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가 교육부 '글로컬랩' 사업에 선정돼 신개념 노화 치료제 개발에 9년간 총 135억원을 지원받습니다. 국내 바이오기업과 병원, 해외 석학들과 손잡고 초고령사회의 핵심 과제인 '건강노화'를 실현해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글로컬랩은 대학 연구소를 지역 연구거점으로 육성해 우수 기초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 기반을 강화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약학연구소는 수도권 5개, 지방 6개 연구과제를 선정하는 거점형 사업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의 뉴스레터 7호가 발간되었습니다. 2023~2024학년도 연구소의 주요 활동과 연구 성과를 뉴스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온라인 전용으로 발간하였으며, 아래 링크를 통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11월 13일 "Novel Synthetic Approach: Total Synthesis, Methodology, Drug Design" 주제로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4년 11월 13일 16:00~18:10
장소: 약학대학 201호
세부일정
16:00 ~ 16:10 인사말
16:10 ~ 16:50 명인수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Total Synthesis of Complex Indole Alkaloids
16:50 ~ 17:30 한상일 교수 (경북대학교 혁신신약학과)
Expedited Exploration of Novel Chemical Spaces: Novel Reagent Design for Trifluoromethyl Ketone Synthesis
17:30 ~ 18:10 한상훈 교수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Chemistry towards Drug Discovery: Structure-based Drug Design for 3CLPro Small Molecule Inhibitor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는 2024년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구축 사업'에 선정돼 벨기에 겐트대학교와 난치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센터를 구축, 3년간 연구비 총 22.5억원을 지원받습니다.
연구팀은 코로나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는 RNA 치료제의 세포 전달 한계와 항암제의 저항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장에 감응하는 약물전달체를 개발한 후 RNA 치료제를 탑재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적용, 치료제가 암조직에서만 작용하도록 하는 첨단바이오 기술을 개발하게 됩니다.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할 겐트대 스테판 더 스메트(Stefaan De Smedt) 교수팀은 빛 감응형 RNA 치료제 전달 기술을 개발해 상업화에 성공했고, mRNA 백신 역량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숙명여대 약학연구소와 겐트대의 첨단바이오 네트워킹을 통해 삼중음성유방암, 폐암, 뇌종양 등 난치암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가 약학대학 창립 70주년 및 약학연구소 6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 학술심포지엄 및 기념식을 개최합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및 대사체 데이터 품질선도센터에서 LC-MS 기반 대사체학 데이터 processing용 소프트웨어인 Mzmine 3에 대한 워크숍을 공동 개최합니다. 현재 Mzmine 3의 주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체코 IOCB Prague의 Corinna Brungs 박사와 Robin Schmid 박사를 초청하여 진행하며, 안내에 따라 직접 데이터를 다뤄보는 hands-on workshop 형태이니 참석자 분들은 가급적 랩탑을 지참하시길 바랍니다.
일시: 2024년 7월 9일 (화) 10:00 ~ 12:00
장소: 숙명여자대학교 창학B107호 젬마홀
비용: 무료
신청 마감: 7월 4일 (목) 18시
문의: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강교빈 교수(kbkang@sookmyung.ac.kr)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5P16q6dqeDsMttk66
워크숍 상세 (준비사항 등):
https://docs.google.com/document/d/1DYpBgLL7UB3wwxnzDD46t29-QSZcCMwW2QCl7PaD2EA/edit?usp=sharing
참고문헌:
Integrative analysis of multimodal mass spectrometry data in MZmine 3. Nature Biotechnology 2023
Reproducible mass spectrometry data processing and compound annotation in MZmine 3. Nature Protocols 2024
아래와 같이 6월 20일 "Innovative Biomedical Research: Data Mining, CADD, and mRNA Approaches" 주제로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4년 6월 20일 16:00~18:10
장소: 약학대학 201호
세부일정
16:00 ~ 16:10 인사말
16:10 ~ 16:50 윤석준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생명시스템학부)
Q-omics: Smart data mining platform for cancer research and drug discovery
16:50 ~ 17:30 최지원 교수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pplication of CADD and AI in drug discovery
17:30 ~ 18:10 홍기종 교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mRNA 기반 백신/치료제 개발
아래와 같이 12월 7일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3년 12월 7일 16:00~18:10
장소: 약학대학 204호
세부일정
16:00 ~ 16:10 인사말
16:10 ~ 16:50 황보리 교수 (부산대학교병원)
유전성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혈액뇌관문 통과 단일클론항체 접합 지질나노입자 생산 플랫폼 개발
16:50 ~ 17:30 이마세 박사 ((주) 인벤티지)
Microfluidics를 이용한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개발
17:30 ~ 18:10 강영숙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Transporters of Blood-Brain Barrier (BBB) and Amy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model cell lines
아래와 같이 11월 30일 "바이러스와의 전쟁" 주제로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3년 11월 30일 16:00~18:10
장소: 약학대학 204호
세부일정
16:00 ~ 16:10 인사말
16:10 ~ 16:50 박만성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Preparing better vaccine for uncertain tomorrow
16:50 ~ 17:30 김기순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Protection Science as an Alternative Strategy to Reduce Ongoing and Future Pandemic Threatening
17:30 ~ 18:10 장창영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Viral infection and mitosis
약학연구소에서 10월 24일부터 11월 3일까지 추계 연구성과 발표 공모전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약학연구소 소속 학생 및 연구원들의 연구 포스터 및 포스터에 대한 설명 영상을 열람 가능합니다. 심사 결과 우수한 점수를 받은 발표자에게는 상금이 수여됩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d/12pp6xMHrgKfwZdTQ0gWL0yjs8_NAvMqURNNRJMGMzyY/edit?usp=sharing
아래와 같이 10월 5일 "Structure determines function" 주제로 국내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3년 10월 5일 16:00~18:10
장소: 약학대학 204호
세부일정
16:00 ~ 16:10 인사말
16:10 ~ 16:50 정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The alpha-helical domain of Gα, a new regulator of the heterotrimeric G protein signaling
16:50 ~ 17:30 오준택 교수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Transcriptional processing of elongation barriers by RNA polymerases
17:30 ~ 18:10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Structure analysis in the era of next-generation structure prediction
약학연구소에서 4월 17일부터 4월 23일까지 춘계 연구성과 발표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약학연구소 소속 학생 및 연구원들의 연구 포스터를 열람 가능합니다. 심사 결과 우수한 점수를 받은 포스터 발표자에게는 상금이 수여됩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의 뉴스레터 6호가 발간되었습니다. 2021~2022학년도 연구소의 주요 활동과 연구 성과를 뉴스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온라인 전용으로 발간하였으며, 아래 링크를 통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