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은 프린터로 평면으로 된 문자나 그림을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도형을 찍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종이를 인쇄하듯 3차원 공간 안에 실제 사물을 인쇄하는 3D 기술은 의료, 생활 용품, 자동차 부품 등 많은 물건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3D 프린팅 기술은 현재의 금형공정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제작이 가능하며, 사용재료 또한 플라스틱, 금속, 바이오까지 제조 산업에서의 활용가치는 물론 소비시장 및 인간의 삶을 크게 변화 시킬 잠재력과 가치를 가진 기술입니다. 또한 모형 수준이 아닌 직접 사용 가능한 제품을 바로 제작 할 수 있고, 1:1 고객 맞춤형 상품 제작과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적합한 기술입니다. 여기에 디지털 데이터의 변용과 장거리 전송이 쉽기에 현재 제조업의 공급체인이 가진 운송비, 물류를 획기적으로 줄여 경제적 이득을 주게 됩니다. 이는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 저탄소 녹색성장이나 지속가능한 제조 환경경영 기조에도 부합되는 필수적인 기술입나다.
최근 들어 국내는 물론 국제적인 이슈로 떠오른 “3D 프린팅”은 미래 제조업과 우리의 삶의 변화시킬 산업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은 컴퓨터 내에서 작업된 3차원의 솔리드 CAD 모델링 데이터를 한층 한층 적층하여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물리적 형상으로 빠르게 제작합니다. 이러한 3D 프린팅 공정에서 가장 큰 특징이자 공통점은 바로 재료를 공구를 깎아 내는 것 아닌 한층 한층 적층(Additive) 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드는 것 입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공통점은 바로 컴퓨터로 작업된 3차원의 모델링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 입니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의 획득 방법으로는 직접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3D 차원의 모델링을 하거나 3차원 스캐닝을 하는 것 입니다. 스캐닝 방법에는 휴대용 스캐너, 의료용 단층촬영(CT), 자기공명(MRI)을 포함, 산업용 3D 스캐닝(Scanning & Digitizing) 방법 등이 있다.
국내의 3D 프린팅은 교육, 자동차 부품 제조 분야에서 시제품 제작 등에 활용되며, 의료·치과, 생활소비재 중심으로 완제품 생산에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완성차 업체들을 중심으로 생산공정 개선을 위해 제조 현장에 3D 프린팅 기술을 도입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 들은 기존의 제조업, 의료기기, 일반 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 3D 프린터 산업의 특징을 분석하는 등 전략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3D 프린팅 시장은 정부의 강력한 산업 육성 의지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으며, 산업용 기계 제작 기술을 가진 업체들이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3D 프린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아래 그래프는 세계 산업용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전망입니다. 점차 년도가 지날 수록 3D 프린팅 활용 수는 증가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동차, 항공우주, 병원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