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umni

- 김진광 (Kim, JinKwang), 2007, 컬러항공사진의 밴드 특성과 DEM 정확도의 상관성 연구 📍Chung-Ang Aerosurvey CO.,LTD.

- 박지만 (Park, Ji-Man), 2008,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참여형 GIS 연구 📍Director of Research at Aladdin System

- 문성국 (Moon, Seonggook), 2018, 모바일 기기 기반의 사용자 적응형 지도제작 연구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

- 원석환 (Won, Seok Hwan), 2018,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통일 후 북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

- 최희정 (Choi, Hee-Jung), 2018, 해양공간관리와 누적영향평가 연구: Agent-based modeling과 GIS를 활용한 시나리오 분석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 김강민 (Kim, Kangmin), 2024, 사회적 취약성 지수 개발 및 GeoAI 기반 활용성 평가 (Developing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and assessing its utility based on GeoAI) 

- 황태건 (Hwang, Taekeon), 2024, 모빌리티 현상의 이해 - 유사성에 기초한 이변량 흐름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 - (Understanding Mobility Phenomenon - Similarity-Based Bivariate Flow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 이지영, 2001,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한 지가분석

- 황선영 (Hwang, Sun-Young), 2001, GIS를 활용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 주거침입절도를 사례로 📍Thinkware Corporation

- 박은주, 2002, Landsat ETM+ 영상을 활용한 가뭄 민감도 분석

- 이용원, 2003,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지도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훈, 2003, 토지특성과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공시지가 표준지 선정에 관한 연구

- 최희정 (Choi, Hee-Jung), 2003, GIS와 다기준분석법(MCA)을 활용한 연안지역 평가방법 연구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 최경희, 2003,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한 지가분석

- 김혜진, 2003, 지도 주기의 위치 할당 자동화에 관한 연구

- 박명규, 2003, 과학수사를 위한 GIS의 활용 📍Yangmyeong Girls’ High School

- 안은자, 2003, 공간 통계 분석을 이용한 DEM 오차 패턴 연구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 양병윤 (Yang, Byungyun), 2004,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University Of Georgia 📍Professor of Geography Education at Dongguk University

- 이형동, 2004, GIS와 RS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분석: 고양시 택지개발을 사례로

- 박해경, 2005, GIS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공간적 변화분석: 경기도 광주시를 사례로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 임영수, 2005, SVG를 이용한 인터넷 관광지도의 구현

- 신우람, 2005, GIS를 이용한 범죄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 📍Statistics Korea

- 정우진, 2005, SVG를 이용한 지도의 공간검색에 관한 연구

- 이기욱, 2006, DEM 정확도 평가를 고려한 검사점 공간분포 📍Thinkware Corporation

- 조성진 (Cho, Sung-Jin), 2007, Vulnerability analysis for the flood of urban area using multi-agent system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 박지영, 2008, 버스이용의 접근성 차이에 따른 교통취약지 분석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 정우화, 2009,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체류 공간 분포에 관한 연구 📍Hyundai MNsoft

- 김은경 (Kim, Eun-Kyeong), 2009, Sequential Object Clustering for Spatio-temporal Data Analysi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Luxembourg Institute of Socio-Economic Research (LISER)

- 문성국 (Moon, Seonggook), 2010, GIS를 이용한 대중교통 노드(NODE)의 계층성 분석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

- 원석환 (Won, Seok Hwan), 2010,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의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

- 이원도 (Lee, Wondo), 2011, 압축성 평가 및 지가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 공간구조 측정에 관한 연구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KRILA)

- 강전영 (Kang, Jeon-Young), 2012, 지리적 사상의 Geo-Ontology 적용에 관한 연구, University at Buffalo 📍Professor of Geography at Kyung Hee University 🔗 Link

- 전현주, 2012, 에이전트모형을 이용한 정책적 젠트리피케이션 영향에 따른 주거지선택 변화: 시범 뉴타운(길음, 은평) 사례로

- 오두리 (Oh, Doori), 2013, 인구분포 추정을 위한 공간통계모형의 비교연구, University Of Georgia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at University of Washington

- 홍석현, 2015,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비정형 지리자료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연구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

- 양은정 (Yang, Eunjung), 2015, 지역 연구에 있어 유형별 시공간 비정형 데이터의 비교 분석, University of Florida 📍Professor of Tourism at Kyung Hee University

- 황태건 (Hwang, Taekeon), 2017,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관광지 선택가정에 대한 연구 –수도권 관광객을 대상으로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 최문기 (Choi, Moongi), 2018, IOT 센서의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실내 대피경로제공 모델링 📍University of Utah

- 백아란 (Baek, Aran), 2019, 친환경 교통수단의 통행 변화와 에너지 최적 경로 탐색 📍Guri City Hall

- 유건화 (You, Geonhwa), 2019, Urban Population Dynamics and Spatio-temporal Urban Structure 📍Research Center for Small Businesses Ecosystem (CRC) at Inha University

- 김우용 (Kim, Wooyong), 2021, 가상현실 기반의 3차원 지도 환경에서 공간 인지 연구

- 이유빈 (Lee, Yubin), 2021, 감염병 의료시설 접근성 및 확진자 발생 지역요인 분석 (Accessibility to Infectious Disease Medical Facilities and Analysis of Local Factors Where Confirmed Cases Occurred –Focus on COVID-19–) 🔗 Link

- 김현민 (Kim, Hyunmin), 2023, 온라인 지도 기반 도시 교통 정체의 시공간적 특성 및 패턴 연구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 지상훈 (Ji, Sanghoon), 2023, 오픈소스 분석도구를 활용한 공유자전거 서비스의 도시 내 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

- 이종환 (Lee, Jonghwan), 2023, 대한민국 사적(史蹟)의 공간적 패턴 분석 : Geomorphon을 중심으로

- 조서림 (Cho, Seorim), 2024, 마이크로 스케일 도시 열 환경의 비선형적 해석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중심으로 - (Nonlinear Analysis of Micro-scale Urban Thermal Environments Using Random Forest Methods) 🔗 Link

- 강경민 (Kang, Kyungmin), Summa Cum Laude, won an award from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Janssen Korea

- 나채영

- 정은중

- 조신행

- 한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