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김민지 학생 그룹 조인. 김민지 학생이 3월부터 연구실에 조인 하였습니다. 민지 학생은 인공지능을 전공 하였고 연구실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환영 합니다.
2025.03. 김기현 교수 온라인 광학 강의 개설
김기현 교수는 25년 1-2월 동안 광학과 현미경의 온라인 강의를 위해 비디오 촬영을 하였습니다. 광학과 현미경은 김 교수가 지난 10여년간 강의해온 최애 과목의 하나이며 광학 이론을 현미경 기술과 연결하여 강의하는 학부생 수준의 광학 과목입니다. 25년 봄 학기 온라인 강좌로 개설되어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온라인 강의가 처음은 아니었지만 슬라이드를 재정비 하였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 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 합니다. ㅎㅎ.
2025.02. 박노성, 전수일 학생의 안과 논문 출판.
두 학생이 수년간 준비해온 비표지 결막 술잔세포 영상법이 안과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The Ocular Surface 에 게재 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주로 개발해온 영상법은 안과 항생제를 활용한 형광 영상법 이었는데 이번 기술은 형광 염색 없이도 투과 현미경을 활용하면 영상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보였습니다. 기존 형광 영상법 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결막 술잔세포가 뮤신 분비 후 부피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어서 기능 관찰에 활용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고속 영상 기법도 연구개발 하고 있습니다.
https://doi.org/10.1016/j.jtos.2025.01.009
2025. 02. 김성한 박사 학위 수여식 참석
김성한 박사가 2월말에 거행된 학위 수여식에 참석하였습니다. 저도 오래간만에 참석할 수 있어서 김 박사의 학위 수여를 함께 축하 하였습니다.
2024. 11.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참가 및 우수 논문상 수상
김성한 박사와 박노성 학생이 각각 우수 논문상,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합니다.
2024. 11. Advanced Biophotonics Conference 참가 및 우수 포스터상 수상
전수일 학생과 김성한 박사가 11월 경주에서 개최된 제 10회 Advanced Biophotonics Conference 에서 우수 포스터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합니다.
2024.08. 이중빈 박사, 김성한 박사가 제출한 사람 대상 결막 술잔세포 신속 영상 검사기기가 Biosensors & Bioelectronics 에 게재되었습니다. 너무 축하합니다. 두 박사들의 노력의 결실이어서 더 뜻 깊은 것 같습니다. 이 연구는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님과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개발된 장비는 이미 식약처 허가를 받고 서울대병원에 설치되어 임상시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doi.org/10.1016/j.bios.2024.116681
2024.05. 김성한 박사 디펜스
김성한 학생이 24년 1학기 박사 디펜스를 성공적으로 하였습니다. 김성한 학생은 18년 우리 연구실에 통합과정으로 조인해서 결막 술잔세포 영상법을 세계 최초로 보고하였고 술잔세포 영상화 기술 개발과 영상 분석법 개발에 노력하였습니다. 그 이외에 고속 빛 시트 현미경인 스캐닝 경사 면 현미경을 핸드헬드 버전으로 개발하여 논문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박사 학위를 축하하고 앞날도 건승을 기원합니다.
2024.05. ARVO meeting in Seattle, Washington
올해는 안과학회를 다녀왔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연구 개발해온 결막 술잔세포 영상법을 구두발표로 안과 연구자들에게 소개하고 안과 영상 검사기기 회사들과 논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Zeiss, Alcon, J&J, Heildelberg Eng. 등 제법 큰 회사 부스도 가보았고 약간 규모가 작은 검사기기 업체들도 만나봤는데, 아직 큰 관심을 끌지는 못하였지만 소개할 기회가 있었다는 것만해도 큰 수확이라 생각합니다. 학회 기간동안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U Houston 의 윤근영 교수님과 미팅하였고, UCSF Dr. Tyson Kim 과도 미팅하면서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도움을 받기로 했습니다. 부스와 와 있는 회사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친분을 쌓은 것도 큰 수확이라 생각합니다. 다음에 보면 더 친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학회에서 국내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많은 안과 의사 선생님들을 만났습니다. 안과 학회 주최의 행사에 참석해서 소개 드렸고, 새로운 안과의사 분들도 여럿 만났습니다. 현재 결막 술잔세포 영상 검사법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시는 안과 분들이 계시고, 다른 분들은 저희들의 연구 개발 상황을 관심있게 봐 주시고 있어서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곧 제품화를 해서 더 많은 분들이 활용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현재는 주로 전안부 연구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데 망막 영상화 기술도 관심을 갖고 있어서 연구개발하면서 서로 상의하고 좋은 테마가 있으면 준비해서 공동연구로 발전 시키고 싶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2024.04. OPTICA meeting in Fort Lauderdale, Florida
2024.04. 박원영 박사
23년 겨울학기에 박사학위를 받은 박원영 박사가 박사후 연구원을 마치고 4월 회사 입사를 위해 연구실을 떠났습니다. 박원영 박사는 묵묵히 자기일을 꾸준히 한 것으로 기억됩니다. 연구 미팅 때 마다 진행사항을 업데이트 하려고 노력했고, 논문미팅때는 새로운 논문들을 많이 갖고 왔었습니다. 4년차에 드디어 저널 논문을 출판 하였는데 그 이후로는 모멘텀이 붙어서 여러 논문들을 출판 하였고, 본인 마지막 연구 테마도 어느 정도 완성하고 떠났습니다. 물론 아직 논문을 제출하지는 못했지만, 박원영 박사의 성품에 중간에 그만두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동안 고생 많았고 새 직장에서도 건승 하기를 기원합니다.
