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도구와 기계를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만들어 사용해 왔고, 그 과정에서 제조 기술은 끊임없이 발달하였습니다. 특히, 생산량을 늘리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생산 방식을 변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산업 혁명 이전
원시 시대에는 자연 상태의 돌과 나무 등으로 도구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불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청동, 철 등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고대에는 나사, 도르래, 바퀴 등을 이용한 간단한 장치를 만들어 사람이나 동물의 힘으로 작동시켰다. 중세에는 물과 바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수차나 풍차 등을 활용한 기게 장치가 이용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기계 장치의 개발과 상업의 발달, 제품 수요의 증가에 따라 가내 수공업은 점차 공장제 수공업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산업 혁명 이후
18세기 후반 증기 기관의 발명으로 기계 장치가 보급되면서 산업 혁명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전까지 사람이 하던 작업을 기계가 대신하면서 제품 생산 과정 및 작업 시간의 단축으로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산업 혁명을 게기로 제조 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산업 구조가 농업 중심에서 공업 중심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이는 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큰 변화와 영향을 끼쳤습니다.
현대
경제 수준의 향상과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춘 다양한 제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유연 자동화 시스템(FMS)이 도입되고, 산업용 로봇을 이용한 공장 자동화에 힘입어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로 바뀌었습니다.
최근에는 컴퓨터 통합 생산 방식(CIM)을 이용하여 제품의 개발에서 판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통합·관리함으로써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을 갖춘 제품을 신속하게 만들어 공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신소재의 개발로 인해 성능이 우수한 제품들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미래
미래에는 무인 자동화 시스템과 가상 설계 제조 기술 등이 발전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주는 맞춤형 제품 생산이 가능해질 것이고, 제품의 품질은 더욱 향상될 것 입니다.
또한, 나노 기술의 발달로 초소형 기계와 새로운 소재의 개발 및 로봇의 상용화로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제품이 생산될 것 입니다. 그리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하고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는 등 자연환경을 생각하는 생산 방식으로 제조 기술이 발전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