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가이드에서는 여러분이 공학도로서 진학과 진로 고민을 할 때 우리 연구실을 고민한다면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다룹니다.
Lab Openings: 26 Spring 석사과정 및 2025 Fall/Winter 학부연구생을 모집 중에 있습니다.
학부 연구생은 프로젝트 기반으로, 4개월 ~ 1년의 기간 동안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됩니다.
If you're applying for the 26` Spring Graduate Course, contact me before October.
TO-DO list before contact
SPRINT LAB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확인하기
학부 전공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전자 /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등 모두 ok).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능력과 로보틱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참여 가능합니다.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듯, 우리 연구실의 Vision은 아래와 같습니다:
To build a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real-world environments from sensor-based perception.
To pionee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systems that leverage data-driven insights to navigate and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To advance artificial intelligence by providing robust data structures that enhance spatial reasoning and perception in robotic systems.
To establish cutting-edge methodologies that enable accurate data interpretation, supporting the evolution of autonomous robotics in complex environments.
그러므로 우리 연구실에서는 위와 관련된 주제들로, 아래와 관련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Spatial AI, 3D Scene Understanding,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Geometric and Semantic Mapping, 3D Reconstruction, Multi-Modal Sensor Fusion, LiDAR Perception, Camera-based Perception, Event-based Vision, Autonomous Navigation, Multi-Robot Coordination, Sim-to-Real Transfer, State Estimation & Sensor Fusion,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for Robotics,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Robotics, Neural Representations of Space, Graph-based Perception and Mapping, Self-supervised Representation Learning, Few-shot & Zero-shot Learning for Robotics, Uncertainty Estimation in Perception, Anomaly Detection in Sensor Data, Physics-informed AI for Robotics
관심이 있다면, 유사 분야의 연구자들이 무엇을 탐구하는지 확인하고 내가 하고 싶은 주제를 마음 속으로 생각하기 (무엇을 할 필요는 없음)
아래에 정리된 리스트는 SOTA들만 있는 것은 아니고, 필요하고 해볼만한 만한 주제들로 제가 눈여겨보았던 연구 주제들입니다.
관련 분야 open-source github list (2024 - 2025)
Multi-Domain의 데이터를 하나로 융합하기 (facebookresearch / ImageBind)
Real-time으로 Splatting 기반 SLAM 수행하기 (xieyuser / GS-LIVM)
Monocular Camera로 Pseudo-scale-aware recon 수행하기 (microsoft / MoGe)
LiDAR 기반 Global Descriptor 생성하기 (sparolab / SOLiD)
Target 없이 여러 센서들을 시공간적으로 정렬하기 (Unsigned-Long / iKalibr)
지상 로봇을 위한 계층구조적 지도 생성하기 (hovsg / HOV-SG)
임베디드 디바이스에서도 작동하는 일반적인 SLAM 프레임워크 (koide3 / glim)
3차원 공간 데이터로 건물 도면 자동으로 그리기 (ywyue / RoomFormer)
3차원 공간을 지면 로봇을 위한 2.5D 이동 공간으로 나타내기 (byangw / PCT_planner)
Multi-Session의 3차원 데이터를 가지고 대규모 지도 작성하기 (JokerJohn / MS-Mapping)
관련 분야 연구실의 최근 연구방향 또한 찾아보면 좋습니다:
국내: Urban Robotics Lab (명현 교수), Robust Intelligence and Robotics Lab (RIRO Lab) (박대형 교수), Scalable Vision & Robotics Lab (SVR) (윤성의 교수), Robotics and Computer Vision Lab (권인소 교수), 등...
해외: Photogrammetry and Robotics Lab (Cyrill Stachniss, University of Bonn), Dynamic Robot Systems Group (Maurice Fallon, University of Oxford), Robotics, Perception and Real Time Group (Javier Civera, Universidad de Zaragoza), HKU Robotics and Perception Lab (Fu Zhang, HKU), HKUST Aerial Robotics Group (Shaojie Shen, HKUST), Autonomous Space Robotics Lab (Tim Barfoot, University of Toronto), Australian Centre for Robotic Vision (Niko Suenderhauf,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Visual Intelligence and Robotics Lab (Chen Wang, University at Buffalo), Robot Perception Lab (Michael Kaess, Carnegie Mellon University), Air Lab (Sebastian Scherer, Carnegie Mellon University), QUT Centre for Robotics (Michael Milford,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등...
Tutorial 해 보기
상담 요청하기
위 스텝에서 충분한 시간을 사용했다면, 이제는 어떤 주제가 재미있어 보이는지 알게 되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리스트를 가지고 컨택 메일을 보내 봅시다.
진학 및 진로 상담은 alexlee로 시작하는 제 이메일로 송부 주시면 되며,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입니다.
이름 (e.g. 기계송이)
학적 (e.g. 자대 학부 4학년 1학기 재학 중)
진학 및 진로 상담 내용 (대학원 진학 or 학부 연구생 지원)
간단한 자기 소개 (300자 내외)
STEP 1과 STEP 2에서 흥미롭다고 생각한 연구 주제 및 키워드 (키워드 및 관련 논문 1~2개 선정)
(대학원) 위 연구주제에 대한 흥미를 가진 이유와, 위에서 선정한 논문에 대한 comment - 1000자 이내
Transactions- 로 시작하는 Journal이거나, IEEE Conference에 제출된 논문이면 좋습니다. 아니더라도 대표적인 논문을 읽어 오셔서 저와 이야기해야 합니다.
프로그래밍 경험 및 능력 (가능 언어 및 프로젝트 경험 수준 포함, e.g. python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상에서 로봇을 구동하여 planning을 수행해 보았습니다.)
위 내용을 포함하여 제목에 [연구실 상담 요청] 헤더를 달아서 저에게 메일을 보내 주시면, 일정을 잡아 Office에서 상담을 진행하면 됩니다.
선착순이 아닙니다. 천천히 고민해보고 메일 주세요.
연구 여건
현재 연구실에는 공용 파일서버 / 공용 Window PC / 학생용 PC 3대가 있습니다.
학부 연구생에게는 연구과제 참여 시 근로장학금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수당이 지원됩니다.
대학원 과정에게는 생계비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수당 및 학술대회 참여 기회가 부여되며, 연구과제 참여 시 추가 수당 지원이 있습니다.
즐겁고 지속 가능한 연구를 위해 함께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