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in Korean)
1. 연구 대목표 또는 연구가 시작되는 질문
연구 대목표: 의료 및 생명 문제 해결을 위한 광학 기계 연구 개발
연구가 시작되는 질문: 중요 의료 문제 해결과 생명 현상 이해를 위하여 광학 기계 기술의 가능성, 한계, 그리고 극복 방안은?
2. 연구내용 부제목
바이오 의료 문제 해결 및 현재 한계 극복을 위한 광학 기계 기술 개발
고속, 고대비도, 고심도 및 고활용성 화
3. 연구실 보유장비와 연구방법론
3-1.보유 장비. 광학 기계 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장비
광원: 펨토초 레이저 2대, CW 레이저 8대 (다양한 파장), 고출력 LED (양한 파장),
광센서: 고감도 sCMOS 카메라 10대, 소형 카메라, 광센서: PMT 등
현미경: 자체 개발 현미경 시스템 6대, 상용 현미경 2대 (안과 검진용 슬릿램프 등)
빛 조절 디바이스: SLM, EOM 등
3-2. 연구방법
A. Year 1-2: Foundation building period
A-1. 광학기계로 실험하고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법 개발
광학기계 사용법 숙지하고 실험 하면서 좋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노하우 축적
영상데이터 분석법 개발 (신호 및 영상처리, 인공지능 등)
A-2. 연구 분야 관련 교과목 수강
광학과 현미경 또는 융합 이미징 테크놀로지
기계공학 수치해석 및 영상 분석, 인공지능
고급 광학영상
A-3. 최신 기술 동향 분석 및 아이디어 제안
정기적인 세미나, 학회, 논문 공부
B. Year 3-5: Professional training period
B-1. 독자 연구 프로젝트 제안 그리고 수행
바이오메디컬 문제 해결과 현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기계 시스템을 제안
광학 설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성능 평가를 한 주기로 하여 여러 주기에 걸쳐 개발
바이오 메디컬 연구는 전문그룹과 공동연구 형식으로 진행하면서 관련 논문을 공부하여 문제 해결 방향 탐색
연구진행을 정리한 연구 슬라이드를 작성하여 논문 작성 계획을 구체화
B-2. 연구 발표 경험 축적
내부 미팅 뿐만 아니라 외부 프로젝트 미팅과 국내외 학회 발표
4.연구실 연구 관련 교과목
4-1. 학부 교과목
기계 장비 개발을 위한 4대 역학, 모델링, 연산 기법
제어 및 메카트로닉스
센서 및 측정, 광학과 현미경
4-2. 대학원 교과목
수학을 포함한 수치해석 (math and computation)
공학적 센스 (현상 분석 및 문제 해결 경험)
고급 광학 형상 (advanced optical imaging)
전기 및 전자기학 (electrical engineer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ptional)
프로그래밍 (programming, optional)
5.연구실 기술의 응용 분야 또는 상용화 예상분야
고성능 현미경 제품화 (고속, 고심도, 고대비도, 고활용성)
비침습 진단기기 및 수술 가이드 기기
3차원 고해상도 반도체 제조 검사장비
6.사회문제 기여 등 연구실 연구의 가치에 관하여 연구실에서 말하고 싶은 코멘트:
광학 기계 기술 개발을 통한 의료 현장의 현안 해결, 생명 현상의 이해도 증대, 인류 건강과 문명 발전에 기여
7.미래 활용 예상분야 또는 활용 기업
현미경 회사 (자이스, 라이카, 니콘, 올림푸스 등)
진단 및 치료 회사 (존슨앤존슨, 하이델베르그 등)
반도체 회사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8. What you gain after graduation (획득하게 되는 능력)
현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기계 시스템 설계, 제작, 성능평가 등 전주기 장비 개발 능력
의료 생명 문제 해결에 기여
문제 정의와 해결을 위한 자신만의 공학적 접근법 완성
논문 및 연구 발표 경험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