2024.03. Mr. Ali Ahmad joined our lab
Mr. Ahmad joined our lab for his Master study. Mr. Ahmad did Bachelor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in Pakistan
Ali, welcome to Korea and our lab. I hope you will enjoy working and studying here.
2024.02. Mr. Arnab Shil joined our lab
Mr. Shil joined our lab for his Master study. Mr. Shil did Bachelor degree in Physics in India.
Arnab, welcome to Korea and our lab. I hope you will enjoy working and studying here.
2024.02. 이중빈 박사
23년 여름학기에 박사학위를 받은 이중빈 박사가 박사후연구원을 마치고 3월 회사 입사를 위해 연구실을 떠났습니다. 이 박사는 지난 학위 과정과 박사후연구원 동안 비침습 결막 술잔세포 영상화 검사법 개발과 검증을 연구하였습니다. 개발한 시스템으로 생쥐, 토끼 모델 등 인비보 동물모델 연구를 할 수 있었고, 최근 사람 대상 비접촉 대면적 영상화를 위한 표면 추적 기능이 결합된 고속 증강 초점심도 현미경 기술을 개발하고 정상인 대상으로 결막 술잔세포 영상화 검사를 성공적으로 데모 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현재 논문으로 투고 중에 있습니다.
연구개발 이외에 이 박사는 개발한 영상장비의 임상시험을 위하여 GMP 허가도 진행하였고 식약처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신청에 필요한 서류도 준비하였습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 그리고 자기 주도적이며 성실한 연구를 통해 세상에 없던 영상장비를 개발한 이중빈 박사에게 축하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이중빈 박사와 모든 학생 연구원들 덕분에 지난 몇년간 연구가 즐거웠습니다. 앞으로도 건승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2023.12. 박원영, 박수현 학생 박사 디펜스
박원영 학생은 신속 3차원 조직검사를 위한 오픈탑 이광자 빛 시트 현미경 개발 및 인공지능 영상 분석법으로 박사 디펜스를 성공적으로 하였습니다.
박수현 학생은 이중 배율 경사 빛 시트 현미경 개발로 박사 디펜스를 하였습니다.
다음해 입사를 위해 12월을 하얗게 보낸 두 학생에게 수고 했고 축하를 전합니다. 연구 프로젝트 마무리도 잘 해주기 바랍니다.
2023.11. 대한의용생체공학회 동계 학술대회 참가 및 이중빈 박사 우수 논문상 수상
이중빈 박사가 제출한 논문이 showcase oral presentation 에 선정되었고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3. 11. 박수현 학생 BMC Biology 저널에 논문 게재
박수현 학생은 High-resolution Axially Swept Open-top Light Sheet Microscopy 논문을 BMC Biology 저널에 게재 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11. SPIE-ABC 참가 및 Young Investigator Award (박원영 학생), 우수 포스터 상 (김성한 학생) 수상
박원영 학생은 Young Investigator Award 에 선정되어 구두 발표를 하였습니다.
김성한 학생은 우수 포스터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 합니다.
2023.08. 한국광학회 하계 학술대회 참가 및 김성한 학생 우수 논문상 수상
김성한 학생은 바이오포토닉스 분과 세션에서 구두 발표를 하였고 우수 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 합니다.
