternoon, Suk Hwan Jeong presents advanced, AI-assisted tools for annotating and validating speech with focus on the task of ADS vs. CDS classification. Ioana Buhnila will introduce tools “Beyond LENA,” which will equip researchers to process long-forms speech data without LENA device or algorithms. Participants will engage in theme-based small group discussions to exchange expertise, tackle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build scholarly collaborations across disciplines. This session is ideal for those eager to acquire actionable skills and join a vibrant, international research community dedicated to innovative practices in language and speech analysis.
Sep. 13, 2025
HK (Humanities Korea) is a national initiative supporting long-term,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humanities. This workshop contributes to that mission by fostering dialogue on language and cognition across the lifespan, with a special focus on Korean contexts and data-driven methodologies. The event will consist of two days of research presentations (Days 1–2) followed by a full-day tutorial workshop (Day 3) focused on long-form recordings and their use in studying naturalistic language environments.
Sep. 11-12, 2025
This hands-on workshop supports the launch of BabyView-K, offering a hands-on introduction to methods and tools for infant-centered egocentric video research. This is done by bringing together researchers from Stanford University's BabyView team and Chosun University's BabyView-K initiative. The event includes a morning scientific session highlighting recent findings on modeling infant cognition and language from egocentric data, while an afternoon session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such as device setup, data management, ethical considerations, and participant recruitment. The workshop aimed at fostering collaboration, establishing data standards, as well as promoting interoperability among participants. It is highly relevant for developmental scientists, computational modelers, and researchers interested in early cognitive and linguistic development through real-world data.
May. 22, 2025
Building on the success of the 2023 conference on music research collaboratively organized by POSTECH MINDS, Chosun CDS, and KIAS, the 2024 joint workshop by POSTECH MINDS and Chosun CDS broadens its focus to foster meaningful dialogue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humanities and sciences. This interdisciplinary platform encourages participants to exchange ideas, share methodologies, and explore collaborative opportun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narrow topics, the workshop promotes open-ended discussions that inspire innovation and cross-disciplinary connections. The goal is to create a dynamic environment for creative thinking and partnerships that advance both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Dec. 12-13, 2024
저희 연구소는 2023년부터 "데이터를 통해 본 언어 습득"이라는 제목의 튜토리얼 시리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세션들은 언어 습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며, 지금까지는 온라인으로만 진행되었습니다. 올 여름에는 대면 및 온라인 참여 옵션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워크샵을 개최하여 보다 상호작용적이고 몰입감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첫째날에는 R을 사용한 통계 워크샵을 개최합니다. 이 워크샵에서는 아동 발달 데이터와 관련된 연구 발표가 진행됩니다. 고언숙 교수 연구팀의 최신 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이해한 후, 튜토리얼에서는 발표된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의 상세한 통계 분석을 제공하여 참가자들이 유사한 기법을 자신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습니다.
둘째날에는 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 워크숍이 열립니다. 오전에는 Peekbank를 중심으로 영아의 시선 추적에 관한 주제 세션이 진행됩니다. 이 세션에는 Peekbank 데이터베이스 개발자들의 연구 발표와 Peekbank를 사용하여 영아의 시선 추적 데이터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튜토리얼이 포함됩니다. 이어서 아동 언어 습득의 다양한 측면에 관한 연구 발표가 진행되며, 최첨단 연구와 혁신적인 방법론이 소개될 예정입니다.
날짜: 2024년 6월 24-25일
아기들은 많은 데이터나 훈련 없이도 자연스럽게 단어의 의미와 언어의 문법을 이해하게됩니다. 반면, 현재의 인공지능은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지만, 영유아들이 쉽게 배우는 것을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은 부족합니다. 따라서 영유아의 내재적 학습 기제를 이해하면 인공지능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또한 인공지능 기술은 영유아의 학습 기제에 대한 더 깊은 이해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교류는 상당히 유익할 수 있습니다.
이 워크숍은 발달 과학과 인공지능 기술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날짜: 2024년 1월 30-31일
KIAS 국악초학제단, POSTECH MINDS와 조선대 인문데이터과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 워크숍
날짜: 2023년 6월 28-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