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재학생
사회학과 박사과정
김성훈: 경제사회학, 조직, 정체성
조예지: 노동시장, 노동 시간과 공간 양극화
이지연: 젠더, 조직, 리더쉽, 여성 임원의 커리어 이행 변화
김현아: 노동시장, 불평등, 기술 발전과 성별 직종 분리
포리리: 경제사회학, 금융사회학, 불평등, 중국
박종석: 종교, 조직, 문화사회학
박정효: 노동과 ESG, 산업재해, 이주노동자
남형우: 문화, 사회불평등, 계층인식
사회학과 석사과정
박주원: 젠더 규범, 일과 가족, 조직
박상열: 문화사회학, 특수전문직 직업의 세대 간 계승
장혁가: 젠더, 노동, 불평등, 기술과 조직변화
노동학협동과정 박사과정
강혜진: 일의 의미, 정년퇴직 이후의 일과 삶
김 준 : 인수합병(M&A)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강민석: 평가와 보상, 직무와 임금의 제도화
박영삼: 노동정책, 불평등, 임금 결정 및 소득분배
전명환: ESG와 구성원의 조직몰입, 리더쉽
황전택: 이중 노동시장, 사회적대화
김삼중: 노동과 금융, 이주노동자의 금융 접근성
연윤정: 은퇴 노동자 조직화, 노조와 여성대표성, 노동조합과 지역사회
이희창: 이주와 전문직 노동시장
송정훈: 노사관계, MZ세대와 노동조합, 인사제도의 공정성과 투명성
문승호: 노동인권 교육
한지우: 노동권, 불평등, 다양성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신동은. 2015. 여성관리자의 일-삶(work-life) 균형에 관한 연구 (박사과정 진학)
양동휘. 2015. 한국 국제개발NGO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박사과정 진학 )
조예지. 2015. 사회경제적 지위가 사회적 관계 및 고립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박사과정 진학)
윤은성. 2016. FTA 네트워크의 지역화와 통합에 관한 종단연구 (Eviction Lab, Princeton University)
유경빈. 2017. 통근시간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컨설턴트)
박종석. 2017. 학력주의가 청소년의 고교 중단과 학교 밖 진로에 미치는 영향 (박사과정 진학)
한정훈. 2018. 기업의 혁신제도 운영이 조직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박사과정 진학 )
박동준. 2018. 법무법인 창립멤버 구성에 관한 연구, 2000-2017 (박사과정 진학)
김선해. 2020. 안티 페미니즘 조직의 정당성 획득 전략에 관한 연구 (박사과정 진학)
이지연. 2021. 기업조직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미치는 영향 (박사과정 진학)
남형우. 2023. 사회경제적 지위가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사과정 진학)
강현정. 2023. 사회적 혐오의 전략화에 관한 연구 (작가)
유자징. 2023. 중국 대학의 순위 경쟁과 전략적 행위에 관한 연구
이안진. 2024. 사회경제적 지위가 법학전문대학원 진학과 재학 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사과정 진학 준비중)
곽세현. 2024.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에 관한 연구: 객관적 고립과 주관적 고립의 불일치
Gao Han. 2025. 외국 대학원생의 지도교수 선택과 상호작용
우하진. 2025.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 미디어의 이슬람 재현과 상징적 경계짓기: 포섭의 대상에서 배제의 대상으로
조소현. 2025. 여성은 왜 교사가 되는가: 20대 초등교사의 교직 선택에 나타난 젠더·계층·문화의 상호작용
노동대학원 노동복지정책학과
이정상. 2017. 금융권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관한 사례연구
최용훈. 2017. 장애인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일자리 만족도가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 2017. 지방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의 성과와 한계
이옥경. 2017. 국가기관 민영화가 사회공공성에 미치는 영향
강혜진. 2018.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제도의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유민지. 2020. 경제활동이 발달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