2023.08 연구장비 비디오 업로드
우리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장비 소개 동영상을 우리 학생들이 만들어서 업로드 하였습니다. 동영상 만든다고 고생했습니다. 그래도 나름 보람 있었고 기록으로 남기는 즐거움이 있었기를 바랍니다.
비디오는 왼쪽 탭 Research & Instruments in the lab tab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06 이중빈 박사, 배경빈 석사 디펜스
이중빈 학생은 박사 디펜스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박사학위 기간동안 수고 많이 했고, 커미티로 활동해 주신 교수님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배경빈 학생은 석사 디펜스를 무사히 완료했습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많은 흥미로운 연구를 수행하였고 무사히 마친 것을 축하합니다.
2023.06 의용생체공학회 하계 학술대회 참가 및 배경빈 학생 우수 논문상 수상
배경빈 학생이 제출한 논문이 oral showcase presentation 에 선정되었고, 발표를 통해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3. 03 <Optics & Microscopy 코너 개설>
광학과 현미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너를 만들어서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수년간 이 과목을 강의해 왔는데 좀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보니 글로 남기는 것을 해 봅니다. 학습과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피드백 있으시면 김기현 교수에게 알려주세요.
https://sites.google.com/site/bmoptics5/pi/optics-microscopy?authuser=0
2023.02. 박노성 학생과 이승훈 박사의 위장관 영상 진단법 논문 게재
박노성 학생의 첫번째 논문인 위장관 병변 신속 진단법이 Lasers in Surgery & Medicine 에 출판되었습니다. 단국대의대 남광우 교수님,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명승재 교수님과 여러 교수님의 도움으로 진행되었는 논문입니다. 감사 드립니다. 특히 남광우 교수님의 박사 (PhD) 논문 주제여서 뜻깊었던 것 같고 박노성 학생과 이승훈 박사가 천안과 서울을 오가면서 고생해서 획득한 데이터로 만든 논문이어서 참 수고가 많았다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https://doi.org/10.1002/lsm.23640
2023.01. 박원영 학생의 췌장 아일렛 논문 게재
박원영 학생은 오랫동안 연구해온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아일렛 OCT 모니터링 연구를 Biomedical Optics Express 에 논문으로 제출했습니다. 고생 많았고 우리 학생들을 보면 지도교수인 나 보다 낫다는 생각을 합니다. ㅎㅎ
https://doi.org/10.1364/BOE.470188
2022.11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에서 보내주신 현판>
삼성과제가 시작된지 벌써 1년 반이 되어 갑니다. Annual Forum 에서 전문가 분들과 진행상황에 대해 의논하는 기회도 가졌고 현판을 보내주셨습니다. 도전적 연구에 관심과 지원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11 <Advanced Biophotonics Conference (ABC) 2022 포항 개최>
한국광학회 바이오포토닉스 분과에서 주관하는 ABC 를 포항에서 이틀간 성공적으로 개최 하였습니다.
학회 개최를 위해 일해준 연구실 구성원들에게 감사합니다.
거의 모든 석박 대학원생들이 구연 또는 포스터 발표를 하였습니다. 발표 준비하느라 수고 많았고 좋은 경험 하였기 바랍니다.
그리고 학회에서 수상한 학생들에게도 축하를 전합니다
이중빈 학생, 젊은 연구자상
박수현 학생, 젊은 연구자상
박원영 학생, 우수 포스터 논문상
박노성, 전수일 학생, 우수 포스터 논문상
2022.10 <연구실 장비소개 코너 개설>
연구실에서 개발하는 바이오 포토닉 기계 시스템을 소개하는 짧은 동영상을 YouTube 올리고 있습니다. Virtual lab tour 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중빈 학생이 제작한 비디오 링크를 걸었습니다. 즐거운 시청 되세요.
https://youtu.be/DfQelfmFqRc
2022.09 <박원영 학생, Lasers in Surgery & Medicine 저널에 논문 게재>
박원영 학생은 피부암 수술가이드를 위하여 고속 목시플록사신 이광자 및 공초점 반사 현미경으로 피부암과 피부 내 정상 세포구조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저널에 보고 하였습니다.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오병호 교수님과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홍승모 교수님이 참여하셨습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lsm.23600
2022.05 <YTN Science News (in Korean) on conjunctival goblet cell examination study for ocular surface disease diagnosis>
사이언스 뉴스 채널에 저희 결막 술잔세포 연구가 소개되었습니다.
