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내과에서는 무슨 일을 하나요?
발작, 간질, 보행 이상, 안면 마비, 사지 허약 또는 강직, 감각 저하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에 대해 정밀하고 체계적인 진단 프로세스를 운영합니다.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뇌척수액 분석(CSF),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m, EEG), 신경유전학적 검사 등 다양한 최신 진단 장비와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정확한 병인을 신속하게 규명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내과적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각 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약물요법 및 증상 관리를 제공합니다.
좌측 연수와 소뇌부위 발생한 뇌수막염
개 뇌파검사
개의 정상 뇌파
신경 증상이 반드시 중추신경계 질환에서만 기인하지는 않습니다. 저혈당, 고암모니아혈증, 전해질 불균형, 간성 뇌병증, 고칼슘혈증, 신부전 등에 의한 이차성 신경학적 증상을 감별하고, 내분비, 종양 등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합니다. 신경계와 전신 질환 간의 연관성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보다 근본적인 치료와 예후 개선을 도모합니다.
고글로블린 혈증 환자의 단백질전기영동 분석
특발성 간질, 만성 뇌수막염 (MUO), 진행성 척수병증 등 장기적인 관리를 요하는 질환에 대해 정기적 모니터링, 영상 추적 검사, 혈중 약물 농도 측정, 삶의 질 평가 도구 (QOL scale) 등을 활용하여 개별 환자 맞춤의 지속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보호자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약물 부작용 관리, 발작 빈도 감소, 환경적 조정 등 전반적인 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원내 보유중인 MRI를 활용한 영상 추적 검사
고령 반려견 및 반려묘에서 흔히 관찰되는 인지장애증후군 (Canine/Feline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 CDS)에 대해 정량적 설문지 (CDR/CDDR, CADES 등)를 기반으로 한 평가와 함께, 행동 풍부화 환경 조성, 영양 보조제, 약물치료를 병행한 다층적 개입 전략을 제공합니다.
또한, 노령 동물에서의 보행 이상, 방향감각 소실, 수면-각성 주기 교란 등의 증상을 단순 노화로 치부하지 않고, 조기에 감별 및 개입하여 삶의 질 유지에 기여합니다.
개 인지장애증후군 정량적 설문지