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연구, 사회봉사, 산학협력 등 대학이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을 확보하고 사용하는 대학의 의사결정이나 대학경영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가치, 나아가 지역 및 사회에 대해 대학에 부과되는 책임
1. USR_Governance : 대학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지배구조 차원의 대학사회책임 영역으로 대학이 먼저 민주적 의사결정, 투명경영, 책임경영을 다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제고해야 함을 의미
2. USR_Management: 대학 경영에 있어서 인권의 보장, 윤리 경영, 공정한 기회 보장을 내용으로 하며, 사회적 가치로 공정성이 우선적으로 추구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개념임
3. USR_Community: 대학 시설이나 연구기반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여, 동시에 지방자치단체, 시민사회와 협력적 파트너십을 통해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 대학사회책임을 통해 추구할 가치는 공공성임. 이 활동은 지역사회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사회 고용을 확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4. USR_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이 핵심 가치를 이루며, 대학이 환경적 책임을 다해야 함을 의미. 지역 발전에 있어서 대학의 역할도 기존의 개발주의 대신 재생 차원의 접근법을 취할 것을 요구
사회적경제 연계과정 신설은 참여학생들이나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지역 중소기업 이외에도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등 더 넓은 선택 기회를 제공하고, 더 근본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더 의미있게 추구하는 삶을 향한 인식 전환, 진로 전환을 유도할 필요성에서 출발
사회적경제연계과정의 교육과정과 활동은 대학의 사회책임을 구현하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시행하는 특성화 노력으로서 USR(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센터의 다양한 활동과 연계되어 있음
사회적경제연곅과정은 지역사회 재생과 회복력 형성과 강화에 있어서 사회적경제의 중요성과 역할을 학습하고, 지역 내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을 실현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툴(팀창업 등)을 제공, 지역의 문제를 사회적경제의 접근법을 통해 사회혁신을 실현하는 마인드와 역량을 키우는 플랫폼(platform)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마인드와 전공 관련 역량 및 자질을 갖춘 지역기반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소셜랩은 지역사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해보고, 이를 통해 대학의 사회적책임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임
Social Lab은 사회적경제연계과정 참여학생들의 전문인력으로서의 역량과 실행 측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서, 학생들의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활동을 통하여 더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과 역량 개발을 목표로 활동을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