www.youtube.com/watch?v=CSmxpGSzOtA
2022.03. <김성한, 이중빈 학생 Ocular Surface 저널에 논문 게재>
김성한, 이중빈 학생은 살아있는 토끼에서 결막 술잔세포 영상화를 통한 비침습 검사가 가능함을 저명 안과저널에 논문으로 게재 하였습니다. 정상토끼에서 실시간 검사가 가능하였고, 건성안 토끼모델에서 손상에 따른 결막 술잔세포 밀도의 일시적 감소 그리고 회복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공동저자로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님, 을지대병원 안과 정영호 교수님, 연세대 의공학과 양세정 교수님, 그리고 리뉴서울안과 김명준 원장님이 참여하였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42012422000179
관련 신문기사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8746
결막 술잔세포, 손상부터 회복까지 영상 추적한다 (mdtoday.co.kr)
2022.02. <이중빈, 김성한 학생 IEEE Transactions on Medical Imaging 저널에 논문 게재>
이중빈, 김성한 학생은 결막술잔세포 실시간 영상기술 연구를 권위있는 의학영상 저널에 논문으로 게재 하였습니다. 결막에 위치한 술잔세포를 초당 10 프레임 이상의 실시간 영상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마우스 그리고 토끼 모델에서 모자이크 영상화가 가능함을 보였습니다. 공동저자로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님, 경북대병원 안과 김홍균 교수님등이 참여하였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5167445/
관련 신문기사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5220973688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948876
2022.01. <연지은 학생 출근>
기계공학과 대학원 신입생인 연지은 학생이 출근하였습니다. 지은 학생은 지난 여름 인턴으로 근무하였으며 정식 출근하면서 연구실 멤버들의 환영을 받았습니다. 즐거운 대학원 생활 하기 바랍니다.
2021.11 <박수현 학생 J Cataract Refract Surg 저널에 논문 개제>
박수현 학생은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인공 수정체 (intraocular lens, IOL)의 성능을 구면수차 상황에서 평가하여 저명 안과저널에 논문으로 개제하였습니다. 단초점 인공수정체, 다초점 인공수정체, 고심도 (extended depth of field, EDOF) 인공수정체 등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적응광학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리뉴서울안과 김명준 원장님이 참여하셨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4840253/
2021.04.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 연구과제 수주, 2021년 6월 시작>
2021년 상반기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 과제에서 우리 연구실이 제안한 사람 결막 술잔세포 검사법 개발 연구가 선정되었습니다.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진행하며 우리가 연구해온 결막 술잔세포 영상법을 사람에게 적용하기 위한 고속 영상 시스템과 신경망 영상 분석법 개발 그리고 토끼 모델에서 검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 드립니다.
2021.03. <김범주 박사와 박수현 학생 BOE 논문 개제>
올해 초 졸업한 김범주 박사와 박수현 학생이 개발한 축방향 이송 빛 시트 현미경이 Biomedical Optics Express (BOE)에 논문으로 개제되었습니다. 빛 시트 현미경은 투명 뇌조직 내 신경망 영상화와 분석을 위해 개발되었고 서울대 의대 장성호 교수님 연구팀, 광주과기원 정의헌 교수님 연구팀, 그리고 울산과기원 박정훈 교수님과 공동 연구로 진행하였습니다.
https://www.osapublishing.org/boe/fulltext.cfm?uri=boe-12-4-2328&id=449532
2021.03 <연구실 소개 동영상>
우리 연구실의 연구를 소개하는 동영상을 youtube에 업로드 하였습니다.
2021.02 <2021년 신입생 출근>
전수일 학생과 박노성 학생이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그리고 IBIO 통합과정에 입학하였습니다. 환영하고 앞으로 좋은 연구 많이 하면서 조용한 포항 생활도 즐기기 바랍니다.
2021.02<2021 동계광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김성한 학생이 2021 동계광학회 학술대회에서 바이오포토닉스 분과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1.02<삼성휴먼테크 동상획득>
김범주 학생이 삼성휴먼테크 논문상 경진대회 bioengineering 부문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1.02 <김범주 학생, 박사 학위 취득>
김범주 학생이 지난 12월 박사 디펜스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2월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고생 많이 했으며 연구실에 많은 기여를 해 주어서 감사합니다. 김범주 박사의 새로운 시작을 축하합니다.
