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Python) :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인터프리터1 언어
- 인터프리터 언어 : 한 줄씩 소스코드를 해석하여 그때그때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언어
- 파이썬 셸(python shell)
- 프롬프트 : >>> 3개의 꺾은 괄호를 지칭
- 변수 :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임의의 이름값
- 함수 :
- 숫자형
- 정수형(integer)
- 실수형(Floating-point)
- 자료형
- 구문오류(Syntax Error)
- 이스케이프 코드 :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해 둔 문자조합 - 주로 문자정렬에 사용됨
- 주로 사용되는 코드들
- 코드 설명
- \n 개행(줄바꿈)
- \t 수평 탭
- \\ 문자"\"
- \' 단일 인용부호(')
- \" 이중 인용부호(")
- 인덱싱(indexing) : 항목을 가리킨다
- 슬라이싱(Slicing) : 항목을 잘라낸다
- 문자열 포매팅(Formatting) : 문자열 내 어떤 값을 삽입하는 것
- %s 문자열(String)
- %c 문자 1개(character)
- %d 정수(Integer)
- %f 부동소수(floating-point)
- %o 8진수
- %x 16진수
- %% Literal %(문자% 자체)
- 자체내장함수
- count : 문자 갯수 세기
- find : 위치 알려주기 - 문자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 알려주기 - 없으면-1을반환
- index : 위치 알려주기2 - 문자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 알려주기 - 없으면 - 오류를 발생시킴
- join : 문자열 삽입
- upper : 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기
- strip : 문자 양 옆 공백 지우기
- replace : 문자열 바꾸기 - 특정 문자열을 치환
- split : 문자열 나누기 -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줌
- 리스트 관련 함수
- append :"덧붙이다,첨부하다"라는 뜻이 있다. 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시키는 함수이다.
- sort :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 reverse :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준다. 이때 리스트 요소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다시 역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현재의 리스트를 그대로 거꾸로 뒤집을 뿐이다.
- index(x) : 리스트에 x라는 값이 있으면 x의 위치값을 리턴한다.
- insert(a, b) :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하는 함수이다.
- remove(x) :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 pop() :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돌려 주고 그 요소는 삭제하는 함수이다.
- count(x) : 리스트 내에 x가 몇 개 있는지 조사하여 그 개수를 돌려주는 함수이다.
- extend(x)에서 x에는 리스트만 올 수 있으며 원래의 a 리스트에 x 리스트를 더하게 된다.
- https://wikidocs.net/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