2020.09 <이승훈 박사/ 김성한 학생 BOE에 논문 출판>
이승훈 박사와 김성한 학생이 주저자로 Biomedical Optics Express 에 논문을 출판 하였습니다. 이 논문은 대장/소장에 위치한 그리고 중증 식도염에서도 발견되는 장 내 술잔세포를 영상화 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향후 내시현미경 개발을 통해 대장암/ 중증 식도염 탐지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본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명승재 교수님 팀과 오송 첨복연구센터 이승락 박사님 팀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2020.09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과제 지원 및 선정>
김기현 교수 연구팀은 이번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에서 '신속 광학 조직 스캐너와 인공지능 영상처리법 개발' 과제를 제안하여 선정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2020년 9월 부터 2년 반 동안 진행됩니다. 이 연구는 광주과기원 의공학과 정의헌 교수팀,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홍승모 교수팀과 함께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난 3월의 한국연구재단 개인 연구과제 (임상 현미경 개발 및 인공지능 영상분석법)/ 4월의 ICT 바우처 사업 연구과제 (결막술잔세포 신속 영상화 및 인공지능 분석)으로 이미 진행하고 있고 이번 과제를 수주하게 되면 의료 분야에 필요한 광학 기계 개발과 인공지능 영상처리법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이 연구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2021년에는 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2020.08
이중빈 학생과 김성한 학생이 Biomedical Optics Express 에 논문을 출판하였습니다.
논문은 건성안과 관련된 결막술잔세포를 고속으로 영상화 하기 위한 광학 영상 기계의 개발 관련 입니다. Moxifloxacin based axially swept wide-field fluorescence microscopy for high-speed imaging of conjunctival goblet cells
2020.07
본 연구실은 바이오 광학기계 및 영상처리 연구실 (Bio Photonic Machine System & Image Processing Lab)로 개명하였습니다. 이는 바이오 광학기계 기술 (하드웨어) 개발 뿐만 아니라 영상처리 기술 (소프트웨어) 개발로 확장하기 위함 입니다.
2020.05 BMOI Laboratory is heading for AI
의생명광학연구실은 고속 광학영상시스템 개발에 더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영상분석 기술을 개발합니다. 최근 수주한 암수술 가이드를 위한 영상시스템 개발과 건성안 결막 술잔세포 검사시스템 개발 과제는 우리 연구실에서 획득한 세포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인공지능 영상분석 기술 개발을 포함합니다. 최고 성능의 영상시스템 개발, 고유의 영상 데이터 생산 그리고 영상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함께 하여 의료 현장에 필요한 시스템을 개발하겠습니다.
2020.05 <Award winners in the 38th ASCRS Film Festival>
의생명 광학 시스템 연구실의 김성한, 이중빈 학생, 그리고 김기현 교수는 서울리뉴안과의원 김명준 원장님과 함께 제출한 미국 안과학회 (ASCRS: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비디오 콘테스트에서 수상하였고 Best of Best에 선정되었습니다. 비디오 제목은 Serendipitous Use of Moxifloxacin 입니다.
2020.04 <ICT R&D 바우처 사업과제 수주>
의생명 광학 시스템 연구실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ICT R&D 바우처 사업 과제를 수주하였습니다. 과제 제목은 '안구건조증 정밀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결막 술잔세포 영상 검사장비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입니다. 레이저 치료기 전문기업인 이루다, 서울대병원 안과, 연세대 의공학과와 함께 새로운 개념의 건성안 검사장비를 개발합니다.
2020.04
1. Mr. Jungbin Lee published his paper "Characterization of early-stage cutaneous radiation injury by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Biomedical Optics Express.
https://www.osapublishing.org/boe/abstract.cfm?uri=boe-11-5-2652
2020.03
1. BMOI laboratory received a grant award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of Korea (2020/03 - 2024/02, 5 yrs). The grant is to develop clinically-compatible high-definition high-speed microscopy and real-time image processing methods for guiding cancer surgeries including the ones of malignant brain tumor and skin caner.
Our team in BMOI laboratory will translate our original moxifloxacin based microscopy technologies to the clinic, and is actively recruiting graduate researchers for the grant.
2020.02
1. Mr. Bumju Kim published his paper "High-speed combined reflectance confocal and moxifloxacin based two-photon microscopy" in Biomedical Optics Express.
https://www.osapublishing.org/boe/abstract.cfm?uri=boe-11-3-1555
2019.12
1. 이승훈 군이 성공적으로 박사학위를 디펜스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승훈 박사의 논문이 Journal of Biophotonics cover letter에 나왔습니다. 축하합니다.
2019.11
1.김성한 군의 "In vivo fluorescence imaging of conjunctival goblet cells"라는 주제의 논문이 2019 Annual Biophotonics Conference에서 best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 이승훈 군의 고속 뇌종양 수술가이드 기술이 언론에 홍보되었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1024090800053?input=1195m
3. 김성한 군의 술잔세포 영상 연구가 언론에 홍보되었습니다.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341
2018.10
1.박수현 학생의 "Performance measurement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in spherical aberration condition"라는 주제의 논문이 2018 Annual Biophotonics Conference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17.10
1. 장원혁 학생의 Annual Biophotonics Conference 2017 학회에서 "Early detection of cutaneous radiation injury using optical imaging techniques" 라는 주제로 참석하여 Young Investigator Award Finalist 수상하였습니다.
2.
김범주 학생의 Annual Biophotonics Conference 2017 학회에서 "Flexible multiphoton microscopy using off-the-shelf components" 라는
주제로 참석하여 Poster session에서 Student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2017.01
1. 권순재 학생의 첫번째 주저자 논문 "Dermoscopy guided dark-field multi-function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가 Biomed. Opt. Express 에 실렸습니다. Vol.8(3), 1372-1381 (2017)
2. 2017.01 27.-02.03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SPIE PHOTONICS WEST 학회를 참가하고 무사히 돌와왔습니다. 왕태준,윤여름,Le Hoan 이 함께 다녀왔습니다.
2016. 11
1. 왕태준 학생의 Annual Biophotonics Conference 2016 학회에서 " Moxifloxacin: Clinicically compatible contrast agent for multiphoton imaging" 라는 주제로 참석하여 Young Investigator
Best Research Award 수상하였습니다.
2016.05
1. 왕태준 학생의 대한의용생체공학회에서 "Two-Photon endomicroscopy with wavefront correction for in vivo mouse colon imaging"라는 주제로 참석하여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6.05
1. 이승훈 이준호 학생의 공동주저자 논문 "In vivo 3D measurement of moxifloxacin and gatifloxacin distributions in the mouse cornea using multiphoton microscopy" 가 Scientific Reports 5월호에 실렸습니다.
http://www.nature.com/articles/srep25339
2016.03
1. 장원혁 학생의 첫번째 주저자 논문 "In vivo characterization of early-stage radiation skin injury in a mouse model by two-photon microscopy" 가 Scientific Reports에 실렸습니다. Sci. Rep. 6, 19216; doi: 10.1038/srep19216 (2016)
2. 이준호 학생의 두번째 주저자 논문 "Comparison of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and two-photon second harmonic generation microscopy in fungal keratitis rabbit model ex vivo" 가 Biomedical Optics Express에 실렸습니다. Biomed. Opt. Express 7, 677-687 (2016)
3. 윤여름 학생이 한국광학회 동계 학술대회에 참석하여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Optimal design of dark-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논문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4.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spie photonics west 학회를 참가하고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장원혁, 김범주 학생이 함께 다녀왔습니다.
2015.06.
1. 김범주 학생의 두번째 주저자 논문 In vivo visualization of skin inflammation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two-photon microscopy 가 Biomedical Optics Express 에 실렸습니다. Vol. 6, No. 7, p 2512.
2. Viet Hoan Le 학생의 첫번째 주저자 논문 Correlation between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second harmonic generation microscopy in skin이 Biomedical Optics Express 에 실렸습니다.
2015.05.
윤여름 학생의 두번째 주저자 논문 Dark-field polarization-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이 Optics Express에 실렸습니다. Vol. 23, No. 10, p 12874.
2015.02.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spie photonics west 학회를 참가하고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태준, 승훈, 그리고 허안이 함께 했습니다.
2015.02.
윤여름 학생이 삼성휴먼테크 논문상 경진대회 bioengineering 부문에서 동상을 획득하였습니다.
2015.01
1. 윤여름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 In vivo wide-field reflectance/fluorescence imaging and polarization-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human oral cavity with a forward-viewing probe이 Biomedical Optics Express에 실렸습니다. Vol. 6, Iss. 2, pp. 524-535 (2015)
2. 이준호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이 Experimental Eye Research에 실렸습니다
Lee JH, Lee S, Gho YS, Song IS, Tchah H, Kim MJ, Kim KH, “Comparison of confocal microscopy and two-photon microscopy in mouse cornea in vivo”, Exp Eye Res. 2015 Jan 17;132C:1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